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ribes and tribalism of Middle East are becoming new research area and
issue area because of role enlargement of major tribes in the Middle Eastern
States. Tribe and tribalism in the Middle East has been an historical entity
and core of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action norm for a long time.
Political Shi'ism in Iraq was a movement group to resist Baath regime but
not anti-Arab nationalist. Because Arab political Shi'ists were alienated from
Baath regime in political, economic, social area. Arab political Shi'ists have
double identity, Arabs-Iraqi-Shi'ists. The leaders of political Shi'ism were
not born in a specific family and tribe, but grown in religious environment of
specific family. They have not given emphasis tribal value, but religious value
and democratic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process.
After Iraq nation-state building, especially in the Saddam regime era,
al-Sadr family and al-Hakim family have been the leader's families in
political Shi'ism. So I think that there is some relation between religious elite
and tribe. But these Shi'a religious elites didn't emphasize tribal value. I
think, therefore, that there is Iraqi Shi'a religious elite family or tribe, but
there is no meaning relation between religious elite and tribalism.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중앙아시아의 소수민족관계 연구 : 카자흐스탄 사례를 중심으로 : 카자흐스탄의 다민족 문화공동체 형성에 대한 역사적 접근 | 김상철 | pp.347-385 |
|
|
꾸란에 등장한 인물연구 : 노아를 중심으로 | 최영길 | pp.1-15 |
|
|
사우디아라비아의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연구 | 금상문 | pp.17-37 |
|
|
이란의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의 관계 연구 | 유달승 | pp.39-57 |
|
|
아랍에미리트의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관계 연구 | 장세원 | pp.59-73 |
|
|
이라크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관계 연구 : 사담시대 정치시아주의를 중심으로 | 정상률 | pp.75-99 |
|
|
요르단의 종교 엘리트와 부족주의 : 하심왕가와 무슬림 형제단을 중심으로 | 홍미정 | pp.101-128 |
|
|
팔레스타인 종교엘리트와 부족주의 | Sattar Kassem | pp.129-158 |
|
|
알제리 경제의 개방화와 한국의 對 알제리 진출 확대방안 | 김시경 | pp.159-176 |
|
|
레바논의 발전가능성에 대한 평가 : 금융산업의 개방정책을 중심으로 | 김중관 | pp.177-193 |
|
|
인터넷을 이용한 이슬람 홍보와 그 효과 : IslamOnline을 중심으로 | 이원삼 | pp.243-264 |
|
|
사우디 사회의 젠더라인, 이크틸라뜨(ikhtilat)의 금지와 뉴미디어 | 조희선 | pp.265-290 |
|
|
북카프카즈의 민족 정체성에 대한 연구 : 전통적 아다트 관습법과 이슬람의 샤리아 관계를 중심으로 | 정세진 | pp.407-435 |
|
|
중동 건설시장의 구조변화와 한국 건설 진출의 특징 | 심의섭 | pp.195-216 |
|
|
쿠웨이트 젊은이들의 인터넷 사용이 사회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쿠웨이트 가족관계의 변화를 중심으로 | 엄익란 | pp.217-242 |
|
|
튀르크족의 기록에 나타난 '텡그리(Tengri)'의 의미 | 김효정 | pp.387-406 |
|
|
한국어-아랍어 번역에서의 지시어 연구 | 이계연 | pp.291-311 |
|
|
「천일야화」의 신이담 연구 | 이동은 | pp.313-346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2006) Reading Iraq Culture and Power in Conflict, I.B.Tauris | 미소장 |
2 | (2004) The Future of Iraq Dictatorship Democracy or Division, Palgrave Macmillan | 미소장 |
3 | (1997) Neo Tribalism in Iraq Saddam Husseins Tribal Policies, | 미소장 |
4 | (2003.04.22.) Shiite Religious Parties Fill Vacuum in Southern Iraq, | 미소장 |
5 | (2003) The State ization of the Tribe and the Tribalization of the State the Case of Iraq, | 미소장 |
6 | (1999) All in the Family and Democracy in the Middle Eastern Monarchies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미소장 |
7 | (2003) Sheikhs and Ideologues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Tribes under Patrimonial Totalitarianism in Iraq , | 미소장 |
8 | (2003) The Shi'ite Movement in Iraq, Saqi | 미소장 |
9 | (2005) Upcoming Elections and Possible Future Scenarios, | 미소장 |
10 | (2004) The Modern History of Iraq, Westview | 미소장 |
11 | (1992) Ordinary People Journeying on the Red Road, | 미소장 |
12 | (2002) Inside Iraq, Aaron Marlowe & Company | 미소장 |
13 | (1994) The Shi'is of Iraq, Princeton Univ' Press | 미소장 |
14 | (2005) Power and Politics in the Making of the Modern Middle East, Routledge | 미소장 |
15 | (2003.03.01.) A Third Force Awaits U.S. in Iraq, Asia Times | 미소장 |
16 | (2000) A History of Iraq,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7 | (2004) The Tribes of the Marsh Arabs of Iraq, Kegan Paul | 미소장 |
18 | (2003.04.17.) Shiite Power Struggle Threatens Stability, | 미소장 |
19 | (2000) Tribalism in Iraq, The Old and the New, | 미소장 |
20 | (2002.06.) Declaration of the Shia of Iraq,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