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Lim, JH., Park, W.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figure skate training on equilibrium, balance strategy, and sensory organization ratio in figure skaters. Fourteen subjects with mid level of figure skate training for about 3.6 years, and control group were assessed with the sensory organization tests(SOT) under six visual and somatosensory input conditions by computer dynamic posturography(Equitest). A figure skaters group was significant high equilibrium score(p〈.05) in C2(eye closed, fixed support), C5(eye close, sway referenced support), and C6(sway referenced visual and support). Balance strateg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groups. A figure skaters group had better VEST ratio(C5/C1) than a counterpart(p〈.05), and VIS(C4/C1) and SOMA(C2/C1)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groups. Long participation in figure skaters to speed up the development of postural control and vestibular function in figure skat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clinicians might advocate modified figure exercise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people with balance or vestibular dysfunction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생활체조 참여 노인들의 여가 만족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이동호, 김명미, 강형숙 pp.3-14

기숙학교 학생의 여가유형과 여가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유미진, 이천희 pp.15-29

미국 태권도장 지도자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지도자신뢰 및 운동몰입의 관계 김태일, 원형진 pp.31-43

기혼여성 라인댄스 참여자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서광봉, 이철원, 조남흥 pp.45-55

2015 광주하계U대회 개최에 따른 지역주민인식과 지지도, 협력의사와의 관계분석 서영환, 조선하, 신진화, 김공 pp.57-73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합숙생활규제가 자기통제능력 및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유찬 pp.91-103

중·고등학교 스포츠 지도자의 감성적 리더십이 선수정서, 팀분위기 및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김범 pp.75-89

교양체육 참여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행복감간의 관계 김진혜, 전형상, 이지훈 pp.119-131

정주대학(Residential College)스포츠여가 참여와 웰니스, 생활만족과의 관계 유신환, 이상덕 pp.133-145

국제태권도조직의 혁신을 위한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유정석, 한광령 pp.105-118

여성의 운동 몰입경험이 심리적 행복감 및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천수정 pp.161-175

노인건강복지시설 활성화를 위한 Q방법론적 요인분석 : 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김재현 pp.147-160

태권도 전공 대학생의 사회성에 대한 구조모형 박상배, 이지훈 pp.177-191

통합수영교실이 지적장애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이성범, 황향희, 이종민 pp.193-204

동호인 야구참가자의 참여동기와 수행목표성향 및 운동지속의도의 관계 강현욱, 전태준 pp.205-215

신체적활동 참여 기독교인의 교회만족도, 조직헌신도, 충성도, 구전의도와의 인과관계 전정우, 김정모 pp.217-234

선수계층별 배드민턴 코치의 변혁적 리더십과 선수만족 및 팀성과 간의 인과관계 유재충, 김용진 pp.235-250

사회인 야구선수들의 인구사회학적요인과 소비행동배경의 인과관계 연구 박규남 pp.251-262

전자호구 공정성과 적합성 및 지속적 사용에 대한 대학지도자와 선수들의 인식 탐색 유동현, 조성균, 전정우 pp.263-274

대학생의 로하스 라이프스타일과 여가 스포츠 태도의 관계 김명미 pp.293-302

골프장 서비스품질 향상을 위한 Q방법론적 요인 분석 김현덕, 오정준, 김공 pp.275-291

무용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이 지도자 신뢰 및 무용활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손재현, 이성노, 구교선 pp.303-316

2018평창동계올림픽 유치 재도전 과정에서 형성된 공공갈등 구조 분석 서세훈, 박재우 pp.317-332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자아존중감, 몰입, 심리적 안녕감과 행복감 간의 관계모형검증 김두기, 김종식, 신종훈 pp.335-346

태권도장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와 수련의지에 미치는 영향 최경근, 장환민 pp.347-357

과제 참여동기 수준에 따른 정보제공 후 지연간격이 골프퍼팅 학습의 전이에 미치는 영향 김윤래 pp.359-368

체대입시 수험생의 불안극복 형성과정에 대한 근거 이론적 접근 이윤구, 윤용진 pp.369-380

근적외선 조사 스포츠웨어 착용 시 운동기술 향상과 플라시보 효과 :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법 하태호, 김성운 pp.381-390

한국 여자 프로 골프선수의 경기력에 따른 심상유형과 자신감의 관계 김순미, 김순영 pp.391-401

직장인의 스크린골프 참여형태가 대인관계성향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선호, 윤용진, 이기표 pp.403-413

태권도 선수들의 행동몰입과 태도몰입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장환민, 최경근 pp.415-422

