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is the male high school student's physical fitness test result and personality test result's relationship. In order to explore the relationship, 229 of first grade and 266 of second grade students of D high school were investigated. The subject's temperament, character were assessed through JTCI. Those are the correlation of temperament, character and physical fitness, the influence of temperament character to physical fitness ,the difference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based on physical fitness. The result of paper were followings. The temperament, character and physical strength showed correlation. Harm avoidance and novelty seeking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showed influence to physical fitness test. The level of physical fitness showed the difference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농촌노인을 위한 기체조 복합운동의 효과 김지선, 김수연 pp.39-51

대학운동선수들의 스포츠가치관이 진로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정원남, 원영신, 최영래 pp.145-154

장애학생 가족지원을 위한 여가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이론적 탐색 남희은, 안상욱, 이현수 pp.89-100

10주간 줄없는줄넘기 운동이 비만 남자 중학생의 건강관련체력, 인슐린저항성 및 렙틴에 미치는 영향 김수미, 박현정, 이청무, 최운영 pp.203-212

전신 진동기반 중력가속 운동의 효과와 위험성 이운용 pp.101-111

노인여가관련 신문보도의 프레임 분석 오세숙, 김종순, 신규리 pp.25-37

남자고등학생들의 비만도에 따른 학업성적과 체력의 비교연구 조민혜, 김은성 pp.241-249

신체활동 수준의 차이가 전업 주부 중년 여성의 건강관련체력에 미치는 효과 박해찬 pp.261-269

경영학적 관점의 웰니스 연구 필요성 차윤석 pp.1-13

노인 여성들의 복합운동이 활동체력 및 심혈관계 질환 위험 요소에 미치는 영향 조현철, 김종식 pp.251-260

Health Promotion by Cell Transplantation after Cerebral Ischemia in Rats 이태훈, 신철호 pp.283-288

경기력 수준에 따른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들의 슬관절 등속성 근기능 및 유산소성 능력에 관한 연구 김유신, 김대훈, 김은정 pp.221-230

스크린골프 마니아들의 지각된 가치 및 사회적 지지가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염두승 pp.63-72

중학교 체육수업의 재미요인과 스트레스 및 운동지속의사의 관계 정연성 pp.191-201

예비 보육교사의 사회심리적 건강과 건강증진행위 이행 김지윤 pp.165-179

남성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체력요인과 신체구성의 비교 김석희, 류현승 pp.231-240

e스포츠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오세숙, 김대훈 pp.113-121

월경주기에 따른 내리막 고강도 달리기가 면역기능 및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황은진, 이대택, 이승범 pp.271-282

골프클럽 브랜드 신뢰, 브랜드 애착관계에서 자아동일시 매개효과 검증 박상일, 최진철 pp.15-24

스포츠센터 종사원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유용상 pp.73-85

여성의 이종격투기 시청 및 인식에 따른 언어적 공격성과 스트레스 해소의 효과 조규보, 박진우, 이형일 pp.155-164

12주간의 규칙적인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비만노인의 신체구성과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 안도열, 최병환 pp.213-220

대학 교양체육 참여에 따른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문대성, 현승권 pp.135-144

자기표현훈련과 나 전달 기법 프로그램이 대학 운동선수의 심리적 행복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최경석, 신정택 pp.181-190

대학생 멀티미디어 건강교육의 건강지각이 웰빙지향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현욱 pp.53-62

남자 고등학생의 기질 및 성격과 체력의 관계 박현경, 조남기, 조민혜, 김은성, 안현균 pp.123-133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The Significance and Application of Advanced Intramurals sport 네이버 미소장
2 A analysis on the Character Type of Middle & High School Track and Field Athletes 소장
3 청소년 시기의 체력 요인별 발달 연구 네이버 미소장
4 유아의 기질과 운동능력에 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5 나정균(1986). 남, 녀 배구선수들의 인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6 민병배, 오현숙, 이주영(2007). 기질 및 성격검사 매뉴얼. 서울: 마음사랑. 미소장
7 A study on temperament characteristic of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ice hockey players 소장
8 오현숙, kristion Goth, 민병배(2008). 독일과 한국 청소년의 기질 및 성격 특성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14(1), 391-407. 미소장
9 유근배, 정성태(1997). 체력장 종목 점수와 IQ와의 관계. 쳬력과학연구, 1, 67-72. 미소장
10 우수사격 선수들의 성격특성 소장
11 초등예비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신체운동지능과 스포츠 집중력과의 관계 소장
12 이완섭(1975). 체력에 따른 성격차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19(1), 51-58. 미소장
13 전정우, 최영렬, 김봉근(1999). 운동선수의 기질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체육학회지, 8(1), 393-402. 미소장
14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and Physical Fitness 네이버 미소장
15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Physical Fitness and Temperament 소장
16 최영렬, 김용길(1998). 태권도 선수의 기질 특성에 관한 연구. 체육과학논총, 11, 45-57. 미소장
17 現行 體力章 種目과 人性과의 關係 네이버 미소장
18 Allport, G. W. (1961). Pattern and growth in personality.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미소장
19 Bucher, C. A.(1975). Foundations of physical education (7th Ed.) St. Louis: CV Mosby Company. 미소장
20 A Systematic Method for Clinical Description and Classification of Personality Variants 네이버 미소장
21 Cloninger, C. R. Przybeck, T. R., Svrakic, D. M, & Wetzel, R. D. (1994).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TCI): A guide to its development and use. Center for Psychobiology of Personality, Washington University: St Louis, MO. 미소장
22 A generalized equation for prediction of VO2peak from 1-mile run/walk performance. 네이버 미소장
23 Eysenck, H. J.(1970). The structure of human personality (3rd ed). London: Mothuen. 미소장
24 Goldberg, L. R.(1981), Language and individual differences: The search for universals in personality lexicons. in L. Wheeler(Ed.), Review of personality: The big-five factor struct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6), 1216-1229. 미소장
25 Gray, J. A.(1982). The neuropsychology of anxiet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26 Johnson, W. R, Hutton, D. C. & Johnson, G. B. (1954). Personality traits of some champion Athletes. Research Quarterly, 25, 484-485. 미소장
27 Matt Ridley(2004). 본성과 양육. 서울: 김영사. 미소장
28 Rudolf Steiner(2011). 발도르프 학교 교사를 위한 세미나 논의와 교과 과정 강의. 서울: 밝은 누리.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