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김기봉, 이재학, 이정아(2004). 저항성운동이 비만 여고생의 체조성과 혈청지질 및 지단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5(1), 1135-1144. |
미소장 |
2 |
김남익(2004). 고도 비만 여성들의 저항성 운동을 병행한 유산소 운동 프로그램이 신체조성 및 심전도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3(3), 633-644 |
미소장 |
3 |
김미정(2007). S라인 만들기. 서울넥서스 북스. 9∼16 |
미소장 |
4 |
김시영, 김효중, 이용수(2009), 복합트레이닝 시 유산소성 운동과 저항성 운동의 순서 차이가 신체구성, 혈중지질, 및 스트레스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8(2), 421-432 |
미소장 |
5 |
박상갑, 권유찬, 윤미숙(2001). 유산소 및 저항 트레이닝이 비만 중년 여성의 복부지방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0(4), 773-784 |
미소장 |
6 |
박상갑, 권유찬, 김은희(2007). 12주간의 복합트레이닝이 비만 여중생의 신체 구성 및 대사 중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6(1), 813-822 |
미소장 |
7 |
박태곤, 최원석(2005). 유산소 및 저항운동 병행이 중년 비만여성의 신체구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 44(6), 1141-1149 |
미소장 |
8 |
백승옥, 오윤선, 신윤정(2007). 저강도 유산소운동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건강관련체력 및 등속성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6(1), 737-749 |
미소장 |
9 |
석민화, 임강실, 신윤아(2008). 규칙적인 유산소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신체구성 및 폐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운동사회, 10(1), 37-46 |
미소장 |
10 |
안문용(2000). 규칙적인 운동이 중년 여성의 체지방 및 혈중콜레스테롤, 혈당, 중성지방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39(2), 351-358 |
미소장 |
11 |
양점홍, 최재현, 한정필(2006), 운동형태에 따른 운동과 운동중단 시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및 혈중지질 비교분석. 한국체육학회, 45(3), 525-536 |
미소장 |
12 |
오대성, 안옥희, 정진택, 윤신중(1998).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이 신체구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37(3), 242-255 |
미소장 |
13 |
이명천, 김기진, 김미혜, 박현, 이대택, 조정호, 차광석, 홍성찬(2003), 스포츠영양학. 서울 : 라이프사이언스. |
미소장 |
14 |
이석인, 신정태, 김재수, 이한경, 권만근(2008). 보디빌딩의 과학. 서울 : 21세기교육사. |
미소장 |
15 |
장경태, 이정숙(2005). 건강한 삶을 위한 운동처방기초. 서울 : 대한미디어. |
미소장 |
16 |
장현수(2001). 보디빌딩이 중년기 여성의 체력 및 신체구성과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
미소장 |
17 |
정성림. 김병로(2003) 12주간 유산소 및 근력 복합훈련이 중년 비만 여성의 체력, 신체구성 및 혈중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2(3), 649-658 |
미소장 |
18 |
Braith, R.W. (2003). Does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reduce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J Cardiopulm Rehabil, 23(3), 201-202 |
미소장 |
19 |
Donnelly, J. E, Pronk, N. .P, Jacobsen, D. J, Pronk, S. J, Jakicic, J. M(1991). Effect of VLCD and physical activity on body composition and RMR in obese females Am, J. Clim. Nair. 54(1), 56-61 |
미소장 |
20 |
Powers. S. and E. Howley(2001). Exercise Physiology : Theory and Application to Fitness and Performance. 4th ed. St. Louis : Mc Graw-Hill. |
미소장 |
21 |
Effects of cross-training on markers of insulin resistance/hyperinsulinemia.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