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1945년 이후 한국, 대만 그리고 일본 등 동아시아 삼국에서 전개된 교육개혁에 대한 비교 연구이다. 삼국은 45년 이전에 일본제국의 판도에 속해 있었으나 2차대전 이후 일본과 한국은 각기 7년과 3년간 미군정의 통치 하에서 그리고 대만은 국민당 통치 하에서 각기 국민국가로 재편성되었으며 그에 병행하여 국민교육체제 형성을 위한 교육개혁이 전개되었다. 이 논문은 ‘국민만들기’의 관점에서 전후 삼국의 교육개혁의 성격을 검토하며 특히 학교교육의 내용과 형식이라는 틀을 통해 전전 교육체제와의 연속 및 단절 문제를 비교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기반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교육 프로그램 개발 구덕회 pp.245-260

교사의 질문 피드백이 영어 설명문 쓰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및 학생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김태은, 엄지현 pp.277-299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뇌과학적 접근 강옥려 pp.315-333

전후 동아시아의 교육개혁 비교 연구 : 한국·대만·일본을 중심으로 오성철 pp.1-20

아동의 또래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박현아, 홍상황 pp.55-74

초등영어 담당 예비교사의 교수유형이 영어지도법 강의 및 교육실습에 미치는 영향 김재혁 pp.93-113

초등학교 4학년 자유탐구 활동에서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의 활용 효과 분석 이국환, 김효남 pp.133-149

라인댄스 체험을 통한 초등 교사의 인식 변화 연구 김두련 pp.207-221

긍정심리증진 프로그램이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하요상, 김광수, 김경집, 김은향 pp.39-53

물발자국 개념에 기반을 둔 초등학교 고학년용 물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이상원, 김유라, 이지은 pp.189-206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동화활용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문성환, 윤태호 pp.335-350

일본의 교원양성 정책 동향과 과제 고찰 남경희 pp.21-38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이 또래관계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은혁기, 나기은 pp.75-91

2009 개정 초등 통합교과 교육내용 구성방식에 관한 비판적 고찰 : 특징과 향후 과제 노철현 pp.115-131

예비교사가 수행한 교재 재구성 과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초등 국어과 문법 영역을 중심으로 김지영 pp.223-243

식물 관련 독서 활동이 '식물의 기관'에 대한 초등학생의 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홍승호, 김주연 pp.151-164

