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4대강(한강, 금강, 영산강, 낙동강) 하구의 중요 속성(하구 유형, 하구 하천 수질, 하구 해수역 수질, 하구 생물다양성 수준)과 관련된 가치를 도출하기 위하여 진술선호법에 속하는 선택실험법(CE)을 이용하였다. 선택실험법에서 얻어진 자료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다항로짓모형(MNL)으로 분석하지만, 다항로짓모형의 기본 가정에 해당하는 IIA 성립 여부를 Hausman과 McFadden(1984)이 제시한 검정 통계량으로 검토한 결과에 따르면 본 연구 자료에서 IIA 가정은 모두 기각되었다. 그러므로 IIA의 가정을 완화한 이분산극치모형(HEV)과 다항프로빗모형(MNP)으로 분석한 결과, IIA 가정을 충족하지 못하는 자료를 다항로짓모형으로 분석하면 그로부터 도출된 추정계수 및 속성의 경제적 가치들을 상당히 왜곡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항프로빗모형(MNP)의 추정 결과에 따르면, 4대강에 속하는 한 하구가 자연 하구인 경우의 경제적 가치는 3,523억원(95% 신뢰구간 2,611억원~4,778억원)이다. 4대강에 속하는 한 하구 하천 수질이 한 등급 상승하면 4,115억원(95% 신뢰구간 3,385억원~5,255억원)의 경제적 가치를 갖는다. 한편 4대강 하구에 속하는 한 하구의 해수역 수질이 한 등급 상승하면 3,589억원(95% 신뢰구간 2,925억원~4,570억원)의 경제적 가치가 증가한다. 4대강 하구에 속하는 한 하구의 생물다양성이 한 등급 상승하면 1,519억원(95% 신뢰수준 990억원~2,186억원)의 가치가 증가한다. 그러므로 4대강 하구에 속하는 한 하구가 인공이 아닌 자연 하구이면서 하구 하천 수질이 좋은 수질(2급수) 수준, 하구 해수역 수질이 좋은 수질(1등급), 생물다양성이 높은 수준이면, 경제적 가치는 2조 1,970억원이며 95% 신뢰수준은 1조 7,210억원~2조 8,799억원으로 평가된다.
This study applied choice experiment(CE) method(which is included in the stated preference method) to estimate values of some important attributes(i.e. type of estuary, water quality of river in estuary, water quality of sea in estuary, biodiversity level of estuary) of 4 major river(Hangang, Guemgang, Yeongsangang, Nakdonggang) estuaries in Korea. Although the multinomial logit model (MNL) is generally applied to analyse the CE data, testing for IIA assumption with the Hausman and McFadden test in MNL model shows that the IIA assumption in our data is rejected. Therefore, the heteroscedastic extreme value model(HEV) and the multinomial probit model(MNP) which are not based on the IIA assumption are used to analyse our CE data. As results, the coefficients and the elicited economic values of MNL model are seriously distorted if the IIA assumption is not satisfied in MNL model.
