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번역물을 평가한다는 것은 번역물이 원작의 양식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를 찾아내는 작업이다. 텍스트가 전달하는 내용과 텍스트가 구성된 형식은 작가의 의도와 주제, 즉 양식을 표현하는 도구이다. 따라서 문학 번역의 평가에서 형식과 내용의 관련성에 관한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만약 번역가가 작품의 양식을 제대로 번역하는데 실패한다면 TT(목표 텍스트)의 질은 완전하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문학작품을 번역할 경우 ST(원천 텍스트)의 양식을 TT에 전달하는 방식이 번역물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 논문은 영국의 풍자 단편 소설인 뮤리엘 스파크(Muriel Spark)의 작품“You Should Have Seen the Mess”의 번역물인 「지저분한 꼴을 좀 보세요」를 ST의 양식이 번역물에 반영된 방식에 기준을 두고 분석, 평가했다. ST와 TT의 대조를 통해서 특징적인 부분을 찾아낸 다음 형식과 내용을 분류해서 분석했다. 이 과정에서 이 작품의 표현 도구인 풍자와 1인칭 화자에 의한 내용과 형식이 TT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이 TT의 특징은 번역자의 자국화 전략과 번역물 독자의 가독성에 초점을 맞췄다는 것이다. 이는 이 TT가 원작에의 충실성에서는 이탈했음을 의미하지만 한편으로는 번역물 독자 친화적인 방식으로 TT의 대중화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형식의 문제에서는 ST의 문장을 그대로 지키지 못했다. 따라서 ST의 저자가 전달하려는 정보 전달의 체계적 방식이 TT에는 그대로 전달되지 못했으며, 이는 ST의 양식을 표현하는데 장애가 되었다.

Translation assessment is the task where the assessor finds how a Target Text(TT) reflects the style of a Source Text(ST). Style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literary translation act. Therefore it is natural to consider the issu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of form and content in literary translation assessment. If the translator fails to translate the style of the work appropriately, the quality of the product will be incomplete. So it affects greatly the text outcome whether the style of the ST is transferred to the TT properly or not. The content a ST conveys and the form it is structured are the tools the author uses to expresses the style of the work.

This paper will analyze and assess the translation of a short story, “You Should Have Seen the Mess” written by an English author, Muriel Spark. The analysis will be focused on the way how the style reflects on the TT. The comparative study will be performed in content and form separately. In addition, how the satire, which is the expressive method of the work, the content, and the form are reflected on the TT will be examined in the process.

The result of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translator takes the domestication strategy and focuses on the readability of TT readers. It means that the translation deviates from the faithfulness of the ST, however the strategy is positive in that the reader-friendly translation method contributes to popularization of translated works. In the translation of the form, the TT is not faithful to the ST and it fails to achieve the systematic conveyance of information. As the result, it makes the expression of the style difficul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의 영자신문에 쓰인 부정사 To의 코퍼스 바탕 연구 고광윤, 김노용 pp.33-56

