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아트토이의 심미성 연구 : 게슈탈트 이론의 유사성 법칙에 입각한 분석 김우석, 김보연 pp.809-816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3D 입체영상 수업방안 연구 오은석, 오혁근 pp.739-748

노인의 가치 추구를 돕는 활기찬 노년을 위한 ICT 사례 연구 : 도프만의 노인 가치분류를 중심으로 이유미 pp.51-60

IT산업에 나타난 캐릭터 이미지에 관한 연구 : 게임산업을 중심으로 박병철 pp.415-426

Design Concepts and Principles for Intelligent Workspaces : Centered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조명은, 김미정 pp.1-10

3-D Live-Action Films vs 3-D Conversion Films 류고운 pp.33-42

애니메이션 <랭고>를 통해 본 라캉의 주체와 욕망 장은영 pp.189-200

현대소비문화에 작용하는 감성기호의 개념연구 : 정념기호를 통한 감성기호의 개념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기창 pp.675-685

친환경 조명설계에 관한 연구 : '김포공항 SKY PARK 롯데몰'을 대상으로 박지철, 정강화 pp.149-158

빅데이터 패러다임에 의한 백제금동대향로 캐릭터 디자인 연구 개발 정보민, 김병완 pp.107-116

미디어 파사드를 이용한 공공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연구 : 작품 "They are Falling"을 제작 과정을 중심으로 박제성 pp.43-50

제습기 제품의 시각적 기본요소가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민지영 pp.529-540

스토리텔링의 공감에 따른 7단계 인간 행위 모형 분석 : 영화와 도널드 노만의 이론을 중심으로 최성익, 정석길 pp.237-245

활자 이미지화 관점의 해체주의 타이포그래피 해석 이병주 pp.117-127

모바일 뉴스 서비스 디자인의 이용 사례 분석 : 네이버(Naver)와 네이트(Nate)의 이용행태를 중심으로 김보빈, 김원경 pp.729-737

하이브리드 남성의 외모관리를 위한 외모관리 요인과 정보수용 매체에 따른 추구가치 분석 김혜균 pp.765-775

보로노이 기법을 활용한 필리아 기반의 공간디자인 연구 : 서울시 남산 철새마을을 중심으로 김정은, 장기윤 pp.179-188

입체영상의 점진적 공간감 유도 연출을 위한 3차원 공간 연출 표현 분석 : 양안시 요인과 단안시 요인 활용을 기반으로 임양미 pp.643-652

비평적 광고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연구 : 작품 "Nothing - Focused" 프로젝트 제작 과정을 중심으로 박제성 pp.219-226

프로세싱자바스크립트를 활용한 패턴디자인 생성 인터렉티브 웹어플리케이션 개발 이준승 pp.881-891

산업디자인에서 영화 용어와 기법의 할용과[실은 활용과] 해석 최성익, 정석길 pp.633-641

음식오브제에 감추어진 탐욕과 폭력성, 그 페미니즘적 시각 : 작품을 중심으로 김문영 pp.95-106

한일 양국의 소셜네트워크 환경 비교 연구 : 카카오톡과 네이버 라인을 중심으로 홍순재, 김승인 pp.551-560

한(韓) 스타일을 활용한 홈인테리어용 텍스타일 제품 디자인 사례 연구 엄경희, 정보리 pp.903-911

미디어 파사드의 국내 연구 현황 : 연구 관점 분석에 따른 유형분류를 중심으로 서윤경 pp.579-587

고령자를 고려한 스마트폰 UI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 고령자의 스마트폰 사용 경험 모델링을 중심으로 김현정 pp.405-413

자극과 반응의 불일치로 인한 단절적 관계 표현의 모바일 아트 작품 구현 및 분석 전지윤, 서용덕, 김용구 pp.797-807

포스트모던 디자인에 나타난 알레고리 표현에 관한 연구 박종찬 pp.707-716

살균제가 필요 없는 가습기 디자인 연구 : 구조와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해결 방법 황정행 pp.569-578

국내 포털 사이트의 뉴스 서비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 네이버 뉴스 서비스를 중심으로 박선아, 류한영, 김영미 pp.269-278

만화의 전문 소재 확장 연구 김치훈, 백수희 pp.323-332

현대패션에 표현된 곤충모티프의 조형적 특성 임민정, 이숙녀 pp.373-383

유기적 건축의 생물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키네틱 건축 표면의 유형화에 따른 발전 경향 분석에 관한 연구 조성혜, 박재완 pp.445-454

일본 디자인교육의 맥락 : 고이케 신지(小池 新二)의 디자인활동을 중심으로 손대웅, 홍상희 pp.385-394

스마트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UX 디자인 구조 연구 이민영 pp.687-696

