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경욱. 「변기 위의 돌고래」. 『베티를 만나러 가다』. 문학동네. 1999. | 미소장 |
2 | 조경란. 「풍선을 샀어」. 『풍선을 샀어』. 문학과 지성사. 2008. | 미소장 |
3 | 강영숙. 「어떤 싸움」. 『아령 하는 밤』. 창비. 2011. | 미소장 |
4 |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 『공간의 시학』. 곽광수 역. 동문선. 2003. | 미소장 |
5 | 그레고리 커리(Gregory Currie). 『이미지와 마음』. 김숙 역. 한울아카데미. 2007. | 미소장 |
6 | 김경욱. 『누가 커트 코베인을 죽였는가』. 문학과지성사. 2003. | 미소장 |
7 | 김이석․김성욱 외. 『영화와 사회』. 한나래. 2012. | 미소장 |
8 | aspects of a motion picture experience and the meaning of its representation in a novel ![]() |
미소장 |
9 | 레프 마노비치(Lev Manovich). 『뉴미디어의 언어』. 서정신 역. 생각의 나무. 2009. | 미소장 |
10 | 문재철 외. 『대중영화와 현대사회』. 도서출판 소도. 2005. | 미소장 |
11 |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반성완 역. 민음사. 1995. | 미소장 |
12 | 빌렘 플루셔(Vilem Flusser). 『피상성 예찬』. 김성재 역.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 미소장 |
13 | 백지연. 「도시의 꿈과 기억, 그리고 어떤 만남」. 『아령 하는 밤』 해설. 창비. 2011. | 미소장 |
14 | 영화, 영화관, 상상의 섬 | 소장 |
15 | 심혜련. 「놀이공간으로서 대도시와 새로운 예술 철학」. 철학아카데미. 『공간과 도시의 의미들』. 소명출판. 2004. | 미소장 |
16 | 요아힘 패히(Joachim Paech). 『영화와 문학에 대하여』. 임정택 역. 민음사. 1997. | 미소장 |
17 | Diversification of screen technologies and transformation of experience of film consumption | 소장 |
18 | 정이현. 『달콤한 나의 도시』. 문학과지성사. 2008. | 미소장 |
19 | http://book.daum.net/detail/book.do?bookid=KOR9788952744852#intro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