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石刻文字是秦系文字的重要資料, 其中石鼓文、詛楚文、泰山刻石、繹山刻石等都是石刻文字中很有影響的作品.

在漢字發展史上, 秦系文字介於殷周古文以及漢代文字之間, 是溝通古今的重要橋梁, 是漢字發展史上重要的一環. 而秦系文字中的石刻文字, 從春秋而戰國至秦朝, 上承西周, 下接漢代, 是秦文字的重要部分, 逐漸替代了日益衰落的靑銅銘文, 具有其他種類文字所無的完整序列, 最能呈現出秦文字發展演化的全貌.

春秋時期秦石刻文字的字形特色, 分別爲: 字形繁複、布局工整、形體古朴. 戰國時期的秦石刻文字特色, 分別爲: 字形簡潔、形體工整、書體多樣. 秦王朝時期, 秦石刻文字具有三項特色, 分別爲: 形體固定、結構勻稱、圓轉簡淨.

秦王朝時期, 秦石刻文字本身出現字形相異的比例降至歷來最低, 所代表的意義正是秦石刻文字的成熟穩定, 亦可以作爲秦始皇書同文的證據之一.

從整個春秋戰國的秦文字演變, 我們淸楚觀察到了秦石刻文字是朝向規範化及簡化兩方向進行, 從中所見的特色就是秦石刻文字具有較强的穩定性及整體性, 這種格局一直到古隸興盛以後才被打破.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전통시대 중국 '民間儺'의 재구성 : 타종교와의 융화를 중심으로 민혜란 pp.269-290

<二南>詩義에 대한 朱熹의 詮釋特徵 硏究 박순철 pp.195-214

조선왕조 문화의 청 왕조 전파 고찰 : 18세기후반과 <열하일기>를 중심으로 김동국, 이언홍 pp.331-350

秦石刻文字의 演變과 特徵에 대한 考察 이상기 pp.1-23

韩国学生汉语动宾式离合词教学习得研究 韓容洙, 束赟杰 pp.135-148

<산유화여가>와 <공작동남비>의 비교 고찰 정동보 pp.237-260

六朝江南都市的拓展與文學的新變 서보여 pp.291-310

중국 마임의 정체성 고찰 : 비교문학적 관점에서 김형란 pp.351-373

<<說苑>>에 나타난 '所' 고찰 임명화 pp.69-91

韓國人의 中國觀光 實態와 特性 硏究 김정훈 pp.469-484

汉韩流行语比较研究 : 以近十年流行语为例 毛嘉宾, 임승배 pp.149-170

<<上博楚簡·周易>>『謙』卦 중「$$」·「$$」·「$$」·「$$」·「邦」자에 대한 고찰 최남규 pp.25-48

汉魏六朝小说艺术技巧浅析 호선희 pp.261-268

明代 茶文化 양상과 文人의 審美意識 임진호 pp.421-438

韓·漢 기본 색채어의 의미 대조 세연령 pp.171-185

对外汉字教学中元语言意识的培养 류려염 pp.187-194

试论"程度副词'小'+形容词"结构 사여 pp.93-104

역사서사(歷史敍事)에서 문학서사(文學敍事)로 : '萬寶山事件' 제재 韓·中 소설 연구 류창진, 정해리 pp.375-404

『顔氏家訓』『音辭』篇의 語音觀과 漢語語音 연구상의 가치 김은희 pp.49-67

俠과 情의 交錯融合 : <<好逑傳>>을 중심으로 정현선 pp.311-330

現代漢語 '의성어'는 독립 품사 설정이 가능한가 : 기능 위주의 품사 분류 관점을 중심으로 안기섭, 윤석례, 장미리 pp.105-133

荀子의 聖人論 硏究 조원일 pp.405-420

고대 중국문학에 나타난 뽕나무(桑) 이미지의 상징성 고찰 양충열 pp.215-236

중국 독립다큐멘터리의 제작, 전파 네트워크와 '독립'의 함의 박영순 pp.439-468

참고문헌 (3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裘錫圭,≪文字學槪要≫, 北京, 商務印書館, 1996 미소장
2 滕壬生,≪楚系簡帛文字編≫, 武漢, 湖北敎育出版社, 1995 미소장
3 羅文宗,≪古文字通典≫(上下冊), 天津, 天津人民出版社, 1995 미소장
4 劉鈺、袁仲一,≪秦文字通假集釋≫, 西安, 陝西人民敎育出版社, 1999 미소장
5 劉正成 主編,≪中國書法全集〮4卷·春秋戰〮國刻石簡牘帛書≫, 北京, 榮寶齋, 1996 미소장
6 師村妙石編,≪古典文字字典≫, 東京, 東方書店, 1990 미소장
7 徐無聞,≪甲金篆隷大字典≫, 四川辭書出版社, 1991 미소장
8 徐中舒,≪漢語古文字字形表≫, 四川人民出版社, 1980 미소장
9 徐鉉,≪說文解字眞本≫, 臺灣中華書局, 1975 미소장
10 徐鍇,≪說文繫傳≫, 臺北, 華文書局, 1971 미소장
11 城南山人,≪春秋戰國篆書字典≫, 東京, 木耳社, 1989 미소장
12 王延林,≪常用古文字字典≫, 上海, 上海書畵出版社, 1987 미소장
13 王輝,≪秦文字集證≫, 臺北, 藝文印書館, 1999 미소장
14 容庚,≪金文編≫, 北京, 中華書局, 1989 미소장
15 袁仲一、劉鈺,≪秦文字類編≫, 西安, 陝西人民敎育出版社, 1993 미소장
16 龍異騰,≪基礎漢字學≫, 成都, 巴蜀書社, 2002 미소장
17 李鐵華,≪石鼓新響≫, 三秦出版社, 1994 미소장
18 李學勤, <秦懷后磬硏究>,≪文物≫2001年 第1期 미소장
19 林素淸,≪戰國文字硏究≫, 臺灣大學 博士論文, 1984 미소장
20 張雪明,≪形音義字典≫, 仙桃, 湖北辭書出版社, 1992 미소장
21 陳昭容,≪秦系文字硏究≫, 臺北, 中央硏究院歷史語言硏究所, 2003 미소장
22 『石鼓文』의 刻石年代 및 字形上의 特徵考 소장
23 秦代 石刻文字의 字形考 소장
24 A Study of the different periods characters on the stone carvings in Qin ynasty 소장
25 陳煒湛、唐鈺明,≪古文字學綱要≫, 中山大學出版社, 1990 미소장
26 何金松,≪漢字形義考源≫武漢出版社, 1996 미소장
27 何琳儀,≪戰國古文字典≫(上下冊), 北京, 中華書局, 1998 미소장
28 何琳儀,≪戰國文字通論≫, 北京, 中華書局, 1989 미소장
29 漢語大字典編纂委員會,≪漢語大字典≫, 四川辭書出版社, 1988 미소장
30 許愼 撰․段玉裁 注,≪說文解字≫. 臺北, 黎明文化事業公司, 199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