체성감각피질에 적용된 경두개자기자극이 프리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윤희철, 이경현, 이지항 pp.423-432

건강교실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체력 및 자아존중감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박주영, 신윤정, 김지연 pp.433-442

스포츠이벤트 참가동기, 선택속성, 만족도 및 재방문의도간의 인과관계 분석 류충완, 조우정 pp.445-457

스포츠센터 종사자의 셀프리더십이 심리적 임파워먼트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노동연, 원형진 pp.459-472

리더십 유형과 몰입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유강원, 신인수 pp.473-484

레저스포츠관광 웹사이트속성과 지각요인, 신뢰 및 행동의도와의 관계 김화룡 pp.485-498

스포츠이벤트 서비스품질과 개최지 관광이미지가 참가자 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용상 pp.499-511

골프용품 브랜드에 대한 사전지식, 정보탐색, 신념 불일치 및 지각된 위험, 구매지연의 구조적 관계 이보형 pp.513-531

스포츠참여자의 자아존중감과 과시적 소비성향 간의 관계에서 체면민감성의 매개효과 남상백 pp.533-546

유도도장 지도자의 리더십유형이 고객만족과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공성배, 김영훈, 이태현 pp.547-557

배드민턴 동호인의 몰입이 만족과 재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김현아, 전호문 pp.559-573

시·도체육회의 직무환경, 조직문화, 임파워먼트 및 조직헌신도의 구조관계 유광길, 정경회, 최형원 pp.575-586

아웃도어 스포츠웨어 유명광고모델 속성이 광고적합도 및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지태, 권일권, 강현욱 pp.587-598

태권도장의 고객접점서비스가 고객만족 및 고객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최정란 pp.599-612

세계태권도대회 스폰서십을 통한 브랜드-이미지 전이효과 분석 박태승, 임종남, 강철우 pp.613-626

레저스포츠 산업 속성 인식과 서비스 구매 의사결정 간 소비자 태도의 매개효과 분석 고경진, 이천희 pp.627-642

프로농구 관람객의 스타선수 속성과 관람만족, 팀 충성도 및 관람 후 행동의 관계 조용찬, 신승애, 남재준 pp.643-654

공공체육 시설의 서비스 품질만족이 재구매 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기출, 최성애, 이재형 pp.655-665

스포츠센터 지도자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의 관계 김성덕, 김일광 pp.667-679

프로야구 구단SNS(Social Network Service) 이용자의 SNS만족, 커뮤니티 동일시, 지속사용의도 및 관람의도와의 관계 박성제, 이제욱 pp.681-695

무에타이 체육관 선택속성이 수련만족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공성배, 김보겸, 김대곤 pp.697-706

여자프로농구 경기관전요인이 관람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동선, 변연하 pp.707-719

퍼스널트레이너의 기대도가 고객만족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선령, 도금석 pp.721-733

스포츠시설 구성원의 직무특성, 조직공정성과 직무만족 및 조직시민행동의 관계 이동준, 황지현 pp.735-745

대학 스포츠센터 서비스품질이 이용자 태도, 대학명성, 대학후원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병연, 유용상 pp.747-761

스포츠용품 충동구매 과정에서 구매위험지각과 비구매 위험지각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세준, 이동현 pp.763-771

The effects of class size on planning, decision making, and teaching and learning behaviors in elementary school 김하영, 오중일 pp.775-786

초등학교 태권도 수련생의 학습유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최영준, 최관용 pp.787-799

대학 교양발레 재미요인, 수업만족 및 지속의도의 관계 이화석, 서정원 pp.803-814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 무용참여가 초등학생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이정일, 이성노, 이태현 pp.815-826

중년여성 요통환자의 안정화운동과 자이로토닉운동이 요부 등척성 신근력 및 통증변화에 미치는 영향 강명학 pp.829-839

Correlation among Aerobic Power, Anaerobic Power of ACE in Short Track Skaters 김완상, 김재호, 전용균, 윤성준 pp.841-849

노인 여성들의 Step Box와 근력 순환 운동이 활동체력 및 대사증후군 지표에 미치는 영향 이강옥 pp.851-863

12주간의 복합운동이 여자 대학생의 신체조성과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허창호, 소위영 pp.865-875

등척성 운동과 신경근 전기자극이 손목 신전근의 근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조성현, 이중호 pp.877-886

복합운동에 따른 폐경 전·후 비만중년여성의 신체조성, 혈관 염증지표 및 호르몬의 변화 이경렬, 허만동 pp.887-898

48주간 수영참여와 성별이 비만아동의 체지방률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구광수, 김지윤, 홍예주 pp.899-911

