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his paper studies systematically various styles of chamber music by early
Korean composers, born in 1890-1920s. They brought out new Korean
music which had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at the same time sounded
modern by synthesizing various Western compositional techniques of the
20th century. These are quartal/added harmony of Debussy, atonality,
12-tone technique, Sprechstimme, cluster, change operation, indeterminacy,
and so on. Korean traditional elements incorporated into these are
especially "saeya" scale and "saeya" harmony (a typical Korean scale and
harmony with two intervals, the perfect 4th and the 2nd, or vice versa), and
also pentatonic scale, traditional singing style, various ornamental formulae,
traditional rhythmic patterns, and so on.
Although their chamber works have been much less spot-lighted than
piano music or particularly art songs, this situation made those to start as
experimental art music for small audiences from the beginning.
For the analysis, the Korean composers who made chamber music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own musical viewpoint and
the stages of stylistic development.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한국 천주교회의 죽음관과 장례의식 음악 | 주은경 | pp.77-128 |
|
|
음악이 식물의 발아와 생장, 엽록체에 미치는 영향 | 허만규, 하기종 | pp.321-338 |
|
|
번진음, 번짐 | 홍정수 | pp.369-374 |
|
|
음악학의 아마추어주의를 위하여 | 최유준 | pp.5-9 |
|
|
한국 불교의 죽음관과 장례음악 : 2010년 시행 경주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성혜 | pp.11-76 |
|
|
현제명 오페라「춘향전」연구 | 전정임 | pp.187-212 |
|
|
가다머의 해석학과 음악해석학 | 오윤록 | pp.167-186 |
|
|
미국 다문화 음악 교육의 역사적 지평과 그 중요성 : 테레제 폴크의『음악, 교육, 그리고 다문화주의』를 중심으로 | 박지영 | pp.339-368 |
|
|
대중음악에서 모달 하모니(modal harmony)의 적용사례와 발전가능성 | 서정환 | pp.271-294 |
|
|
한국 예술가곡의 세계화 방안에 대한 제안적 기초연구 : IPA(국제음성기호)활용방안을 중심으로 | 홍승연 | pp.213-241 |
|
|
한국 초기 작곡가들의 실내악. 2 | 김미옥 | pp.129-165 |
|
|
민요를 활용한 음악극 활동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 박주만 | pp.295-319 |
|
|
일제 식민지기 후반의「황성의 적」출현의 의의 : 이애리수, 남인수, 윤복희 그리고 한영애의「황성옛터」를 중심으로 | 안영희 | pp.243-269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실내악곡의 분석연구 | 소장 |
2 | “한국 작곡가의 초상(9), 윤해중”, 음악저널 31(1992, 7월호) | 미소장 |
3 | ‘‘작곡가의 초상 13: 최인찬의 작곡세계와 작품세계”,음악저널, 35,1992, 11월호. | 미소장 |
4 | “작곡가의 초상 21: 작곡가 정회갑의 작곡세계와 작품세계” , 음악저널, 43, 1993, 7월호. | 미소장 |
5 | “특집: 한국음악 20세기,김순남(金順男)” , 옴악과 민족, 제26호, 2003. | 미소장 |
6 | 한국 초기 작곡가들의 피아노음악 | 소장 |
7 | 韓國音樂의 方向 : 새 音樂創造의 提言 | 소장 |
8 |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 , 음악예술사, 1971. | 미소장 |
9 | 현악합주를 위한 모음곡(Suite for String Orchestra), 음악예술사,1995. | 미소장 |
10 | 이상근 피아노 작품의 분석적 고찰 | 소장 |
11 | 韓國的 旋律의 和聲化에 關한 試論 | 소장 |
12 | ,“한국화성학’, 「현대화성론: 화성분석과 한국적 화성연구』, 서울: 세광옴악, 1990[1982]. | 미소장 |
13 | “한국음악의 토착화와 현대화” , 여화와는 나의 목자시니, 세광음악,1985. | 미소장 |
14 | Shinawi for 8 Player,, 예당출판사, 1993. | 미소장 |
15 | 鄭回甲 作品論 | 소장 |
16 | 세광출판사 편집부, •한국피아노곡집』제1권, 세광출판사,1970. | 미소장 |
17 | 윤이상(尹伊桑).1 | 소장 |
18 | 정윤주(鄭潤柱) | 소장 |
19 | 예당출판사 편집부, 한국현대작곡가 1집 , No.60, 89,90,예당출판사,1992. | 미소장 |
20 | 월간옴악 편,『정윤주, 현악4중주 제1번 , 월간음악, 1969. | 미소장 |
21 | “作曲家의 辯,발표회를 마치고” , 조선일보 , 1955. 3. 4. | 미소장 |
22 | 두勢力 : 十二音 | 소장 |
23 | “나와 음악", 조선일보, 1956. 4. 21. | 미소장 |
24 | 나의 길,나의 이상, 나의 음악, 도서출판 HICE, 1994. | 미소장 |
25 | “한국 작곡가의 초상(9), 윤해중”, 음악저널 31(1992, 7월호) | 미소장 |
26 | 옴악춘추사 편, 어린이를 위한 피아노 창작곡집, 제1권, 음악춘추사, 1987. | 미소장 |
27 | 한국작곡가 작품총목록,한국작곡가협회,1996, 중보판. | 미소장 |
28 | 이상근기념사업회, 이상근 작품전집 6-8: 실내악곡집, 이상근기념사업회, 2009. | 미소장 |
29 | Special Edition : Lee Sang Keun 1 - His Writings and Works / A Study of Korean Songs ( 1955 ) 1 ![]() |
미소장 |
30 | 내 남편 윤이상 상권 (서울: 창작과비평사, 1998) | 미소장 |
31 | 초기 관현악곡에 나타난 한국음악적 요소 : 1939-1959 | 소장 |
32 | 『국악대사전』,세광출판사,1984. | 미소장 |
33 | Hoe - Gap Chung and His Music | 소장 |
34 | 이상근의 음악관;그의 논문을 중심으로 | 소장 |
35 | 『초창기 부산음악사』(부산: 세종출판사, 2004) | 미소장 |
36 | 윤이상의 음악세계 (서울: 한길사, 1991) | 미소장 |
37 | 그리운 금강산; 고회 기념 최영섭 비망록, 제1권, 1999. | 미소장 |
38 | 李太白 시에 의한 삼정경, 음악춘추사, 1984. | 미소장 |
39 | 힌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편,『한국작곡가 사전』,서울 시공사, 1999. | 미소장 |
40 | 나운영의 교회음악이 가진 기법적 특징들 | 소장 |
41 | Musik fur Sieben Instrumente, Berlin: Bote & Bock, 1960. | 미소장 |
42 | Loyang, Berlin: Bote & Bock, 1964. | 미소장 |
43 | Trio fur Flote, Oboe und Violiney Berlin: Bote & Bock, 1974. | 미소장 |
44 | Quarteti fur Flote, Berlin: Bote & Bock, 198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