디자인 사고 향상을 위한 어린이 창의적 워크숍의 개발 연구 백주홍, 김보연 pp.697-706

실무환경의 업무 분석을 통한 3D 게임디자인 교육방안 : 북미 대표 개발사의 인력구성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안덕기, 김석래 pp.507-516

인터렉티브 텍스타일패턴 생성 드로잉캔버스 개발 : 프로세싱을 활용하여 크리스마스패턴을 중심으로 이준승 pp.621-631

일본의 연말연시 일루미네이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염미선, 정강화 pp.279-288

전자책 단말기의 시각적 피드백 효과에 관한 연구 주선, 류한영, 박주현 pp.301-310

인천 중구 개항장을 위한 공공시설물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이정선, 최명식 pp.351-359

상업가로의 경관 이미지 평가에 관한 연구 : 신사동 가로수길을 사례로 구지연, 김신원 pp.257-267

녹색 학교 건축계획 기준체계 방향에 관한 연구 이용환 pp.893-902

브랜드 터치포인트 휠 방법론을 통해 본 자연주의 화장품 브랜드의 서비스 디자인 전략 : 브랜드 컬러를 중심으로 김지인, 박혜신 pp.517-528

가상캐릭터에 얼굴표정 적용에 관한 연구 : 감성 유발 방식에 따른 생체신호를 중심으로 이동엽 pp.455-463

디자인분야에서의 빅데이터(Big Data)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오인균, 이단비 pp.665-674

액션 신(scene)의 표현에 대한 포스트 프로덕션 표현 기법 연구 : 한국 액션드라마 "아테나: 전쟁의 여신"을 중심으로 이태훈 pp.755-764

사용성 향상을 위한 동물원 인포메이션 보드 개선안 : 서울동물원을 중심으로 신동재, 이혜원 pp.427-436

3D 시각화 향상을 위한 디자인 교육 방안 연구 : 디자인 능력으로서의 공간 능력에 관한 문헌 고찰 추석화 pp.601-610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도자제품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계영배 제작 설계를 중심으로 최정훈, 김진호, 노형구, 최인규, 김응수, 조우석 pp.541-550

마음 개념의 변화와 디자인 흐름 : 체현된 인지와 지향성의 이해 추석화 pp.849-858

다중 참여형 인터랙티브 영상 시스템 연구 : 심포니아 퍼포먼스 구현을 중심으로 오승환 pp.169-177

A Study on the Impact of Using Ready Information on the Global Brain Google 이은아 pp.25-31

모바일 캐주얼 게임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사용성 평가 연구 : 구글 플레이에서 국내 매출 상위 3개 캐주얼 게임을 중심으로 조뢰, 김희현 pp.361-371

애플의 모바일 운영 체제인 iOS의 발전 과정 분석을 통한 mobile UX 디자인의 비전 고찰 : iOS 4, 5, 6, 7 버전의 GUI 및 개발방법론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이현진 pp.139-148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도자기 생산 검증에 관한 연구 : 도자 디자인에서 가상 목업(Digital Mock-up) 활용을 중심으로 최정훈, 김응수, 김진호, 노형구, 조우석 pp.749-754

카드소팅테스트에 의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메뉴 구성 개발 : 천식 관리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중심으로 정의태, 양승호 pp.201-208

디자인경영전략에서 미래예측 연구의 역할과 관계성 연구 : 창조경제 시대의 산업, 사회 환경과 미래예측 방법론 분석을 중심으로 강필현 pp.497-506

사용자 측면으로의 자연환경 가치를 부여한 미래의 디자인 트렌드 요소 : 매크로바이오틱을 통한 자연환경 의미요소 추출 정혁비, 이명기 pp.653-664

중소·벤처기업의 성공적인 디자인프로젝트를 위한 실증 연구 : 대덕연구단지 현황을 중심으로 정의종, 김민정, 최민영 pp.289-299

박물관의 시뮬라시옹 표출의 재현전시에 관한 연구 : 역사적 사건 및 트라우마의 치유를 중심으로 오선애 pp.437-444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의 구현 및 사용성 평가 : 컴퓨터 애니메이션 제작 환경을 기반으로 김연, 이상원 pp.83-93

알고리즘 기반 모델링을 이용한 시 시각화 방법 연구 김주섭, de Fremery, Wayne pp.61-70

도자기 생산과 3D Printing 기술의 융합 연구 : 도자기 원형생산을 중심으로 최정훈, 김응수, 김진호, 노형구, 조우석 pp.777-783

관람객의 사실적 혹은 비사실적 표현에 대한 선호도 분석 : 3D 애니메이션 렌더링 방식을 기준으로 신형호, 김희현 pp.611-620

스마트 기기 잠금 화면을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스마트폰 사용자를 중심으로 이지영, 김주섭 pp.71-81