복합운동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노인의 대사성위험인자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이소은, 권정현 pp.913-922

노인여성의 12주간 유산소성 복합운동이 신체조성 및 혈관탄성에 미치는 영향 최종식, 박준영, 양대승 pp.923-933

폐경 전 중년 여성의 대사증후군 위험도에 따른 신체구성, 건강관련체력 및 신체활동량의 비교 박광진, 성순창, 이만균 pp.935-947

야구 선수들의 상지골격근의 근 활동 및 근력의 특성 박시영, 노호성 pp.979-991

CVD 중년남성의 복합운동 참여가 호흡 순환계에 미치는 영향 강소형, 김일곤, 차진, 김승석, 박준영 pp.949-958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자발적 운동참여에 따른 건강관련체력의 평가와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 안근희 pp.959-968

하지근과 등속성 근력 및 슬관절 파워의 연령차 비교분석 김준동 pp.969-977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of Knee joint of Female National Alphine skiers before and after Season 전용균, 이기홍, 김재호, 이승범 pp.993-1003

수중운동프로그램 참여가 슬관절 환자의 정적균형, ROM, 등속성 근기능 및 관절기능상태에 미치는 영향 정정욱, 김종호 pp.1005-1016

동맥경화증 고위험 성인의 규칙적인 운동이 혈압과 동맥경직도에 미치는 영향 백승희, 최승욱 pp.1017-1025

12주간 복합운동이 FTO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비만남자대학생의 신체구성 및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효과 이정윤, 이채산 pp.1027-1040

심폐체력 수준 차이에 따른 중등강도 유산소성 운동이 성장호르몬, 글루코스, 인슐린, 유리지방산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윤성진, 이진성, 김성철 pp.1053-1063

대학축구선수들의 셔틀런 트레이닝 전후 음료섭취가 혈압, 심박수 및 젖산에 미치는 영향 박성환, 김규태, 이강구 pp.1065-1075

유형별 수중운동이 만성퇴행성관절염 여성노인의 신체조성, 보행기능 및 통증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승완, 김경태 pp.1077-1089

대학 보디빌딩 선수의 대사적 수용기 자극에 따른 심혈관 반응 김성민, 최현민, 김종경, 노호성 pp.1091-1101

수중걷기와 지상걷기 운동이 비만 고령여성의 인슐린저항성, 아디포카인 및 혈압하강에 미치는 영향 소용석, 이성수 pp.1103-1114

여대생의 유산소 운동 능력과 상완-발목 맥파속도 및 동맥협착도의 다차원적 관계 양윤권 pp.1115-1125

신장성운동 후에 냉각요법이 근손상지표 및 조직대사에 미치는 영향 이호성 pp.1137-1150

고교배구선수들의 단기간 고강도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이 근 손상지표와 혈중 산소운반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홍용 pp.1151-1161

실내 운동이 비만 아동의 혈청 지질과 비타민D 및 미네랄에 미치는 영향 김현준, 김영근 pp.1163-1172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 대한 운동치료가 체간근력에 미치는 효과 박성진, 이동규 pp.1173-1183

저항성 운동이 AHSG와 IGFBP1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오승렬, 장혁기 pp.1185-1195

운동강도의 차이가 대장에서 지질 및 지방산 대사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초기 선험적 연구 최은주 pp.1197-1207

남녀축구선수에 대한 키네시오테이핑적용이 대퇴부 근전도와 혈중 젖산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강명학, 김한수, 이수영, 김건도 pp.1209-1219

12주간의 코어운동프로그램이 만성요통환자의 요부신전근력 및 안정화 능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상용 pp.1221-1230

단기간의 전지훈련 운동프로그램과 작약 감초 음료 섭취에 따른 남녀 농구선수들의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하창호, 전용균, 소위영 pp.1231-1240

규칙적인 운동습관이 고혈압 환자의 24시간 활동혈압에 미치는 영향 최승욱 pp.1241-1249

피겨 스케이팅 훈련이 평형성, 평형전략 및 감각조직 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진해, 박우영 pp.1253-1263

보디빌더의 저항훈련 중 회복시간의 차이가 혈중 GH, Testosterone, Ghrelin의 농도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오경모 pp.1265-1277

운동형태가 고령여성의 동맥경직도와 혈중 마이오카인에 미치는 영향 이성수, 소용석 pp.1279-1290

보디빌더의 훈련 시 단세트와 다중세트의 차이가 Growth hormone, Cortisol, SOD, MDA 및 슬관절 등속성 근력에 미치는 영향 김명수, 김성희, 방현석 pp.1291-1304

