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융복합 기술을 활용한 아동용 완구 콘텐츠의 인터페이스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 디지털 블록 완구 콘텐츠 개발을 중심으로
|
이정훈, 홍제훈
|
pp.43-56
|
|
|
|
스토리 전개와 등장인물 성격간의 연관성 분석 방법 : 그레마스 의미생성모델, 에니어그램 중심으로
|
최승락, 유재웅
|
pp.139-147
|
|
|
|
상생형 스마트디바이스 기반 디지털미디어콘텐츠 비즈니스 모델 제안
|
장호현
|
pp.523-532
|
|
|
|
대중의 문화예술 사회적 메시지 속성과 디지털아트소비의도 간의 관계 연구
|
홍은정
|
pp.67-79
|
|
|
|
1인 가구의 공동주거문화를 위한 셰어하우스 디자인 방향 연구 : 주방시스템디자인을 중심으로
|
이유영, 이명기
|
pp.461-471
|
|
|
|
여성의 물리적·정신적 공간 탐색에 관한 예비연구. 1, 일본 전문직 여성을 중심으로
|
정아영, 김주연
|
pp.565-575
|
|
|
|
동적환경에서의 사용자 시선분석을 통한 감성적 터치포인트 분석에 관한 연구 : 자동차 실내공간을 중심으로
|
서인경, 최민영
|
pp.285-294
|
|
|
|
모바일 결제 유형 분류에 따른 결제 프로세스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 국내 모바일 결제 유형 분류를 중심으로
|
정지은, 반영환
|
pp.641-650
|
|
|
|
샤넬의 플래그쉽스토어 디자인에 나타난 뵐플린과 플로슈의 고전주의적 조형특성과 표현방식에 관한 연구
|
심은주
|
pp.651-660
|
|
|
|
클레이아트를 활용한 전시 연계 체험교육 프로그램 운영사례 연구
|
양연경, 이부연
|
pp.149-160
|
|
|
|
매체적 관점에서 탈물질화와 비물질화의 개념에 대한 고찰
|
최성익
|
pp.181-189
|
|
|
|
국내 디자인정책 연구동향 및 과제 : 2009년~2013년 국내 박사학위논문 및 학술논문 분석
|
문은정, 나건
|
pp.295-304
|
|
|
|
정보디자인 관점에서 본 대학교 모바일 웹 UX 가이드라인 연구
|
엄기준
|
pp.161-170
|
|
|
|
모바일 횡스크롤 액션 게임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사용성에 관한 연구 : '다함께 삼국지'와 '삼국용장전' 중심으로
|
동염
|
pp.619-627
|
|
|
|
2in1 무선진공청소기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황정행
|
pp.385-394
|
|
|
|
박물관 체험 강화를 위한 해외박물관 공간 리노베이션 특성에 관한 연구
|
권민정, 최정아
|
pp.269-283
|
|
|
|
텐저블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음계 학습 및 창작용 시스템 제안 : 건반 악기 학습을 중심으로
|
주선, 남양희
|
pp.427-437
|
|
|
|
Analysis of Korean 3D Film Production Workflow : Compare to the Workflow of Hollywood
|
강지영
|
pp.23-32
|
|
|
|
자연모티브를 활용한 인테리어 텍스타일 소품의 표현 유형에 따른 선호도 연구 : 쿠션을 중심으로
|
양선영, 김지인, 박혜신
|
pp.683-692
|
|
|
|
홀로그램 기반 e-러닝 콘텐츠의 상호작용성 향상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중 깊이 맵 레이어 시각조형 연구
|
김문석, 조윤성, 원종욱
|
pp.57-66
|
|
|
|
Interaction Design Education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Age : Focused on the Visual Expression of Interactive Multimedia Design Curriculum
|
강태임
|
pp.1-10
|
|
|
|
서체 사용과 학습력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5학년 과학교과서를 중심으로
|
임헌우, 이근형
|
pp.325-335
|
|
|
|
A Study on Corporate Identity: The Reason for Change
|
김귀련, 김원택
|
pp.11-22
|
|
|
|
매체확장성을 위한 상징적 비주얼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한국고용정보원 워크넷 테마별 직업여행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김세웅, 김병완
|
pp.493-502
|
|
|
|
사인폐기물의 실태 조사 및 재활용을 위한 개선 방안 연구
|
김신혜
|
pp.99-108
|
|
|
|
국내 번역 유아그림책의 편집디자인 현황 분석 : 타이포그래피를 중심으로
|
김정희
|
pp.577-587
|
|
|
|
인간형 로봇의 조형 비례 선호도에 관한 연구
|
박정민, 구기설, 홍성수
|
pp.725-734
|
|
|
|
융합 가치창출 디자인 인재육성 전략 구조에 대한 연구 : 미래 산업·사회 변화와 학문분류체계 분석을 중심으로
|
강필현
|
pp.671-682
|
|
|
|
사용자 경험디자인을 위한 습관 행동분석 방법에 대한 연구
|
우다해, 최민영
|
pp.191-200
|
|
|
|
쌀 패키지디자인에 적용된 조형적 요소 분석 연구 : 국내외 PB브랜드를 중심으로
|
김희현, 송낙희
|
pp.363-372
|
|
|
|
디자인트렌드 예측을 위한 안티트렌드(Anti-trend) 활용 방법에 대한 연구
|
유하늬, 최민영
|
pp.407-416
|
|
|
|
제스처 인터랙션 사례 분석을 통한 하향식 제스처 디자인 방안 연구
|
김현정
|
pp.439-449
|
|
|
|
스크린 기반 브랜드스케이핑과 도시의 시각문화
|
김민지