The estimation results of MNP model show that the economic values are elicited as 352.3 billion won(95% C.I. 261.1 - 477.8 billion won) for natural estuary, 411.5 billion won(95% C.I. 338.5 - 525.5 billion won) for one grade improvement of river water quality in estuary, 358.9 billion won(95% C.I. 292.5 - 457.0 billion won) for one grade improvement of sea water quality in estuary, and 151.9 billion won(95% C.I. 99.0 - 218.6 billion won) for one grade improvement of biodiversity level of estuary. Therefore, the value of estuary is reached to 2,197.0 billion won(95% C.I. 1,721.0 - 2,879.9 billion won) if any natural estuary in 4 major rivers has good water quality of river in estuary(i.e. 2nd grade), good water quality of sea in estuary(i.e. 1st grade), and good biodiversity level of estuary.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An Iterative Approach to the Estimation of CO2 Abatement Costs | Alexandre Repkine, 민동기 | pp.499-520 |
|
|
선택실험설문에 의한 방사능 피폭 가능성에 대한 원자력 기술개발 종사자의 지불용의액 추정 | 배정환 | pp.411-435 |
|
|
중국 제조업 부문별 CO2 잠재감축량 및 한계저감비용 지역 간 비교 분석 | 김영미, 이명헌 | pp.459-479 |
|
|
Energy requirement of Korean households from 1995 to 2010 : An input-output analysis- | 박희천 | pp.547-580 |
|
|
4대강 하구의 속성 가치 추정 : 다항로짓모형에서 IIA가정의 검토와 대안 모형을 중심으로 | 신영철 | pp.521-545 |
|
|
인식수준이 환경오염물질 배출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 환경쿠즈네츠 곡선 가설 연구 | 강희찬 | pp.437-457 |
|
|
자발적 프로그램의 성과 분석 : 30/50프로그램 중심으로 | 김홍균, 이강오, 이윤수, 이정민, 허정, 홍성신 | pp.481-498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만옥 외, 「우리나라 주요 습지의 경제적 가치 평가 연구」, 환경부 UNDP/GEF 국지습지보전사업단, 2008. | 미소장 |
2 | 곽승준 외,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하구환경의 가치추정: 한강하구를 중심으로” 「경제학연구」, 54(4), pp. 141~161, 2006. | 미소장 |
3 | The Effect of Heterogeneous Preference on Non-market Valuation | 소장 |
4 |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 미소장 |
5 | 노백호 외, 「지속가능한 하구역 관리방안 연구(3)」, 한국환경정책 · 평가연구원, 2006. | 미소장 |
6 | Analysis of Housing Choice Using Multinomial Probit Model -Bayesian Estimation- | 소장 |
7 | 박현 외, 「문화시설의 가치추정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04. | 미소장 |
8 | 송교육, 제윤미, 「낙동강 하구역의 생태 · 경제학적 가치평가와 보전방안에 관한 연구」,부산발전연구원, 2004. | 미소장 |
9 | Estimating values of statistical lives using choice experiment method | 소장 |
10 | 신영철, 「비시장재화 가치 평가의 이론과 실제」, 연구보고서, 국회예산정책처, 2007b. | 미소장 |
11 | 신영철 외, “선택실험법에 의한 우리나라 주요 습지의 가치 추정”, 한국환경경제학회하계학술대회 자료집, 2009. | 미소장 |
12 | 신영철, 생물다양성의 경제적 가치평가 , 한국학술정보(주), 2010. | 미소장 |
13 | A Comparative Study on Estimation Models for the Value of Access to a Natural Recreation Site: Focusing on the Estuary Area of Yeongsan River | 소장 |
14 | 우리나라 습지의 환경적 가치 : 메타회귀분석 | 소장 |
15 | Using Mixed Logit Model and Latent Class Model to Analyze Preference Heterogeneity in Choice Experiment Data | 소장 |
16 | 유승훈, “섬진강 하구의 환경가치 추정”, 「환경정책연구」, 6(2), 2007, pp. 1~26, | 미소장 |
17 |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Based on Multi-attribute Utility Theory to Measure the Environmental Value of the Nakdong-river Estuary | 소장 |
18 | Bennett J. and R. Blamey, The Choice Modelling Approach to Environmental Valuation, Edward Elgar, 2001. | 미소장 |
19 | Bhat, C. R., “A Heteroscedastic Extreme Value Model of Intercity Travel Mode Choice,” Transprotation Research, Vol. 29B, 1995. pp. 471~483. | 미소장 |
20 | Champ, P. A., K. J. Boyle and T. C. Brown, A Primer on Nonmarket Valuation, 2003. | 미소장 |
21 | Specification Tests for the Multinomial Logit Model ![]() |
미소장 |
22 | Hensher D. A., J. M. Rose and W. H. Greene, Applied Choice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 미소장 |
23 | A New Approach to Consumer Theory ![]() |
미소장 |
24 | MaFadden, D., Conditional Logit Analysis of Qualitative Choice Behavior, in P. Zarembka (ed.), Frontiers in Econometrics, New York: Academic Press, 1974. | 미소장 |
25 | Train, K., Discrete Choice Methods with Simula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