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이 부모의 자녀지도 방법 및 자녀의 정서적 안정성과 대인관계에서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2 |
김남희(2000). 효과적인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 한양대학교대학생활연구, 14: 43-60. |
미소장 |
3 |
김양희(1989). 가족관계학. 서울: 수학사 |
미소장 |
4 |
Theoretical Frameworks to Predict Factors Associated With the Marital Quality and Stability
|
소장 |
5 |
김윤희(1989). 부부관계 부모자녀의사소통 가족기능과 청소년 자녀 비행과의 관계연구. 숙 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6 |
김은정(2007). 부부의 MBTI 성격유형 및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
미소장 |
7 |
The Influence of the Satisfaction of Couple Life, Communication, and the Level of Stress on Battering Child
|
소장 |
8 |
모의희․ 김재환(2002). 의사소통과 부부 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심 리학회지, 14(4): 887-900. |
미소장 |
9 |
박옥임(2006). 농촌 조손가족의 손자녀 연구-3세대 가족과의 비교.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 |
가족갈등과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
미소장 |
11 |
손수향(2005). 자아존중감, 가족의 건강성,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농촌 청소년의 학교 생활적 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9): 121-134. |
미소장 |
12 |
적극적 부모역할 집중훈련이 어머니의 양육태도, 언어통제성 유형 및 자녀가 지각하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미소장 |
13 |
안유자(2000). 부부 적극적 부모역할훈련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 자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1): 1-16. |
미소장 |
14 |
안진홍(2003). 의사소통과 부부 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14(4): 887-900. |
미소장 |
15 |
안희정(2005). 가족응집력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청소년 상담연구, 13(2): 85-97. |
미소장 |
16 |
Effects of Self-Esteem, Healthiness of Family,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on the School Life Adjustment in Rural Adolescents
|
소장 |
17 |
양옥경(2003). 가족탄력성 증진을 위한 부모역할 프로그램 개발연구. 사회과학연구논문, 11: 115-147. |
미소장 |
18 |
양옥경․김연수․ 권자영(2006).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8(1): 143-173. |
미소장 |
19 |
여혜연(2003). 효율적인 부모역할 훈련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언어통제 유형에 미치는 영향. 계 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 |
이동철(1993). 부모역할 훈련이 어머니 교육태도와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효성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
미소장 |
21 |
이복순(2004). 부부의 자존감, 의사소통방식 및 갈등대처 행동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 한국 심리학회지, 19(1): 65-83. |
미소장 |
22 |
이소영(2008). 가족건강성이 결혼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23 |
이영분(1983). 어머니 교육을 통한 부모 자녀간의 갈등적 관계 개선에 관한 실험연구 Thoas Gordon의 모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4 |
Effectiveness and Development of Family Psycho-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of Family Resilience - Targeted the Family with Mental Illness Children -
|
소장 |
25 |
이현림․류현정․ 김지혜(2007). MBTI를 활용한 적극적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자녀 간 의 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8(2): 533-547. |
미소장 |
26 |
이현주(2008). 사무직 남성의 부부의사소통과 직무만족 및 조직 몰입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 지, 17(1): 1-12. |
미소장 |
27 |
이형득(1995). 인간관계 훈련의 실제. 서울: 양서원. |
미소장 |
28 |
임미희(2006). 부모폭력을 경험한 청소년의 문제 행동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9 |
The Effects of Active Parenting Programs o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Rearing Stress
|
소장 |
30 |
전병렬(2010). P.E.T. 부모훈련 프로그램이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가족관계 향상에 미치 는 효과. 생활심리, 1: 56-61. |
미소장 |
31 |
효과적인 부모역할훈련이 가족의 의사소통과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 부부집단을 대상으로
|
소장 |
32 |
Study on the instability of marital relationship in Korea
|
소장 |
33 |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the Circumplex Model  |
미소장 |
34 |
Bigner, J.(1994). Perspectives on the parenting process: Family systems theory. In parent-child relations (4th ed.).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
미소장 |
35 |
Resilience in Midwestern Families: Selected Findings from the First Decade of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
미소장 |
36 |
Darper, W., Larsen, M., & Rowles, R.(2004). Developmental appropriate parent training for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2, 487-504. |
미소장 |
37 |
Fine, J.(1988). Handbook on parent education. New York: Academic Press. |
미소장 |
38 |
Gordon, R.(1980).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A preventive program and its effects on families. In M. Fine (Ed.), Handbook on Parent Education. (PP. 101-121). New York: Academic Press. |
미소장 |
39 |
Kanigsberg, S., & Levant, F.(2006). Parental attitudes and children's self-concept and behavior following parents' participation in parent training group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6(2), 152-160. |
미소장 |
40 |
Moos, R., & Moos, B.(1981). Family environment scale: Manual.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
미소장 |
41 |
Olson, D., Portner, J., & Lavee, Y.(1985). FACES III manual.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Minnesota. |
미소장 |
42 |
Walsh, F.(1998).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New York: Guildford Press. |
미소장 |
43 |
Resilience in Development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