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성폭력, 이혼, 따돌림과 같은 사회적 이슈를 담은 사실주의 그림책에 대해 유아가 어떻게 반응하고 해석하는지 언어적, 행동적 반응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관악구에 위치한 K유치원 만 5세 남녀 유아 16명과 교사가 사실주의 그림책을 읽고 토론하는 장면을 비디오 녹화와, 오디오 녹음을 통해 기록하였다. 사실주의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반응은 Sipe(2008)의 연구에 쓰인 5가지 반응범주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실주의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반응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개인적 반응’이 425회(54.6%), ‘분석적 반응’이 279회(35.9%), ‘상호텍스트적 반응’은 45회(5.8%), '연행적 반응’이 17회(2.2%), ‘동화된 반응’이 12회(1.5%)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회적 이슈를 담은 사실주의 그림책이 유아에게 전혀 낯설고 어려운 주제가 아니며 유아들은 민감한 사회적 이슈와 격리된 존재가 아님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들은 사실주의 그림책의 그림보다 글에 더 분석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사회 문제에 대한 정보를 주로 뉴스, 드라마 등 TV, 대중매체에서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young children respond to and interpret the realistic picture books reflecting the current social issues such as child sexual abuse, parents' divorce and exclusion by peers. The subjects were sixteen 5 years old attending K kindergarten in a suburb of Seoul.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5-6 children only for the reading aloud session. Three picture books were read to each group by the classroom teacher one at a time during 9 reading sessions lasting 9 weeks. Every reading session was recorded by a video camera and an audio cassette recorder and were transcribed later. The children's responses to the realistic picture book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drawn from Sipe (2008)'s classification scheme : personal, analytical, intertextual, performative and transparent responses.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그림책에 묘사된 아버지 양육참여 특성에 관한 연구 | 최예린 | pp.1-23 |
|
|
동화를 활용한 웃음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이향미 | pp.51-73 |
|
|
논픽션 도서 탐구 및 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어휘력과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김남미, 권민균 | pp.25-50 |
|
|
사회적 이슈를 다룬 사실주의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문학적 반응 | 현은자, 박소윤, 조민희 | pp.75-99 |
|
|
우리나라 그림책의 일본 번역판 연구 : 표지와 저작권지를 중심으로 | 오연주, 김금희 | pp.101-120 |
|
|
정보그림책에 대한 만 2세 영아의 반응 | 김선희, 전연우, 조희숙 | pp.121-146 |
|
|
증강현실 그림책의 읽기방법에 따른 유아의 반응 비교 | 현은자, 연혜민, 최경 | pp.147-162 |
|
|
초등학교 저학년 동화 문체 분석 : 권정생의 <강아지똥>을 중심으로 | 윤신원 | pp.163-182 |
|
|
Dewey 교육론에 나타난 영유아 도덕교육의 의미 | 구수연, 나성식 | pp.201-220 |
|
|
한국 애니매이션 "마당을 나온 암탉"에서 찾은 생태적 인식 및 유아교육적 의미 탐색 | 김은주 | pp.183-199 |
|
|
부모의 안전지식, 안전교육 실행정도와 유아의 안전지식, 위험요소예측능력 간의 관계 | 박형신, 김정주, 지상숙 | pp.221-241 |
|
|
영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헌신 | 이미란, 김정원 | pp.243-260 |
|
|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현상에 관한 질적연구 | 백경순 | pp.261-275 |
|
|
유치원에서 자녀양육지원 프로그램 적용 효과 | 김혜자, 이성희 | pp.277-295 |
|
|
직장 보육시설 시설장의 어려움, 보람 그리고 희망 | 이진옥, 남상미, 이대균 | pp.297-320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은진(1997). 환상동화와 사실동화에 대한 유아의 반응 비교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2 | Need Assessment of Sex-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소장 |
3 | 교육인적자원부(2001). 함께 풀어가는 성이야기. | 미소장 |
4 | 김미선(2008). 유치원과 가정에서의 성교육 실태에 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5 |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ive Program using Picture Books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Language, Sociability, Self-Concept and Home Environment. | 소장 |
6 | Effects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using children`s safety picture-books on the safety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kindergarten children | 소장 |
7 | 김숙현(2006). 환상동화와 사실동화에 대한 초등학생의 반응 연구 : 언어와 행동적 반응을 중심으로. 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8 | 김양선(1997). 소그룹 그림책 읽기에서 그림책에 대한 5세 유아의 반응.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미소장 |