트렌드 분석에 의한 국내 자동차 시트디자인 개발·연구 엄경희, 김형주 pp.827-838

Blob 알고리즘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시각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를 중심으로 이원호, 박재완 pp.465-476

종이잡지와 E-magazine의 행위 비교분석을 통한 UI, UX 디자인 향상 방안 연구 : GQ MAGAZINE을 대상으로 한 7단계 사용자 행위 모델 적용 이준형, 김보연 pp.589-599

칸딘스키 작품에 내포된 동양회화사상의 근원으로서 초월적 미의식 현은령 pp.159-168

명품화장품과 유사화장품의 사용 특성과 브랜드 이미지 디자인 요소 비교 한정아, 정보민 pp.871-879

장편 3D 애니메이션 쿵푸팬더에 나타난 캐릭터 연기의 타이밍 표현특성 연구 최승원, 김시은 pp.209-217

고전발레와 댄스뮤지컬에 나타난 '백조의 호수' 무대의상 비교분석 정가연, 최정욱 pp.817-826

현대 중국 디자인의 두 경향 : '시대(times)'와 '창조(creation)'를 중심으로 이상옥 pp.839-848

영화 사운드디자인의 내러티브 요소 연구 이동환 pp.477-486

유아용품의 만족도 제고를 위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1-6세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중심으로 장근영, 김면 pp.227-236

자연물을 이용한 조형 속성과 형태 박정은, 김태균 pp.129-138

DOOH(Digital Out Of Home)매체 활용도 증대를 위한 내츄럴(natural)UX기반 스마트사이니지(Smart Signage) 개발 고종현, 민영삼, 이지훈 pp.395-403

공예와 디자인의 공존을 위한 하이테크 디자인 툴의 적용에 대한 연구 : 콘셉트 디자인 제안을 중심으로 이진원 pp.561-568

저시력 장애 학우의 특수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교육 보조공학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교육자용 강의 S/W와 저시력인용 수강 S/W의 기능 및 UI 설계 김태완, 조진수 pp.343-350

영월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유형별 관광안내판 디자인 연구 임헌혁, 문형식, 김주형 pp.859-870

모션그래픽 자극에 대한 반응 : 뇌파 실험을 바탕으로 이윤정 pp.311-321

추상애니메이션의 개념정립 및 전개에 관한 연구 손국환 pp.487-496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도움말 디자인 유형 분석연구 : 2013년 1분기 국내 플레이스토어 무료 앱 다운로드 100위를 중심으로 한동균 pp.785-795

인터랙티브 스페이스에서의 사용자 참여 단계 모델 개발 권지은, 나건 pp.247-256

도시 어메니티 강화를 위한 해외박물관 공간디자인 특성 연구 권민정, 최정아 pp.333-342

From Localization towards Local Appropriation : A New Agenda for Cross-Cultural Design 이정주 pp.11-23

모바일용 팜류 게임을 위한 디자인콘텐츠 개발연구 : 컨셉 발전과정과 시각화 주요 작업과정을 중심으로 김석래 pp.717-728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 LG 커뮤니카토피아연구소 편, 정보혁명·생활혁명·의식혁명, 백산서당, 1999. 미소장
2 ∙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2005. 미소장
3 ∙ 김한배. “경주시 경관정체성 증진방안의 시론적 연구”. 동국대학교부설사찰조경연구소, 1993. 미소장
4 ∙ 남영우·, 손승호, 서울시 지가변동패턴과 지역 경향면분석 1977~1997,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999. 미소장
5 ∙ 쿠마 겐코, 자연스러운 건축, 안그라픽스, 2010. 미소장
6 ∙ 김지선·김주연·김정욱, ‘사용자의 감응 유발을 위한 지역 문화 공간 디자인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1. 미소장
7 ∙ 현창용, 건축공간의 은유적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카즈요 세즈마의 작품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론, 2010. 미소장
8 ∙ 서울시 도시관리 계획 현황, 용도지역 지구 구역, 2013 미소장
9 ∙ 이서우, 지역문화활성화를 위한 창작공간의 활용방안 : 서울시창작공간을 중심으로,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1. 미소장
10 ∙ 최선혜, 유휴공간을 활용한 창작공간 연구 : 서울시 창작공간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미소장
11 ∙ Paul Coates, Christian Derix, Generating archtectual spatial configuration. Two approaches using Voronoi tessellations and particle systems, 8th Art Conference GA 2005. 미소장
12 ∙ 지용재, 색종이 모자이크 랜더링을 위한 타일 생성 및 배치에 관한 연구, 중앙대 석사논문, 2007. 미소장
13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Voronoi Diagram on Digital Space 소장
14 ∙ 안도 다다오, 새로운 지평을 향하여 : 감성의 탐침(探針)을 모든 사상(事象)에. 미소장
15 ∙ 최은영, Ando Tadao 건축의 연출적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건축공학과, 199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