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라캉주의 정신분석과 정치의 종언 : 정치와 민주주의의 관계를 중심으로 | 신병식 | pp.147-175 |
|
|
세미나 11에 대하여 : 아파니시스라는 질문 | 최원 | pp.177-210 |
|
|
무의식과 라깡의 실재 개념 | 박찬부 | pp.97-119 |
|
|
조이스의 증상(sinthome) : 라깡의 정신병 임상과 조이스 증상의 윤리성 | 홍준기 | pp.211-238 |
|
|
「김인향전」에 나타나는 애도작업(Travail du deuil)의 두 가지 방향 : 애도 부재로 인한 자살과 해원을 통한 재생의 새로운 의미 | 서유석 | pp.121-145 |
|
|
라깡과 하이데거의 『안티고네』 : 죽음충동, 사물, 정신분석의 윤리 | 박선영 | pp.59-96 |
|
|
정신분석과 문학치료의 상호 텍스트성 | 김숙희 | pp.37-57 |
|
|
라캉의 이미지론에서 지젝의 영화론으로 : 미혹의 스크린, 혹은 베일과 가면의 은유에 관한 고찰 | 김소연 | pp.7-36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박찬부 (1996). 현대 정신분석 비평 . 민음사. | 미소장 |
2 | 박찬부 (2006). 라깡: 재현과 그 불만 . 문학과 지성사. | 미소장 |
3 | 박찬부 (2007). 기호, 주체, 욕망: 정신분석학과 텍스트의 문제 . 창작과 비평사. | 미소장 |
4 | Archard, D. (1984).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 La Salle: Open Court. | 미소장 |
5 | de Lauretis, T. (2008). Freud’s Derive: Psychoanalysis, Literature and Film. NY: Palgrave Macmillan. | 미소장 |
6 | Evans, D. (1996). An Introductory Dictionary of Lacanian Psychoanalysis. London: Routledge. | 미소장 |
7 | Eyers, T. (2012). Lacan and the Concept of the ‘Real.’ NY: Palgrave Macmillan. | 미소장 |
8 | Freud, S. (1953-1974).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24 vols. Trans. and ed. James Strachey. London: Hogarth P. | 미소장 |
9 | Gardner, S. (1991). “The Unconscious.” In The Cambridge Companion to Freud. Ed. Jerome Neu. Cambridge: Cambridge UP. | 미소장 |
10 | Lacan, J. (1977a). Écrits: A Selection. Trans. Alan Sheridan. NY: W. W. Norton. | 미소장 |
11 | Lacan, J. (1977b). The Four Fundamental Concepts of Psychoanalysis. Ed. Jacques-Alain Miller. Trans. Alan Sheridan. NY: W. W. Norton. | 미소장 |
12 | Laplanche, J., and Pontalis, J.-B. (1973). The Language of Psycho-Analysis. Trans. Donald Nicolson-Smith. NY: W. W. Norton. | 미소장 |
13 | Pluth, ed. (2007). Signifiers and Acts: Freedom in Lacan’s Theory of the Subject. Albany: SUNY P. | 미소장 |
14 | Ricoeur, P. (1978). “Image and Language in Psychoanalysis.” In Psychoanalysis and Language. Ed. Joseph Smith. New Haven: Yale UP. | 미소장 |
15 | Sartre, J. P. (1958). Being and Nothingness: An Essay on Phenomenological Ontology. Trans. Hazel Barnes. London: Routledge. | 미소장 |
16 | Shepherdson, C. (1997). “The Elements of the Drive.” UMBR(a): A Journal of the Unconscious. Vol. 1. | 미소장 |
17 | Verhaeghe, P. (2001). Beyond Gender: From Subject to Drive. NY: Other P. | 미소장 |
18 | Wollheim, R. (1971). Sigmund Freud. Cambridge: Cambridge UP. | 미소장 |
19 | Žižek, S. (2006). How to Read Lacan. NY: W. W. Norton.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