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조선 후기의 학자 이규경(李圭景, 1788∼?)의 방대한 저작인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의 섭생(攝生)편에는 “사시십이시청취변증설(四時十二時淸趣辨證說, 일 년 사시와 하루 열두 시간의 청취에 대한 변증설)”이란 양생(養生)에 관한 글이 실려 있다. 한국고전번역원에서는 일찍이 1970년대에 《오주연문장전산고》를 번역 출간하였고, 현재는 모든 간행물을 DB로 구축하고 웹서비스함으로 해서, 이 글은 “옛날 선비들의 수련 방법”, “19세기 조선 선비의 사계절 생활훈” 등으로 인터넷을 통해 널리 회자되고 있다.
원래 “사시십이시청취변증설”은 명말청초(明末淸初) 시기의 정우문(程羽文)이 14 조목으로 편찬한 《청한공(淸閒供)》의 일부 내용을 그대로 옮긴 것이다. 즉 “사시청취(四時淸趣)” 부분은 《청한공》의 “사시환(四時歡)”을, “십이시청취(十二時淸趣)” 부분은 《청한공》의 “이육과(二六課, 이육은 곧 십이를 말함)”를 옮겨놓은 것이다.
정우문(程羽文)에 대해서는 명말 신안[新安, 현 안휘성 휘주(徽州)]인 정도로만 알려져 있고, 생몰년도 등 기타 행적에 관한 내용은 거의 알 수 없다. 다만 그의 대표작인 《원앙첩(鴛鴦牒)》이 고대 실존 역사인물들의 시대를 넘나드는 혼인설정으로 인하여 “망국지음(亡國之音)”으로 낙인찍혔다. 이러한 연유 때문인지 이규경은 특별히 그 출처를 밝히지 않아, 일반적으로 “사시십이시청취변증설”은 이규경의 저술로 알고 조선후기 선비상과 연계시키고 있다.
“사시십이시청취변증설”의 내용은 마음을 안정시키고 원기(元氣)를 보존하여 건강증진을 위한 일 년과 하루의 양생법에 관한 기록이다. 《황제내경(黃帝內經)》에도 이미 “십이시진양생법(十二時辰養生法)”에 관한 내용이 간략히 서술되어 있으나, 정우문은 《청한공》에서 이를 보다 구체적이며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즉 “사시환(四時歡)”에서는 사시 중에 각각 하루를 설정하여 그 계절에 적합한 양생법을 하루의 시간대별로 서술하고 있으며, “이육과(二六課)”에서는 하루의 양생법을 진시(辰時, 07시~09시)부터 익일 묘시(卯時, 05시~07시)까지 하루 열두 시간의 순차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서술하고 있다. 이 내용은 이후 청대(淸代)의 의서(醫書)에도 기술되고, 현재 중국에서도 인터넷 보급과 함께 심신수련의 방법의 하나로 매우 광범하게 유전되고 있다.
《청한공》의 원문은 본래 문체가 간결하여 함축된 뜻이 많아 그 원의(原義)를 파악하기 힘든 부분이 적지 않다. 더구나 이규경의 “사시십이시청취변증설”은 《청한공》의 원문과 대조해 보면 오탈자(誤脫字)가 심하여 더욱 해독하기가 난해하다. 따라서 현재 널리 유전되고 있는 한국고전번역원의 “고전번역총서” 중 《오주연문장전산고》내의 “사시십이시청취변증설” 해석은 이러한 연유로 오류가 많이 드러나고 있다. 한국고전번역원의 또 다른 총서인 “국학원전총서”의 “사시십이시청취변증설”에서는《청한공》의 원문에 의거 보충을 하여 많은 오류을 바로잡으나 아직도 《청한공》의 원문과 서로 상이한 점이 남아 있다.
따라서 본문은 상해고적출판사(上海古籍出版社)에서 1990년 영인(影印)한 청대 장조(張潮, 1659~1707) 등이 편집한《소대총서(昭代叢書)》본과 1910년경 상해국학부론사(上海國學扶輪社)에서 출판한 《향염총서(香艶叢書)》본 《청한공》에 의거하고 한국고전번역원의 해석본을 참조하여, “사시십이시청취변증설”을 재정리, 번역해 보고자 한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했듯이 원문이 간결, 함축되어 있고 아울러 필자의 고문해독 능력의 한계로 말미암아 또 다른 오류를 면할 길이 없다.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The concept "life" and its opposite: theoretical and practical reflections | Jose Mario C. Francisco | pp.19-32 |
|
보기 |
아시아 민주주의 지표를 통해 본 한국 민주주의 | 김형철, 이승원 | pp.35-82 |
|
보기 |
이제는 말해야 한다 : 아동성폭력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반성 | 구미정 | pp.85-124 |
|
보기 |
생태문학의 관점에서 김원일의「도요새에 관한 명상」연구 | 배경열 | pp.125-156 |
|
보기 |
노인상담에서 이야기된 개인으로서 노인에 대한 이해 : 누적적으로 형성되고 있는 자아 | 송인주 | pp.157-201 |
|
보기 |
김수환 추기경의 생태영성 | 유정원 | pp.203-234 |
|
보기 |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기능과 역량강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 이금진 | pp.235-275 |
|
보기 |
존엄하게 죽을 권리에 대하여 | 이순성 | pp.277-308 |
|
보기 |
『사시(四時)와 십이시진(十二時辰)에 관한 양생법(養生法)』 : 李圭景의 "四時十二時淸趣辨證說" 교감(校勘) | 유승상 | pp.312-324 |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