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is study performed an exercise training program to 24 obese women to find out how the different order of exercise training program affected the body composition factor and blood lipid. The participants were put into 2 groups and the order of exercise applied to each group was reversed; Experimental group(WAG, AWG) and control group(CG).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comparison of measurements of the pre and post body composition factors of the two group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ly meaningful reduction in the body weight, body mass index, waist hip ratio and body fat in both groups but significant increase in body muscle mass showed only in the group that had anaerobic exercise first. According to the measurements of blood lipid, T-C, TG, LDL-C appear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up that had anaerobic exercise first compared with its counterpart. In the measurements of HDL-C,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However, in the comparison group the T-C, TG, LDL-C increased with significance and HDL-C decreased. Thus, we can conclude that the training program where the anaerobic exercise is followed by aerobic exercise is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muscle mass and reducing body fat and blood cholesterol.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12주 복합훈련 프로그램이 단거리 여자선수의 무산소성 파워와 혈중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이웅배, 허선, 오수일 pp.15-26

8주간의 요가와 저항운동이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심박수, 혈압 및 총경동맥 혈류속도 변인에 미치는 영향 변재철 pp.1-14

대학 내 운동선수에 대한 여대생의 감정분화가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김기섭 pp.27-38

노인 여성의 12주간 신체활동과 멜라토닌 투여가 혈구세포와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홍예주, 오덕자 pp.39-51

운동교실 참가가 일본 중·고령자의 내장지방과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전지현 pp.53-64

고강도 저항운동과 단백질 보충제 섭취가 신체구성과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신윤아, 석민화, 임미영, 김기홍 pp.65-81

복압성 요실금을 경험하고 있는 폐경 중년여성에서 건강관련체력 및 대사증후군지표와 요실금지표와의 관련성 이청무, 이난희, 이신영, 최연아, 나선영 pp.83-96

중년여성의 삶과 신체형 여가활동 의미탐색 강선영 pp.97-106

요가수련이 여성 노인의 apolipoprotein B/apolipoprotein A-1 비율과 내당능지표에 미치는 영향 전혜린, 한승완 pp.107-114

스키동호인의 참여동기와 운동몰입, 여가만족 및 운동지속의사의 관계 박현욱, 서세훈, 강승애 pp.115-127

한국 여자프로골프 선수의 경기력 요인이 평균타수 및 투어성적에 미치는 영향 김순미, 김순영 pp.129-140

스포츠레저산업 전시회 참관객 유형에 따른 서비스품질과 참관객 만족의 관계 김종, 김륭희 pp.141-154

라인댄스 참가 중년여성의 신체 이미지와 사회적 지지 및 삶의 기대와의 관계 문행자 pp.155-165

여성의 여가제약 및 여가제약협상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김수현 pp.167-178

체육교사교육 프로그램 한미 비교 연구 조미혜, 박연희 pp.179-192

중·고교 검도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이 자기관리 및 수행전략에 미치는 영향 남인수, 김명미 pp.193-205

비만 여성의 운동 순서 차이에 따른 신체조성 및 혈청지질농도의 변화 박종성, 권종성 pp.207-215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기봉, 이재학, 이정아(2004). 저항성운동이 비만 여고생의 체조성과 혈청지질 및 지단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5(1), 1135-1144. 미소장
2 김남익(2004). 고도 비만 여성들의 저항성 운동을 병행한 유산소 운동 프로그램이 신체조성 및 심전도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3(3), 633-644 미소장
3 김미정(2007). S라인 만들기. 서울넥서스 북스. 9∼16 미소장
4 김시영, 김효중, 이용수(2009), 복합트레이닝 시 유산소성 운동과 저항성 운동의 순서 차이가 신체구성, 혈중지질, 및 스트레스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8(2), 421-432 미소장
5 박상갑, 권유찬, 윤미숙(2001). 유산소 및 저항 트레이닝이 비만 중년 여성의 복부지방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0(4), 773-784 미소장
6 박상갑, 권유찬, 김은희(2007). 12주간의 복합트레이닝이 비만 여중생의 신체 구성 및 대사 중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6(1), 813-822 미소장
7 박태곤, 최원석(2005). 유산소 및 저항운동 병행이 중년 비만여성의 신체구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 44(6), 1141-1149 미소장
8 백승옥, 오윤선, 신윤정(2007). 저강도 유산소운동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건강관련체력 및 등속성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6(1), 737-749 미소장
9 석민화, 임강실, 신윤아(2008). 규칙적인 유산소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신체구성 및 폐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운동사회, 10(1), 37-46 미소장
10 안문용(2000). 규칙적인 운동이 중년 여성의 체지방 및 혈중콜레스테롤, 혈당, 중성지방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39(2), 351-358 미소장
11 양점홍, 최재현, 한정필(2006), 운동형태에 따른 운동과 운동중단 시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및 혈중지질 비교분석. 한국체육학회, 45(3), 525-536 미소장
12 오대성, 안옥희, 정진택, 윤신중(1998).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이 신체구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37(3), 242-255 미소장
13 이명천, 김기진, 김미혜, 박현, 이대택, 조정호, 차광석, 홍성찬(2003), 스포츠영양학. 서울 : 라이프사이언스. 미소장
14 이석인, 신정태, 김재수, 이한경, 권만근(2008). 보디빌딩의 과학. 서울 : 21세기교육사. 미소장
15 장경태, 이정숙(2005). 건강한 삶을 위한 운동처방기초. 서울 : 대한미디어. 미소장
16 장현수(2001). 보디빌딩이 중년기 여성의 체력 및 신체구성과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미소장
17 정성림. 김병로(2003) 12주간 유산소 및 근력 복합훈련이 중년 비만 여성의 체력, 신체구성 및 혈중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2(3), 649-658 미소장
18 Braith, R.W. (2003). Does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reduce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J Cardiopulm Rehabil, 23(3), 201-202 미소장
19 Donnelly, J. E, Pronk, N. .P, Jacobsen, D. J, Pronk, S. J, Jakicic, J. M(1991). Effect of VLCD and physical activity on body composition and RMR in obese females Am, J. Clim. Nair. 54(1), 56-61 미소장
20 Powers. S. and E. Howley(2001). Exercise Physiology : Theory and Application to Fitness and Performance. 4th ed. St. Louis : Mc Graw-Hill. 미소장
21 Effects of cross-training on markers of insulin resistance/hyperinsulinemia.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