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한국의 독문학은 60년이 넘는 역사를 통해서 현재 가장 정점에 서있는 동시에 새로운 도약을 위한 전환점을 만들어야하는 기로에 서 있다. 서양문학을 일방적으로 받아들이던 시대를 지나, 일제 강점기의 영향을 직접 받지 않은 한글세대들의 자립적이며 적극적인 서양문학 수용에 따른 부단한 학문적인 발전을 해왔던 독문학계는 세계화라는 새로운 국제질서와 기준 앞에서 새로운 도전을 모색하고 있다. 이 시점에 그동안 독일문학에서도 한국인에게 가장 사랑받아 왔던 독일 작가들의 수용과정을 한번 살펴보는 기회를 가지려고 한다.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프리드리히 실러, 하인리히 하이네, 토마스 만, 헤르만 헤세, 베르톨트 브레히트, 라이너 마리아 릴케와 함께 프란츠 카프카는 한국 독문학에서 가장 많이 수용되었으며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작가이다. 이들 작가 중에서 카프카는 매우 특별한 지위를 점하고 있다. 한국에서 괴테상은 일반적으로 독일문학을 대표하는 시성으로서 각인되어 있는 데에 반해서 카프카는 세계문학 작가로서 자신을 드러낸다. 가장 대중적인 작가인 헤르만 헤세와 비교해볼 때도 카프카 역시 일반 독자 대중에게서 그에 못지않은 인기를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청소년과 일반대중작가를 넘어서 작가들에게도 사랑받기에, 헤세보다도 더욱 넓은 독자층을 확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희곡작가이자 연출가인 브레히트와도 비교해 볼 때, 카프카는 생전에 정식으로 한편의 희곡도 쓰지 않았지만, 그의 작품이 희곡으로 각색되어서 공연되었으며, 특히 그의 ?어느 학술원을 위한 보고?라는 단편에 기초한 『빨간 피터의 고백』의 연극공연은 한국 연극사에서 최초로 흑자를 낸 공연무대이기도 하다. 이렇게 특별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카프카 문학이 한국 독문학에서 학문적으로는 어떻게 수용되었는가를 간단히 살펴본 뒤, 한국작가들이 어떻게 구체적으로 카프카 작품을 생산적으로 수용했는가를 살펴본다.

한국독문학에서 카프카작품의 번역과 연구에 있어서 선구자적인 역할을 담당한 학자는 김정진, 강두식, 박환덕으로 일반 독자와 후학들에게 중요한 길잡이가 되었다. 4.19세대인 염무웅, 김주연 등은 카프카 문학이 독문학으로서뿐만 아니라, 한국문학과의 연관 속에서 가지는 의미를 숙고해보았다. 독일유학파로서 중요한 카프카 연구가로는 이주동, 이유선, 장혜순, 김영옥 등을 꼽을 수 있으며, 그들의 후예로서 권세훈, 박은주, 김태환 등이 있다. 카프카는 ‘작가들의 작가’라고 말할 수 있을 만큼 많은 한국 작가들이 선호한다. 우선 수용적인 관계라기보다는 동시대를 살면서 매우 유사성을 공유한 이상과 비교했다. 그러고 나서 그의 작품을 매우 창조적이며 생산적으로 수용한 작가 - 이청준, 김광규, 이성복, 장정일, 하일지, 김영현, 김영하, 이윤택 -와의 비교분석을 시도해보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레싱의「궁전 우화」와 카프카의「황제의 메시지」 : 언어의 건축학 이경규 pp.5-32

역사적 과정의 패러다임 : 클라이스트의「O. 후작부인」과 무질의「통카」 김래현 pp.33-54

릴케의 공허 Leere의 시학 박미리 pp.55-78

하인리히 만의 후기 작품『세계의 향연』에 나타난 자전적 요소 서영숙 pp.103-126
'깜박거리는 눈'의 유토피아 체험 : 막스 프리쉬의『내 이름을 간텐바인이라고 하자』에 나타난 '시선'의 문제 정항균 pp.127-148

혼종과 변용의 서사 : 카렌 두베의『납치된 공주』를 중심으로 배기정 pp.149-170

라르스 폰 트리어의 영화 <메데아>. 신화 이미지 또는 포스트모더니즘 이미지 피종호 pp.171-187

쿠르트 슈비터스의『안나 꽃에게』 : 다다-무의미 시의 의미있는 분석을 위한 해석적 방법론 모색 조일 pp.79-102

헤르더와 인간학적 전환. 1 김윤상 pp.211-227

독일문학의 한국어 번역에 대한 문헌학적 고찰. 1, 1958년부터 1968년까지 : 창조와 혼란 장진길 pp.189-210

클라이스트의 작품에 나타난 성 이데올로기 박대환 pp.229-250

Visualisierte Töne : visuelle Transformation von auditiven Komponenten im Stummfilm, dargestellt an Beispielen aus Der letzte Mann(1924) 최정윤 pp.269-285