|
pp.451-460
|
|
|
|
스마트폰 연동 방식의 보행주기분석 시스템 개발 가이드라인
|
정의태
|
pp.661-670
|
|
|
|
스마트폰 GUI UX과정과 경험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
조철수
|
pp.545-554
|
|
|
|
스마트디바이스 기반의 디지털매거진 인터랙션 디자인확장성 연구 : 터치 제스처 인터랙션을 중심으로
|
두경일
|
pp.693-702
|
|
|
|
공간디자인 감성반응에서 나타나는 이미지-랑그-빠롤 특성
|
서동연
|
pp.33-42
|
|
|
|
공동주택 거주자들을 위한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 연구 : 층간소음 분쟁 해결을 중심으로
|
강선미, 김승인
|
pp.201-211
|
|
|
|
수학적 개념을 형상화한 패턴양식의 활용
|
오혁근
|
pp.81-88
|
|
|
|
이상 시의 상호텍스트성을 통한 디지털미디어로서의 재매개 가능성 : <삼차각설계도>를 중심으로
|
이고은, 김준교
|
pp.119-128
|
|
|
|
차량 탑승자 알림 픽토그램을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 범주판단과제에서 나타난 반응의 결과
|
민승기, 이윤형, 박현수
|
pp.305-314
|
|
|
|
병원정보시스템의 서비스채널 역할을 위한 UI요건 연구
|
조현주, 신현경
|
pp.513-522
|
|
|
|
문화 차이가 제품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홉스테드(Geert Hofstede)의 문화변수를 중심으로
|
류페이셍, 김원경
|
pp.713-723
|
|
|
|
한국의 디자인조기교육 현황과 과제
|
현은령
|
pp.89-97
|
|
|
|
시각 디자인에서 인문학과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고찰 : 디자인 기획에 철학과 대중문화가 끼치는 영향
|
박한진
|
pp.129-138
|
|
|
|
디지털미디어 제품의 고급감 요인 도출
|
박주현, 최민영
|
pp.237-245
|
|
|
|
자연순환 디자인의 모델 설정을 위한 접근방향 연구
|
남현우
|
pp.315-324
|
|
|
|
색채 이미지를 바탕으로 한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패키지컬러 분석
|
이가영, 김지인
|
pp.337-348
|
|
|
|
조선일보 인포그라픽스와 매일경제 인포그라픽스 비교 연구 : 사용자 시선추적 분석을 중심으로
|
홍순재
|
pp.473-482
|
|
|
|
상호작용적 경험 공간을 위한 컨셉작품 제작 및 사례연구 : 'Bubble Wall' 컨셉작품 제작을 중심으로
|
이준서
|
pp.703-711
|
|
|
|
트랜스포밍 드레스의 이론적 정립 및 분석
|
김태연, 라건주, 성정환
|
pp.555-563
|
|
|
|
고도(古都)지역 경관의 색채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 : 신경주 KTX역을 중심으로
|
서주환, 황지희
|
pp.109-118
|
|
|
|
사용자 경험(UX) 디자인 프로세스 선행연구 경향에 대한 분석
|
오인균, 정석길
|
pp.247-256
|
|
|
|
모바일 선거캠페인 채널의 접근으로써의 게이트웨이 전략 분석
|
김민정, 현은령
|
pp.503-512
|
|
|
|
생리적 반응을 이용한 유희적 경험의 측정과 평가. 2, 사용자 경험의 평가에서 주관적 반응과 생리적 측정값의 상관관계
|
박정순
|
pp.225-235
|
|
|
|
ICT의 역사에 대한 트렌드맵과 타임라인 디자인 개발 : 아날로그 트렌드맵과 인터랙티브 앱북 개발을 중심으로
|
서이슬, 윤주현
|
pp.609-618
|
|
|
|
여성 인터넷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패션 및 뷰티 제품의 인터넷 쇼핑행동에 관한 연구
|
남미우
|
pp.257-268
|
|
|
|
다양한 디지털기기 화면의 최적화를 위한 사용자 조절 UI 화면 설계
|
임양미
|
pp.483-492
|
|
|
|
대학생 1인 가구의 지능형 주택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지능형 주거 서비스 및 계획요소 분석을 중심으로
|
박성준
|
pp.171-179
|
|
|
|
병원용 세면대 디자인 개발을 통한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의 제품디자인 방향성 연구
|
오승호, 이영진
|
pp.589-598
|
|
|
|
시각 요소의 상상을 통한 어린이 창의적 발상 모델 개발 연구
|
박혜정, 김후성
|
pp.373-383
|
|
|
|
이중직 직물구조를 활용한 3차원적 자카드 직물 디자인 개발
|
문보영
|
pp.599-608
|
|
|
|
산업디자인의 대상물에 사용자의 경험적 스토리가 부여된 트렌드 연구 : 갤럭시와 현대자동차의 제품과 광고 사례를 통한 산업디자인의 스토리 의미 요소 추출
|
정혁비, 이명기
|
pp.629-639
|
|
|
|
직물 벽지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패턴의 표현 유형, 심미성, 독창성 및 공간 호감도의 요인을 중심으로
|
박혜신
|
pp.395-406
|
|
|
|
국내 서비스디자인 연구 동향 분석
|
이주명
|
pp.417-426
|
|
|
|
브랜드 마케팅에 있어서 캐릭터의 영향에 관하여
|
김영호
|
pp.533-543
|
|
|
|
경험디자인 요소의 정서언어 측정에 관한 상관관계 연구 : 스마트 디바이스 앱 사용경험을 중심으로
|
최영현, 김승인
|
pp.349-361
|
|
|
|
생리적 반응을 이용한 유희적 경험의 측정과 평가. 1, 디지털 게임에서 사용자 경험의 평가를 위한 기초 연구
|
박정순
|
pp.213-223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