The Fate of the Commons and Sustainable Ancient Wisdom of Korea 신두호 pp.7-31

맥베스(Macbeth)의 환상적 자아 이행수 pp.89-107

단편소설 번역에서 양식의 반영 : 번역물 분석을 중심으로 박옥수 pp.57-88

'번역문학'의 정치성에 관한 고찰 : 직역과 의역의 이분법을 넘어서 조재룡 pp.109-143

초창기 영어사전의 배경 연구 황인태 pp.145-163

滄江 金澤榮과 중국 지식인들의 교유 : 망명시기 한시에 나타난 중국지식인을 중심으로 곽미선 pp.165-201

1950년대 이영순의 전쟁시 고찰 김사홍 pp.203-225

타자로서의 기억과 소설의 시점 : 윤대녕의『사슴벌레 여자』에 나타난 시점 변화를 중심으로 김영성 pp.227-250

한국 문화의 바람직한 세계화를 위한 전략적 고찰 김유중 pp.251-275

일상성과 한국전쟁을 형상화하는 여성작가의 시선 : 강신재의『靑春의 不文律』론 김정숙 pp.277-300

시인 박용래의 '자화상1'의 어휘·통사적 의미 연구 김진수 pp.301-323

한국 영웅비극서사의 계보와 미학적 특징 : 고대설화와 소설의 관련을 중심으로 김창현 pp.325-353

소수자로서의 지역문학, 그 정체와 전망 : 대전·충청 시문학을 중심으로 남기택 pp.355-381

제국일본의 문화매체 비교연구 : 라디오방송을 중심으로 엄현섭 pp.383-410

미당 시에 나타난 '아버지' 존재 양상 연구 원자경 pp.411-435

다원적 소통을 향한 디아스포라적 상상력 : 황석영의『바리데기』를 중심으로 유경수 pp.437-461

한국어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문학작품 읽기 : 중국인 학습자의 스키마 활용을 통한 문학작품 읽기 이강록, 임명옥 pp.463-496

한국과 몽골인의 영혼관에 대한 비교 연구 : 사령(死靈)을 중심으로 이안나 pp.497-523

이광수와 노신의 여성의식 비교 정문권, 조보로 pp.525-544

'한국적인 것'의 구상과 재현의 방식 : 예그린 악단의 뮤지컬 <꽃님이 꽃님이 꽃님이>를 중심으로 최승연 pp.545-584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병철, 한국현대번역문학사 연구 (상) , 서울: 을유문화사, 1998. 미소장
2 형태 분석 코퍼스에 기반한 번역문의 높임 표현 연구 소장
3 김지원, 해학과 풍자의 문학 , 서울: 도서출판 문장, 1983. 미소장
4 이근희, 번역의 이론과 실제 , 서울: 한국문화사, 2005. 미소장
5 Abrams, M. H. 문학용어사전 , (번역) 최익규, 서울: 대방출판사, 1981. 미소장
6 Byram, A. Routledge Encyclopedia of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London & New York: Routledge, 2000. 미소장
7 Even Zohar, I. “The Position of Translated Literature within the Literary Polysystem,” Lawrence Venuti (ed.), The Translation Studies Reader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1978/2000, pp. 192 197. 미소장
8 Forster, E. M. Aspects of the Novel, New York: Harvest Books, 1927. 미소장
9 House, J. “How do We Know when a Translation is Good?” (eds) Steiner, Erich & Yallop, Colin, Exploring Translation and Multilingual Text Production: Beyond Context, Berlin and New York: Mouton de Gruyter, 2001, pp. 127 60. 미소장
10 Kristal, E. Invisible Work: Borges and Translation, Nashville: Vandervilt University Press, 2002. 미소장
11 Leech, G. N. and Short, M. H. Style in Fiction: A Linguistic Introduction to English Fictional Prose, London and New York: Longman, 1981. 미소장
12 Merriam Webster & Encyclopedia Britannica (eds), Merriam Webster’s Encyclopedia of Literature, Springfield, Masssher: Merriam-Webster Inc, 1995. 미소장
13 Neubert, A, & Shreve, G. M. Translation as text, Kent and Ohio: Kent State University Press, 1992. 미소장
14 Pollard, A. 풍자 , (번역) 최낙헌,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8/1986. 미소장
15 Reiss, K. “Text Types, Translation Types and Translation Assessment” 1977/89, Chesterman, Andrew (trans.), Readings in Translation Theory, Helsinki: Finn Lectura, 1989. 미소장
16 Shiyab, S. & Lynch, M. S. “Can Literary Style Be Translated?” Babel 52:3, 2006, pp. 262 275. 미소장
17 Toury, G. Descriptive Translation Studies and beyond, Amsterdam: John Benjamins, 1995. 미소장
18 Venuti, L. The Translator’s Invisibility: A History of Translation, London and NewYork: Routledge, 1995. 미소장
19 Van Leuven Zwart, K.M. “Translation and Original: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ies” Target 1:2, 1989, pp. 151 18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