Eine kleine Studie über die koreanische Rezeption von Franz Kafka 이유선 pp.251-268

참고문헌 (4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Kafka,Franz, (1983) Schriften Tageb?her Briefe. Kritische Ausgabe Hrsg. von J.Born, G.Neumann, M.Pasley und J.Schillemeit FfM. 1983 - 1998, 미소장
2 Bak Hwan-Duk, (1981) Literatur und Entfemdung, 미소장
3 Ders, (1991) Das Schlo? Nachwort, 미소장
4 Chang Hye-Sun, (1997) Goethes Morphologie und Kafkas Denken, Marburg 미소장
5 Chang Jung-Il, Reflexion ?er Hamburger, 1987 미소장
6 Ders, Taxirufen in Gilan, 1988 미소장
7 Ha Il-Ji, (1991) Der Weg nach der Rennbahn (1990), In der Kreuzung der Rennbahn (1991), F? die Rennbahn (1991), Das Oribaum in der Rennbahn (1992), Ereignis in der Rennbahn (1993), 미소장
8 Han Suk-Jong, (1977) Kafka und Yi Sang. in Litertur und Denken, 미소장
9 Hong Sa-Jung, (1955) Der moderne Intellekt und das Nahergehen zu Gott- anhand des Falles F. Kafkas. in: Moderne Literatur (현대문학) 1, 11/12, (1955 11/12), 미소장
10 쟅.Hermann, (2008) Notizen zu Goethe,Hesse,Brecht und Kafka, Workshop-paper. 2008.02.26, 미소장
11 Kang Duh-Sik, (1959) Franz Kafka in: Welt des Denkens, 미소장
12 Ders, (1970) Das Schlo, Nachwort 미소장
13 쟇im Gi-Sun, (2000) Kafkas Rezeption auf koreanischer B?ne. In Doggilmunhak (Deutsche Literatur) H.76 (2000), 미소장
14 Kim Ju-Youn, (1976) Endfremdung und moderne Literatur, Literatur und Denken 미소장
15 Kim Jung-Ok, (1961) Kafka auf der Pariser B?ne. in: Welt des Denkens. 9,5. (1961.5), 미소장
16 Kim Jung-Jin:, (1958) Kafkassche Werke. in: Freie Literatur, 자유문학 미소장
17 Ders, (1983) Kafka-Forschung, 미소장
18 Ders, (1960) Das schlo? Nachwort, 미소장
19 Kim Young-Ha, (2005) Tsunamis, Kundera, Kafka and a Few Thoughts. in The 2nd Seoul International Forum for Literature. Writing for Peace. 26. Mai. 2005, 미소장
20 Ders, (1999) Was geschah dem Mann, der im Aufzug stecken blieb, 미소장
21 Kim Young-Hyun, (1989) Insekt, 미소장
22 Kim Yun-Sup, (1984) Kafka und Yi Sang. in: Kafka-Forschung H.1 (1984), 미소장
23 Kwon Se-Hoon, (2002) ?Der Verschollene“ von F. Kafka und ?Der Weg nach der Rennbahn“ von Ha Il-Ji - Das Symbol des Theaters von Oklahama” und der “Rennbahn” in: Kafka-Forschung.?H. 10. (2002), 미소장
24 Ders, (1998) Die koreanische Rezeption von der Verwandlung Kafkas - anhand Kim Young-Hyun und Lee Yun-Taek. in: Kafka Forschung H.6. (1998) S. 343-354, 미소장
25 쟊ee Joo-Dong, (1985) Taoistische Weltanschauung im Werk Franz Kafkas. W?zburg 1985, 미소장
26 Lee Chung-Jun, (1972) Der Falkenjager(매잡이,1968), Der Seil (줄,1966) in : Sammelband 『Zeige Ihnen Sterne 별을 보여드립니다』 Seoul 1972, 미소장
27 쟊ee Sung-Bok, (1990) Der weite Weg nach Du, 미소장
28 쟊ee Yu-Sun, (1998) Eine Bestandsnahme der Kafka-Forschung in der koreanischen Germanistik. Kafka-Forschung H.6. (1998) S.153-191, 미소장
29 Shim-Lee Yu-Sun, (1987) Die Bildlichkeit bei Franz Kafka - Ein Vergleich der Kafkaschen Erz?lbilder mit surrealistischen Gem?den, Konstanz 미소장
30 Lee Yun-Taek, (1987) Der B?ger K, 미소장
31 Ders, (1997) Verm?htnis der Liebe, 미소장
32 Yi sang, (2005) (?s. von M.Eggert): Mogelperspektive. Wien 2005, 미소장
33 Yi Chung-Sup, (1988) Kafkas Rezeption in Korea(1945?1987). Kafka-Forschung H.3. (1988), 미소장
34 Ders, (1993) Kafka in der Spiegelung auf die Koreanischen Lesern, 미소장
35 Ders, (1994) Kafka und koreanische Schriftsteller, Kafka-Forschung 미소장
36 Ders, (2000) Bestandsnahme der Auff?rungen des Kafkaschen Werken in den 90ger Jahren, Kafka-Forschung 미소장
37 Yum Mu-Ung, (1984) Kafkas Literatur und die Grenze des Realismuses. ln: Baek Nak-Chung (Hrdg.): Realismus und Modernismus. Seoul 1984, 미소장
38 Ders, (1972) Das Schlo?Nachwort, 미소장
39 (1991) Kafkas Leben und Literatur in der Serie russischer und osteurop?scher Kunst und Literatur. MBC 1991, 미소장
40 (1991) Franz Kafka EBS 1991, 미소장
41 (1995) Franz Kafka als ewiger Boheme KBS 199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