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Objectives : The Lycoris squamigera Maxim has been used traditionally for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However, the studies on the effect of Lycoris squamigera Maxim have not been carried out. In the present study, extract of Lycoris squamigera Maxim were tested for their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on effect.

Methods :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various solvent extract was studied in lipopolysaccharide (lps)-treated mouse macrophage cells. RAW 264.7 cells were pre-incubated with Lycoris squamigera Maxim extracts for 4h and treated with 1 ㎍/㎖ lps for 18h, and then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xtracts were determined. The anti-oxidation effect of extracts measured by DPPH method, reductive potential test, total phenolics test.

Results : Extracted root`s ethyl acetate layer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nitric oxide. And that layer (root`s ethyl acetate extract) was showed decrease in TNF-α concentration dependently. Separated from Root`s ethyl acetate extract was fraction 1 has 0.1~5 μM range, fraction 2 has 0.1~10 μM range did not showed cytotoxicity. Anti-oxidation result as DPPH test showed the best was root ethyl acetate extract. Redusing power was made a comparison between fractions and standard. They were showed similar value. Fraction`s total phenol containing result was better then standard.

Concul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se extracts can be used as anti-inflammatory, anti-axidation material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임상한의사 처방의 약물 배합 빈도 분석 차웅석, 이태형, 이병욱 pp.1-10

黃連解毒湯이 Dextran Sulfate Sodium 유도 마우스 대장염에 미치는 영향 임대환, 윤지연, 장선일, 윤용갑 pp.11-22

二妙散과 構成藥材의 效能 비교 : 急性 膵臟炎을 중심으로 임영환, 국윤범 pp.23-38

고지방식이 마우스 비만모델에서 減肥輕身丸(2)에 의한 혈중 중성지방 농도와 내장지방의 변화 신순식, 이희영, 이혜림, 윤미정, 이용태 pp.47-59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의 급성 메스암페타민에 의한 보행성 행동량과 c-Fos발현에 대한 효과 신지섭, 김광중, 양재하, 장은영, 김단효, 김상찬 pp.39-46

경옥고와 경옥고가연자육의 조골세포 증식과 골흡수 억제효과 김주호, 오재민, 이정호, 김윤경 pp.61-71

ICR 마우스를 이용한 삼소음 및 발효삼소음의 급성독성 연구 이주혜, 황윤환, 이지혜, 임남희, 조원경, 마진열 pp.73-82

장기 보존 한약 파우더의 미생물 모니터링 서창섭, 신현규, 신광수 pp.83-92

당귀(Angelica sinensis)의 임상활용에 대한 효능 및 부작용연구 박영철, 이지선, 김민희, 김동윤, 이선동 pp.93-108

소염 및 항산화제 개발을 위한 상사화의 효능 연구 김보미, 유명자, 송미선, 권태오, 이영행, 채규윤 pp.109-118

小兒藥證直訣의 處方分析 조현진, 박기정, 박선동 pp.119-133

人蔘과 附子의 배합에 관한 考察 : 東醫寶鑑을 中心으로 이주영, 국윤범, 허열 pp.135-149

방제활용을 위한 杏仁의 포제 및 독성의 문헌적 고찰 김세란, 이진원, 임소연, 김종대 pp.151-160

香附子의 方劑 活用에 대한 考察 : 東醫寶鑑 中心으로 허진, 윤용갑, 이정환 pp.161-178

간, 신장수치 이상 환자에 附子 배합 처방 투여가 미치는 영향 이영준, 김규곤, 황원덕, 이재욱, 정희진, 배수현 pp.179-189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Nishibe, S.; Deyama, T. Nat. Med. 2002;56(6):227. 미소장
2 Boger, D. L. Natural products and nature`s lessons. 217th ACS National Meeting. 1999;Vol(March):21. 미소장
3 http://ko.wikipedia.org. 미소장
4 조민경; 김영재; 신득용; 최태생, 한국 생약학회, 2004;35:p62. 미소장
5 Feelish M and Stamler J. Methods in nitric oxide reserch. John Wiley and Sone. 1996;p492. 미소장
6 Oayizu, M.; Studies on Product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e amine. Japanese Journal of Nutrition, 1986;44:p307. 미소장
7 Spanos, G. A. & Wrolstad, R.E..; Influence of processing and storage on the phenolic composition of Thompson seedless grape juice.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nemistry, 1990;38:p1565. 미소장
8 Phenolic antioxidants from the leaves of Corchorus olitorius L. 네이버 미소장
9 K. Shimada, K. Fujikawa, Yahara and T. Nakamura, J. Agric. and Food Chem., 1992;40:p945. 미소장
10 Mosmann.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the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J. Immum. Methods. 1938;65:p55. 미소장
11 Blois, M. S. Antioxidation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958;181:p1191. 미소장
12 Peter, F. S., The toxicology of nitrate, nitrite and N-nitrosocomounds. J. Sci. Food Agric., 1975;26:p1761. 미소장
13 Mahinda Wettasinghe, Fereidoon shahdi. Antioxidant and free radical-scaenging properties of ethanolic extracts of defatted borage (Borago officinalis L.) seed. Food Chemistry, 1999;67:p399. 미소장
14 Pin-Der, Duh.; Antioxidant activity of Budrock (Arctium Lappa Linn). J. American Oli Chemistry, 1998;26:p1214. 미소장
15 Whang, H.J., W. S. Han, K.R. Yoon.; Quantitative analysis of tital phenolic content in apple. Analytical Science & Techinology, 2001;14:p377. 미소장
16 Kim, H.J.,B.S.Jun, S. K. Kim, J.Y. Cha and Y.S. Cho.;Poly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by extracts from seed, sprout and flower of safflow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0;29:p1127. 미소장
17 Keller, B. pharmaceut. Composit. Therap. 2002;p16. 미소장
18 Bertolini, A.; Ottani, A.; Sandrini, M. Pharmacol. Res. 2001;44(6):p437. 미소장
19 Tsai, p.; Weaver, J.; Cao, G. L.; Pou, S.; Roman, L. J.; Starkov, A. a.; Rosen, G. M. Biochem. Pharmacol. 2005;69(6):p971. 미소장
20 Stmler J. S.; Loscalzo D. J.; Science 1992;258:p1898. 미소장
21 Meta, J. L.;Chen, Y.;Kone, B.C; Metha, P.;Turner, P. J. LAB. Clin.med. 1995;125:p37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