복합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혈중 지질변인 및 HOMA-IR과 HOMA β-cell에 미치는 효과 이재구, 강병용, 김성민, 김후년 pp.1305-1316

국내 댄스 스포츠 경기 대회의 국내·외 심사자 판정 적합도 검정 김형돈, 권순용, 채진석 pp.1319-1329

스쿼시 경기 기술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최영철, 권태원 pp.1331-1346

한국남자프로농구 경기기록 분석을 통한 승패결정요인 추정방법 비교 김세형 pp.1347-1360

2011 기계체조 세계선수권대회 도마 결승경기의 연기요소, 라인감점, 착지 성공률 및 정성적 분석 한윤수, 정진수 pp.1361-1370

여자골퍼의 어프로치 거리에 따른 퍼팅자세의 운동학적 비교분석 현승현, 고명식, 류재청 pp.1373-1384

일반인과 엘리트 축구선수의 신체조성과 무릎 및 발목관절의 등속성 근력 특성 비교분석 천성용, 전경규, 박동수 pp.1385-1395

태권도 돌개차기 동작의 운동역학적 특성 분석 박동수, 강영석 pp.1465-1475

골프 스윙 시 클럽에 따른 지연히팅 및 X-factor에 대한 비교분석 김준연, 백송원 pp.1397-1408

마루운동 물구나무서기 후 무릎 펴 앞구르기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한숙희, 정익수 pp.1409-1420

남녀 유아의 연령별·성별에 따른 체격 및 체력의 특성 비교분석 이용식, 김성중, 임영태 pp.1421-1429

수중 Training과 Detraining이 노인들의 낙상관련 체력에 미치는 영향 김창범, 신준용, 박상섭, 정재원 pp.1431-1442

Functional insole의 착용이 노인 여성의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문곤성 pp.1443-1453

