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일본인의 '숲'의 가치관에 따른 'Mori-Girl' 패션 트렌드 및 조형성 분석 / 윤지영 ; 이노미 1

[Title] 1

[목차] 2

논문요약 2

Abstract 2

1. 서론 3

2. 모리 걸의 이론적 고찰 3

2.1. 모리 걸의 개념 3

2.2. 모리 걸의 유래 4

2.3. 모리 걸의 배경 4

3. 모리 걸 패션 트렌드 분석 5

3.1. 의상 5

3.2. 헤어와 메이크업 6

3.3. 신발, 가방 및 장신구 6

4. '숲'의 가치관에 의한 모리 걸 패션의 조형성 7

4.1. 모방을 통한 독창성과 혼종성 7

4.2. '숲'과의 조화를 위한 자연 친화성 8

4.3. 귀여운 감성적 표현의 여성성 8

5. 결론 10

참고문헌 10

초록보기

본 연구는 내추럴하고 소녀적인 이미지의 패션 표현뿐만 아니라 라이프스타일에 있어서도 여유롭고 자유로운 경향을 보이는 일본의 ‘모리 걸(Mori-Girl)’ 패션에 대한 이론적 정초를 통해 모리 걸 패션 트렌드와 조형성을 밝힘으로써 모리 걸의 특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신(神)들이 사는 ‘숲’을 경외시하는 일본 특유의 가치관이 반영된 모리 걸 패션은 편안한 스타일을 추구하는 현대여성들의 기호에 부합하여 일본의 독특한 자연관을 현대 패션에 접목한 사례로 주목할 만하다.

먼저 기존에 연구되지 않았던 모리 걸에 대한 개념과 유래, 기원 등의 연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리 걸의 의상과 헤어, 메이크업, 가방과 신발, 장신구와 관련된 패션 트렌드를 순차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숲’의 가치관에 나타난 모리 걸 패션의 조형적 특성을 추출하였다.

의상, 헤어, 메이크업, 가방, 신발, 장신구 등에서 모리 걸의 고유한 특질인 ‘숲’의 가치관에 대한 작품들을 검토하여 그 조형성을 추출한 결과, 모리 걸 패션의 조형성은 모방을 통한 독창성과 혼종성, ‘숲’과의 조화를 위한 자연 친화성, 귀여운 감성적 표현의 여성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일본의 모리걸 패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현대에 나타나는 패션의 특성을 그들의 가치관과 연결시켜 분석한 독창적인 연구로써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연구가 될 것이며, 모리 걸 패션에 나타난 일본인들이 지니고 있는 ‘숲’의 가치관에 따른 새로운 조망의 조형성 분석은 모리 걸 패션의 국내인식에 대한 전환점을 모색할 수 있는 이론적 단초를 제공함으로써 관련 논의에 활기를 불러 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ri-Girl fashion trends based on Japanese unique value, and to extract the formativeness of Mori-Girl fashion. It is worthy of attention example which is combined with modern fashion and Japan‘s unique view of nature. Mori-Girl fashion reflects the value of 'forest' and relaxed style in modern women.

We researched the concept of the Mori-Girl and identified the origin. Based on this, we examined Mori-girl's costume, hair, makeup, bags, shoes, and accessories related to fashion trends. Also we extracted the formativeness of Mori-Girl's fashion based on the value of 'forest'.

As a result, the formativeness of Mori-Girl is the uniqueness and hybridism through the imitation, the natural affinity for harmony with 'forest', and the feminity expressed for cute emotion.

