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aspects and meaning of ‘metaphor’ in the film Il postino directed by Michael Radford. This film treats of poetry and metaphor. This film has many explanations and scenes about poetry and metaphor. In this film story, Pablo Neruda and Mario tells about those. In addition to that, this film shows many poetic scenes and metaphoric images. Therefore Il postino suggests that there is some resemblance between a film and a poetry(literature). Metaphor connotes a similarity or an analogy between A and B. From the viewpoint of that Il postino explains metaphorically about metaphor. Because this film deals with metaphor in contents and in method. In contents, Mario and Neruda become intimate with mutually through metaphorical expressions, and the other characters make free use of abundant metaphor. In method, this film has many lyrical, symbolic scenes, and romantic, pathetic background music. Il postino connects between Mario and Neruda, mediates between daily language and poetic language, intervenes between literature and film. In brief, Il postino is filled with metaphor. Metaphor is not only literary embellishments or rhetorical flourishes but also method of understand and explain the world. To sum up, Metaphor is a frame of analyze and interpretate this film.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질문의 경로를 바꿔라 : 시대 변화와 인문학적 사유 정민 pp.25-37

인문학으로 새 지평 열기 : 언어학을 중심으로 윤석민 pp.5-24

애플, 인문학 그리고 하이컨셉 시대 최민성 pp.39-59

박영근 시의 탈식민주의적인 고찰 강정구, 김종회 pp.61-83

영화 <일 포스티노(Il Postino)>의 '비유' 연구 김중철 pp.105-131

염상섭의 시조(時調)론과 조선정서론 김경수 pp.85-103

상호교섭적 관점에 의한 대학 토론교육 : H대학 <말과 글>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김현주 pp.133-162

<마녀배달부 키키>, 성장과 수행의 거리 박기수 pp.163-185

문화콘텐츠로서 도깨비 서사의 가치와 활용 가능성 박수진 pp.187-227

한국문화 속의 기(氣)와 도(道)의 문제와 현대적 의의 : 태극호흡(太極呼吸)의 관점에서 박순애 pp.229-248

일지매 관련 현대 출판물의 계통과 그 功過 서신혜 pp.249-274

증권 상담의 비언어적 표현 전략 손승민 pp.275-302

유네스코 무형유산 대표목록등재로 야기된 한국과 중국 간 문화적 갈등해소를 위한 정책적 방안 신현욱, 김용범 pp.303-323

백석 시편 <고방>의 해석 유성호 pp.325-345

중국 조선족 문학에 나타난 '고향'과 '민족'의 표상 : 해방기와 건국시기 리욱의 시세계를 중심으로 이성천 pp.347-371

김원일의 <미망>과 천운영의 <명랑>과의 비교 : 인물간의 가족관계를 중심으로 이세경 pp.373-394

<<홍길동전>>의 서사 지형도 이승수 pp.395-421

신소설 작중인물의 가치유형 분석 방법과 적용 : 김교제 신소설에 대한 적용 사례 장노현 pp.423-448

국어의 어두자음군에 대한 최적성이론의 분석 조성문 pp.449-470

1930년대 일본체험 회고담 연구. 1, 로맨스의 공통기억과 식민지의 문화적 위치 차혜영 pp.471-499

참고문헌 (2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영화 <일 포스티노>(Il Postino). 1994. 마이클 레드포드(Michael Radford) 감독. 이탈리아. 미소장
2 김문주. 2003. <은유, 그 서정의 전언>. ≪영화 속의 혹은 영화 곁의 문학≫, 모아드림. 미소장
3 김옥순. 2009. ≪이상 문학과 은유≫. 채륜. 미소장
4 김용희. 2008. <시와 영화의 문법과 현대적 미학성>, 이형권․윤석진 편저. ≪문학, 영화를 만나다≫. 충남대 출판부. 미소장
5 김욱동. 2002. ≪수사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미소장
6 김욱동. 1999. ≪은유와 환유≫. 민음사. 미소장
7 김은자. 2009. ≪일 포스티노와 빈대떡≫. 고려대 출판부. 미소장
8 김정은. 2003. ≪대중문화 읽기와 비평적 글쓰기≫. 민미디어. 미소장
9 김주언. 2007. <교양 없는 시대의 교양으로서의 글쓰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34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미소장
10 김한식. 2009. ≪문학의 해부≫. 미다스북스. 미소장
11 김현․김주연. 1988. ≪문학이란 무엇인가≫. 문학과지성사. 미소장
12 노영덕. 2006. ≪영화로 읽는 미학≫. 랜덤하우스중앙. 미소장
13 박민영. 2006. <일 포스티노 연구>. 한림성심대학 논문집 36집. 한림성심대학. 미소장
14 박성창. 2006. <신수사학 시대의 언어와 문학>. 세계의 문학 여름호. 미소장
15 박승희. 2004. ≪시교육과 문학의 현재성≫. 새미. 미소장
16 박영순. 2000. ≪한국어 은유연구≫. 고려대 출판부. 미소장
17 박진․김행숙. 2004. ≪문학의 새로운 이해≫. 청동거울. 미소장
18 송병선. 2001. ≪영화 속의 문학 읽기≫. 책이있는마을. 미소장
19 신범순․조영복. 2000. ≪깨어진 거울의 눈≫. 현암사. 미소장
20 이왕주. 2007. ≪철학, 영화를 캐스팅하다≫. 효형출판. 미소장
21 장미영. 2008. ≪나르시스의 연못≫. 이화여대 출판부. 미소장
22 조용훈. 2007. ≪시, 문화를 유혹하다≫. 이마주. 미소장
23 'Creativity' in Literary Writing 소장
24 한귀은. 2010. ≪이토록 영화같은 당신≫. 앨리스. 미소장
25 로버트 루트번스타인․미셀 루트번스타인. 2009. 박종성 역. ≪생각의 탄생≫. 에코의서재. 미소장
26 G. 레이코프․M. 존슨. 2001. 노양진․나익주 역. ≪삶으로서의 은유≫. 서광사. 미소장
27 안토니오 스카르메타. 2004. 우석균 역. ≪네루다의 우편배달부≫. 민음사. 미소장
28 정성효. <내 청춘에 부친다. ‘일 포스티노’> (접속일: 2011.9.11) 미소장
29 이영철. <영화, 시․그림을 만나다> (접속일: 2011.8.2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