유치원 교사의 공학기술교육에 대한 중요도 조사 분석 정진현 pp.301-314

도덕교육의 핵심역량으로서의 수행적·도덕적 인격에 관한 연구 유병열 pp.165-188

다중 문해력 교육을 위한 초등영어 디지털 교과서 기반 교수·학습 모형 연구 임희정 pp.261-275

참고문헌 (4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Dower, John W. (1999). Embracing Defeat: Japan in the wake of World War II. 최은석(역) (2009). 패배를 껴안고-제2차 세계대전 후의 일본과 일본인. 서울: 민음사. 미소장
2 McLeod, John. (2000). Beginning Postcolonialim. 박종성 외(편역) (2003). 탈식민주의 길잡이. 서울: 한울아카데미. 미소장
3 김동구 (1995). 미군정기의 교육. 서울: 문음사. 미소장
4 김영봉 외 (1980). 한국의 교육과 경제발전 (1945-75).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미소장
5 The Educational Ideology and Activities of Korean Educator's Association under the U.S Military Rule of Korea 소장
6 성내운 (1965). 韓國敎育의 證言. 서울: 培英社. 미소장
7 아부양(편) (1987). 解放後 韓國의 敎育改革-美軍政期를 中心으로-. 서울: 韓國硏究院. 미소장
8 오성철 (2006). 조회의 내력. 윤해동 외(편), 근대를 다시 읽는다 1(pp.85-124). 서울: 역사비평사. 미소장
9 오욱환, 최정실 (1993). 미군 점령시대의 한국 교육: 사실과 해석. 서울: 지식산업사. 미소장
10 오천석 (1947). 民主主義敎育의 建設. 吳天錫敎育思想文集 1(1975년 복간). 서울: 光明出版社. 미소장
11 오천석 (1960). 民主敎育을 志向하여. 吳天錫敎育思想文集 1(1975년 복간). 서울: 光明出版社. 미소장
12 오천석 (1964). 韓國新敎育史. 서울: 現代敎育叢書出版社. 미소장
13 오천석 (1975). 외로운 城主. 吳天錫敎育思想文集 10. 서울: 光明出版社. 미소장
14 유종호 (2004). 나의 해방전후, 1940∼1949. 서울: 민음사. 미소장
15 이광호 (1985). 미군정의 교육정책. 강만길 외. 해방전후사의 인식 2(pp.494-528). 서울: 한길사. 미소장
16 이길상 (2007). 20세기 한국교육사-민족, 외세, 그리고 교육. 서울: 집문당. 미소장
17 정용욱(편) (1995). 해방전후 미국의 대한정책사 자료집-4. 서울: 다락방. 미소장
18 정태수 (1995). 광복3년 韓國敎育法制史. 서울: 叡智閣. 미소장
19 한준상 (1987). 미국의 문화침투와 한국교육. 박현채 외. 해방전후사의 인식 3(pp.541-607). 서울: 한길사. 미소장
20 丸山真男 (1964). 現代政治の思想と運動. 김석근(역) (1997). 현대정치의 사상과 행동. 서울: 한길사. 미소장
21 國史館敎育志編纂委員會 (1990). 中華民國史敎育志(初稿). 臺北: 國史館. 미소장
22 汪知亨 (1978). 臺灣敎育史料新編.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미소장
23 曾立維 (2006). 臺灣戰後師範學校敎育的斷裂與延續. 臺灣風物, 56(2), 143-165. 미소장
24 陳翠蓮 (2002). 去殖民與再殖民的對抗: 以一九四八年臺人奴化 論爭爲焦點. 臺灣史硏究, 9(2), 中央硏究院臺灣史硏究所, 145-201. 미소장
25 秦孝儀(編) (1990). 光復臺灣之籌劃與受降接收. 臺北: 中國國民黨中央委員會黨史委員會. 미소장
26 行政院客家委員會 (2011). 99年至100年全國客家人口基礎資料調査硏究. 臺北: 行政院客家委員會. 미소장
27 胡茹涵 (2006). 二二八事件前後的臺灣中學敎育 (1945-1949) (上). 臺灣風物, 56(1), 75-121. 미소장
28 Anderson, Benedict (1983). Imagined Comminuities. 白石さや、白石隆(訳)(1997). 増補 想像の共同体. 東京:NTT出版. 미소장
29 菅野敦志 (2011). 台湾の国家と文化ー脱日本化ㆍ中国化ㆍ本土化. 東京: 勁草書房. 미소장
30 菅野敦志 (2012). 台湾の言語と文字ー國語ㆍ方言ㆍ文字改革. 東京: 勁草書房. 미소장
31 大田堯(編) (1978). 戰後日本敎育史. 東京: 岩波書店. 미소장
32 阿部洋 (1988). 米軍政下におけるアメリカの対韓教育政策. 韓, 111, 6-60. 미소장
33 若林正丈 (2001). 台湾ー変容し躊躇するアイデンティティ. ちくま親書. 東京: 筑摩書房. 미소장
34 梁禎娟 (1992). 戰後轉換期(1945-49)における臺灣敎育政策の硏究. 敎育行政學硏究室紀要, 12, 東京大學敎育學部, 55-74. 미소장
35 吳密察 (1993). 臺灣人の夢と二ㆍ二八事件-台湾の脱植民地化-. アジアの冷戦と脱植民地化(pp.39-70). 岩波講座 近代日本と植民地 8. 東京: 岩波書店. 미소장
36 吳濁流 (1972). 夜明け前の台湾-植民地からの告発. 吳濁流選集 第1卷. 東京: 社會思想社. 미소장
37 戰後日本敎育史料集成編輯委員會 (1982). 戰後日本敎育史料集成 第1卷 敗戦と教育の民主化. 東京: 三一書房. 미소장
38 何義麟 (1999). 國語の転換をめぐる台湾人エスニシティの政治化. 日本臺灣學會報, 1, 92-107. 미소장
39 何義麟 (2003). 二ㆍ二八事件-「臺灣人」形成のエスノポリティクス. 東京: 東京大學出版會. 미소장
40 Arndt, C. O. et al. (1947). Report of the Educational and Informational Survey Mission to Korea, in 鄭泰秀(편), 米軍政期 韓國敎育史資料集(上): 1945-1948(pp.1414-1471). 서울: 弘芝苑. 미소장
41 Belden, Jack (1951). China Shakes the World. London: Victor Gollancz Ltd. 미소장
42 Gold, Thomas B. (1986). State and Society in the Taiwan Miracle. N.Y.: M. E. Sharpe, Inc. 미소장
43 Lauterbach, Richard E. (1947). Hodge's Korea. Virginia Quarterly Review, 23(3), Summer, 349-368. 미소장
44 United State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Department of Education (1946). History of Bureau of Education from 11 September 1945 to 28 February 1946, in 鄭泰秀(편), 米軍政期 韓國敎育史資料集(上): 1945-1948(pp.36-145). 서울: 弘芝苑. 미소장
45 Werth, Richard (1949). Educational Developments under the South Korea Interim Government. School and Society, Vol.69, April 30, 305-309. 미소장
46 Wilson, Richard W. (1970), Learning to be Chinese: The Political Socialization of Children in Taiwan. Cambridge, M.A.: The M.I.T. Press. 미소장
47 渡邊彰(編) (1946). Report of the United States Education Mission to Japan. 東京: 目黑書店.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