It is significant and unique research for connecting the value and fashion characteristics, and it contributes to new research. This new aspect of formativeness analyzing is seeking to the turning point of perception in domestic about Mori-girl fashion and is expected to activate the theoretical discussion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DIY 가구체험을 통한 감성사회인의 감성적 효용성 평가 이태경, 최진경 pp.209-222

보기
버내큘러 디자인 특성을 반영한 전통시장 간판의 표현 전략 현은정, 임경호 pp.21-29

보기
Suggestion of a classification table of design modeling elements in cultural dimensions : Focused on Geert Hofstede's cultural dimensions 백혜주, 정주현 pp.223-232

보기
어린이 공원 안전성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 조수찬, 연명흠 pp.255-266

보기
생태학적 관점에 의한 바이오미미크리공간디자인 특성 연구 최성경, 문정민 pp.105-118

보기
프리미엄급 신용카드의 디자인이미지 유형에 따른 성별 및 연령별 사용자 태도 : 국내 카드업계를 중심으로 임가현, 이경현 pp.233-244

보기
패션스타일리스트의 교과과정 및 실무사례 분석 황경혜, 현명관 pp.321-332

보기
의인화 동물 캐릭터의 감정단계 제안 : 코끼리 캐릭터 호튼(Horton)을 중심으로 이영숙 pp.267-277

보기
패션기업의 녹색경영 활동 윤남희, 추호정, 최미영 pp.73-84

보기
오피스 공용공간에 나타난 공간적 가구의 특성 : 국외 오피스 공용공간에 나타난 인체계 가구 사례를 중심으로 이지은, 김진우 pp.177-188

보기
구스타프 클림트의 작품을 응용한 헤어 장신구 디자인 김현진, 김성남 pp.333-343

보기
제품 형태의 시각이미지 감성 연구 : 용기 형태에 의한 감성 평가를 중심으로 김지현, 손원준 pp.245-254

보기
일본인의 '숲'의 가치관에 따른 'Mori-Girl' 패션 트렌드 및 조형성 분석 윤지영, 이노미 pp.85-94

보기
잠재의식적 상상력을 통해 전개되는 시각디자인 홍동식 pp.53-62

보기
색채맵을 이용한 서비스디자인 개발 : 제조기업의 작업환경 개선을 중심으로 이경혜, 이장우 pp.95-104

보기
헌혈포스터 이미지에 대한 수용자 선호도 연구 : 인쇄매체를 중심으로 고정미, 이경현 pp.165-176

보기
공모전 수상작 디자인 주제 분석을 통한 최근 공간 디자인 트렌드 연구 안소미 pp.311-320

보기
뷰티 프로그램 특성이 시청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남금희, 안진아 pp.279-297

보기
체크 패턴이 소비자의 감성이미지와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김경화, 나지영 pp.367-378

보기
지역문화콘텐츠에 따른 빛 축제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주현진, 문정민 pp.63-72

보기
자동차 구매성향과 패션 쇼핑성향이 자동차 브랜드라이프스타일 스토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원석, 김칠순, 양희순 pp.299-310

보기
포스트모더니즘 키워드로 분석한 에이프릴 그레이만의 조형언어 연구 박지연, 손소영 pp.189-198

보기
A qualitative research for enhancing kitchen work experience of family members in Smart Kitchen environment: Focused on the information inequality between housewife and other family members 박윤이, 박영춘 pp.345-354

보기
가죽 자켓의 2장 소매패턴 : 교육용패턴과 산업패턴의 비교 신현숙, 김효숙 pp.391-401

보기
브랜드웹툰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 웹툰 "상처공감 다이어리"를 중심으로 류유희, 이승진 pp.199-207

보기
수입 의류 브랜드의 상품기획 프로세스 특징 비교 안연숙, 강혜승 pp.43-52

보기
스마트폰의 리워드 어플리케이션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이용 동기, 지각된 속성, 수용자 혁신성을 중심으로 염동섭 pp.131-140

보기
패션상품 소비자의 관계편익지각이 장기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유주현, 황선진 pp.119-130

보기
패션명품 멀티채널 소비자의 쇼핑채널 선택과정과 유형별 특성 김수연, 황진숙 pp.7-20

보기
참여적 디자인과 일반적 디자인의 프로세스에 따른 디자이너 직무내용 비교분석 이지현, 장건, 이은지, 안지원, 김지은, 류림정, 오누리 pp.151-164

