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Background: Although school footpaths must guarantee pedestrians’ safety and pleasantness, even facilities installed according to standards provided in “Rules on the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School Zones” are not maintained and managed properly and as a result they are not effective for securing the safety of school footpaths.
Purpose: The present study surveyed the physical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 footpaths and investigated problems posed by the absence of facilities.
Methods: First, the current state of street structure was investigated using maps as well as field surveys, and the current state of street furniture was surveyed by checking if it has been installed and photographing it. In addition, traffic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traffic safety while children’s going to school and home, and children’s behaviors on school footpaths were surveyed by observing their behaviors when going to school and home.
Result: This study surveyed the installation and state of safety facilities on school footpaths around elementary schools in B City, analyzed items to be improved, and presented materials for reducing accidents among elementary students.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강원도 초등학교 구강보건교육 실태 | 류다영, 마득상 | pp.33-41 |
|
|
초·중·고 학생들의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 부적응 | 이인숙, 이기령 | pp.11-22 |
|
|
과천시 초등학교 학부모의 학교구강보건실 운영에 관한 인식 조사 | 한지형, 황지민, 김기은 | pp.23-31 |
|
|
초등학교 통학로 안전시설 현황 및 물리적 환경에 관한 조사연구 | 김은주 | pp.43-51 |
|
|
보건교육사 교육에 있어서 학습 성취도에 영향 미치는 요인 | 김영임, 이복임 | pp.1-9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곽희종(2004). 아동의 이용형태를 고려한 통학로 정비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47. | 미소장 |
2 | 고경화(1992). 한국의 교통사고 감소 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4. | 미소장 |
3 | 김원태, 최정우(2001). 보행 공간 형성을 위한 물리적 규제요소의 특성,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 학술대회. | 미소장 |
4 | 녹색교통운동(1998). 안전한 통학로 만들기 운동평가, 녹색운동협의회, 44-62. | 미소장 |
5 | 도로교통 안전공단(2005). 어린이 교통사고 발생율, 도로교통 안전공단. | 미소장 |
6 | 도로교통안전협회(1997). 어린이보호구역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연구: 안전시설을 중심으로, 1-67. | 미소장 |
7 |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2003).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 사업 업무편람(안), 경찰청. | 미소장 |
8 | 백승엽(1993). 통학로 「어린이보호구역설치기준」시안, 교통안전. | 미소장 |
9 | 부천시청(2004).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사업 시행, 112-123. | 미소장 |
10 |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5). 보행자 안전을 위한 도로 시설물 개선방안, 4-68. | 미소장 |
11 | 사이버 경찰청(2005). 교통사고 통계 보도자료, 3-46. | 미소장 |
12 | 신동철, 김화무, 최동호(1998). 어린이보호구역의 문제점 및 대책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제34회 추계 학술발표회, 5-27. | 미소장 |
13 | 엄상미(2002). 어린이보호구역 교통사고 실태분석에 따른 안전대책에 관한 연구, 한밭대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9. | 미소장 |
14 | 이광훈(1995). 지구교통개선계획(TIP) -지구도로 설계 및 개선방안 평가방법, 대한교통학회 제2기 교통 분석 고급과정, 56-70. | 미소장 |
15 | 이순우(2004). 어린이 보호구역의 개선방안, 학교안전공제회 자료, 209-220. | 미소장 |
16 | 이형진(2004). 아동의 이용형태를 고려한 통학로 정비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47. | 미소장 |
17 | 원광희, 박정순(2005). 충청북도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방안 연구, 충북개발연구원.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