9 | 박선미(2004). 유아 성교육 현황 및 유아 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10 | 박성연(2001).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종 및 타문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미소장 |
11 | 법원행정처(2008). 사법연감. | 미소장 |
12 | The Effect of Education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Child Sexual Abuse in School Nurses in Korea | 소장 |
13 | study on par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n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for children | 소장 |
14 | 우민정(2010). 유아 성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 논문. | 미소장 |
15 |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활동이 만 3세 유아의 반편견 인식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16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따돌림 현상과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 소장 |
17 | 장은주(2006). 만5세 유아의 따돌림 행동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석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18 | 지추련(2007). 유아 성폭력 예방교육의 현황 및 방향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여성연구논집, 18, 91-128. | 미소장 |
19 | 최상은(2007). 환상동화와 사실동화에 대한 남,여 유아의 언어반응.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20 | 최유정(2008). 유아 성폭력 실태 및 유아 교사의 성폭력 인식에 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21 | 통계청(2010). 인구동향조사. http://kosis.kr. 2011년 4월 5일 인출. | 미소장 |
22 | 해바라기 아동센터(2010). 2009년 사업보고서. http://www.child1375.or.kr. 2011년 4월 5일 인출. | 미소장 |
23 | The Literature Review on Ways to Enhance 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of Divorce Families | 소장 |
24 | 현은자, 김세희(2005). 그림책의 이해 Ⅰ. 서울: 사계절 | 미소장 |
25 | Berk, L. E. (2000). Child development (5th ed.). Boston: Allyn & Bacon. | 미소장 |
26 | Crosson-Tower, C. (2005). Understanding child abuse and neglect (6th ed.). Boston, MA: Pearson Education, Inc. | 미소장 |
27 | Emery, R. E. (1999). Marriage, divorce, and children's adjustment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 미소장 |
28 | A Longitudinal Study of the Spectator Stance as a Function of Age and Genre. ![]() |
미소장 |
29 | Violence, Children, and Children's Books ![]() |
미소장 |
30 | Facing the Dark Side in Children's Books ![]() |
미소장 |
31 | The evaluation of sexual abuse in children. ![]() |
미소장 |
32 | Smoky Night and Crack: Controversial Subjects in Current Children's Stories ![]() |
미소장 |
33 | Memory for goal-directed events ![]() |
미소장 |
34 | London, K., Bruck, M., Ceci, S. J., & Shuman, D. W. (2005). Disclosure of child sexual abuse: What does the research tell us about the ways that children tell? Psychology, Public Policy, and Law, 11(1), 194-226. | 미소장 |
35 | Children's Literature as Prevention of Child Sexual Abuse ![]() |
미소장 |
36 | Nodleman, P. (1996). The pleasures of children's literature. White Plains: Longman. | 미소장 |
37 | Children's Literature and Considered Bravado ![]() |
미소장 |
38 | Sipe. L. R. (2008). Storytime: young children's literary understanding in the classroom.. Teachers College Press: New York | 미소장 |
39 | Sipe. L. R., & Brightman, A, E. (2009). Young children's interpretations of page breaks in contemporary picture storybooks. Jonal of Literary Research, 41, 68-103. | 미소장 |
40 | Connecting Children to Their World ![]() |
미소장 |
41 | Children Reading Pictures: Interpreting Visual Texts ![]() |
미소장 |
42 | Styles, M., & Arizpe, E. (2006). The nature of picturebooks : theories about visual texts and readers. In P. Hunt (Eds.), Children's literature: Critical concepts in literary and cultural studies. London: Routledge. | 미소장 |
43 | Tomlinson, C. (1995). "Justifying violence in children's literature," in battling dragons: Issues and controversy in children's literature, Susan Lehr, ed., 39-50. Portsmouth; Heinemann. | 미소장 |
44 | Depressive Stories for Children ![]() |
미소장 |
45 | Wallerstein, J., Lewis, J., & Blakeslee, S. (2000). The unexpected legacy of divorce. New York: Hyperion.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