보기
지자체 서울시 및 구청 상징마크 시민 인지도. 1, 발상에 대한 인지도를 중심으로 남용현, 김향원 pp.379-389

보기
경영학 전공자를 위한 창의/디자인교육에 대한 만족도 분석 이현경, 이상원 pp.141-150

보기
충성도 제고를 위한 모바일 쇼핑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 종합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패션 상품 구매를 중심으로 심수인 pp.355-366

보기
디자이너 1인 창조기업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지원정책 방향 : 대구경북디자인센터의 '디자인패션 1인 창조기업 육성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전영옥, 나건 pp.31-42

보기

참고문헌 (2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 김인수 (2010.05.20). 창조적 모방가 `Imovator` 가 돼라, 「매일경제」. 미소장
2 - 김혜인 (2009). 「보헤미안 이미지에 따른 헤어스타일」,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 - 박규태 (2005). 『아마테리스에서 모노노케 히메까지』. 서울 : 책세상. 미소장
4 - 윤창수 (2011.01.08). 자유로운 히피정신 무장 ‘모리걸’ 뜬다. 「서울신문」. 미소장
5 - 이노미 (2012). 하이브리드 문화의 원천과 전승 양상. 『인문과학』, 49, 141-164 미소장
6 A Study on the Significance and Influence of Hippie Hair Style and Fashion 소장
7 - 이유경 (2010. 06.17). 숲에 있을 것 같은 ‘모리걸’패션을 아시나요?. 「한국경제신문」. 미소장
8 - 정혜선 (2008).『한국인의 일본사』. 서울 : 현암사. 미소장
9 - 최신애 (2010, 12.09). 따도녀' 문근영, 알고 보니 '모리걸'. 「머니투데이」. 미소장
10 - 최신애 (2010.08.09). 초식남의 여자친구는 '모리걸'?일본 열도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모리걸 패션. 「머니투데이」. 미소장
11 A Study on the Formative Featur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Retrospective Fashion -focusing on 1990s- 소장
12 - 콘텐츠비즈니스 연구회 (2010). 『하루키, 키티, Muji를 통해 본 일본의 문화 아이콘』. 서울 : 미래를 소유한 사람들. 미소장
13 - 丸山眞男 (1992). 日本の思想 .김석근 역(1999).『일본의 사상』. 서울 : 한길사. 미소장
14 - 四方田犬彦 (2007). かわいい論, 장영권 역(2013). 『가와이이 제국, 일본』. 서울 : 펜타그램. 미소장
15 - 環境序編 (1996). 『平成8年 環境白書』, 東京:環境廳. 미소장
16 - ネオジャパネスク․ブランド推進懇談会 (2005.7). 미소장
17 - 森ガール”って何?そのスタイル、行動パターンとは (2009.05.22).「日本經濟新聞」. 미소장
18 - 大阪の 森ガール フワフワ重ね着 (2009.11.11) 「読売新聞」. 미소장
19 - 森ガール にも芯がある、自然っぽく、自分らしく(2010.01.23). 「日本経済新聞」. 미소장
20 - Martin J. Gannon (2001). Understanding Global Cultures: Metaphorical Journeys Through 23 Nations. 박기순 외 역 (2003).『세계문화이해』.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미소장
21 - Elizabeth Ewing (1987). History of 20th Centry Fashion, London: B.T. Batsford Ltd. 미소장
22 - Ronnie Lessem (1987). The Global Business, New Jersey: Prentice-Hall. 미소장
23 - Levi Strauss (1988). 混合と獨創の文化,『中央公論』, 5. 미소장
24 - MiXi (2014.01.15). http://mixi.jp. 미소장
25 - Usedmix (2014.01.20). http://usedmix.net. 미소장
26 - Spoon (2014.02.01). http://www.spoon01.com.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