댄스 스포츠 종목 간 인체 형태학적 차이 분석 박규남 pp.1455-1463

BCAA攝取とジャンプトレーニングがラットの腓腹筋に與える影響 이재영, 이재문 pp.1127-1135

써어킷 웨이트 트레이닝이 MDA 및 SOD 농도에 미치는 영향 박병근 pp.1041-1051

참고문헌 (3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노인들의 운동습관이 감각조절 및 운동조절기능에 미치는 영향 소장
2 옥정석, 김재일, 임재형 (1997). 97운동과학회· 스포츠의학회 동계학술대회. 108-126. 미소장
3 이정구 (1999). 어지러움.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125-6. 미소장
4 Aydin, T., Yildiz, Y.,Yildiz, C., & Kalyon, T.A.(2002). Effects of extensive training on female teenage gymnasts’ active and passive ankle joint position sense. J. Sport Reha., 11: 1-10. 미소장
5 Bloch, R.M.(1999). Figure skating injuries. Phys. Med Reha., (1): 177-88. 미소장
6 Bressel, E., Yonker, J.C., & Kras, J. (2007). Comparison of static and dynamic balance in female collegiate soccer, basketball, and gymnastics athlete. J. Athle Train., 42(1): 42-46. 미소장
7 Cherng, R.J., Lee, H.Y., & Su, F.C. (2003). Frequency spectral characteristics of standing balance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Med. Eng Phys., 25: 509-15. 미소장
8 Cox, E.D., Lephart, S.M., & Lrrgang, J.J.(1993). Unilateral balance training of noninjured individuals and the effects on postural sway. J. Sport Reha., 2: 87-96. 미소장
9 Cumberworth, V.L., Patel, N.N., & Roger, W.(2007). The maturation of balance in children. J. Laryngo Oto., 121: 449-54. 미소장
10 Fong, S.S., Fu, S., & Ng, G.Y. (2011). Taekwondo training speeds up the development of balance and sensory functions in young adolescents. J. Sci Med Sport., 7: 10-16. 미소장
11 Gauffin, H., Tropp, H., & Odenrick, P. (1988). Effect of ankle disk training on postural control on patients with functional instability of the joint. Inter. J. Spo Med., 9; 141-4. 미소장
12 Comparison of standing balance between female collegiate dancers and soccer players 네이버 미소장
13 Hansson, E.E., Månsson, N,O., Ringsberg, K.A., & Håkansson, A. (2008). Falls among dizzy patient in primary healthcare: an intervention study with control group. Inter. J. Reha Res., 31(1): 51-7. 미소장
14 Developmental perspective of sensory organization on postural control 네이버 미소장
15 Long term effects of closed head injuries in sport. 네이버 미소장
16 King, D.L. (2005). Performing triple and quadruple figure skating jumps: implications for training. Canada. J. Appl Phys., 30(6): 743-53. 미소장
17 Kovacs, E.J., Birmingham, T.B., Forwell, L., & Litchfield, R.B. (2004). Effect of training on postural control in figure skaters. Clinical J. Spo Med., 14: 215-224. 미소장
18 Leong, H.T., Fu, S.N., Ng, G.Y,F., & Tsang, W. W. N. (2011). Low-level Taekwondo practitioners have better somatosensory organization in standing balance than sedentary people. European. J. Appl Phys., 111: 1787-1793. 19. 미소장
19 Lepart, S.M., Giraldo, K.L., & Borsa, P.A.(1996). Knee joint proprioception : a comparison between female intercollegiate gymnasts and controls. Knee Surgil Sports., 4(2): 121-4. 미소장
20 Lord, S.R., Ward, J.A., & Williams, P. (1996). Exercise effect on dynamic stability in order woman : a randomized controlled trail. Arch Phys. Med Reha., 77(3): 232-6. 미소장
21 Mannix, E.T., Healy, A., & Farber, M.O.(1996). Aerobic power and supramaximal endurance of competitive figure skaters. J. Spo Med. Phys Fit., 36: 161-168. 미소장
22 Matrangola, S.L., & Maldigan, M.L. (2011). The effects of obesity on balance recovery using an ankle strategy. Human Movement Science, 30, 584-595. 미소장
23 Micheli, L.J., Greene, H.S., & Cassella, M.(1999). Assessment of flexibility in young female skaters with the modified marshall test. J. Pedi Ortho., 19: 665-668. 미소장
24 Nashner, L.M., & MeCollum, G. (1985). The organization of human postural movements: A formal basis and experimental synthesis. Beha. Brain. Sci., 8: 135-72. 미소장
25 Paillard, T., Costes-Salon, C., Lafont, C., & Dupui, P. (2002). Are there difference in postural regul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petition in judoists? British. J. Spo Med., 36: 304-305. 미소장
26 VISUAL STABILIZATION OF POSTURE 네이버 미소장
27 Perrin, P., Gauchard, G.C., & Lion, A. (2010). Judo, better than dance, develops sensorimotor adaptabilities involved in balance control. Gait Posture., 15: 187-94. 미소장
28 Riach, C.L., & Hayes, C. (1987). Maturation of postural sway in young children. Devel. Med. Child Neuro., 29(5): 650-8. 미소장
29 Rine, R.M., Rubish, K., & Feeney, C.(1998). Measurement of sensory system effectiveness and maturational changes in postural control in young children. Pedia. Phys Thera., 10: 16-22. 미소장
30 Riva, D., Botta, M., & Trevisson, P. (2002).Static postural strategies in figure skaters and ice dancers. Med Sci. Spo Exercise., 34: 69-75. 미소장
31 Schultz, A.B. (1995). Muscle function and mobility biomechanics in the elderly: an overview of some recent research. J. Geron., 50: 60-63. 미소장
32 Schmit, J.M., Regis, D.I., & Riley, M.A. (2005). Dynamic patterns of postural sway in ballet dancers and track athletes. Exp. Brain Res., 163: 370-378. 미소장
33 Shumway-Cook, A., & Woollacott, M.H.(1985). The growth of stability : postural control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J. Motor Beha., 17: 130-47. 미소장
34 Motor Control Today and Tomorrow 네이버 미소장
35 Simmons, R.W. (2005). Sensory organization determinants of postural stability in trained ballet dancers. Inter. J. Neuro., 115: 87-97. 미소장
36 Smith, A.D., Stroud, L., & McQueen, M.(1991). Flexibility and anterior knee pain in adolescent elite figure skaters. J. Pedia Ortho., 77-82. 미소장
37 Steindl, R., Kunz, K., & Schrott-Fischer, A. (2006). The effect of age and sex on maturation of sensory system and balance control. Devel. Child Neuro., 48: 477-82. 미소장
38 Tanguy, S., Quarck, G., Etard, O., Gauthier, A., & Denise, P. (2008). Vestibulo-ocular reflex and motion sickness in figure skaters. Euro. J. Appl Physi., 104(6): 1031-7. 미소장
39 Wolfson, L., Judge, J., Whipple, R., & King, M. (1995). Strength is a major factor in balance, gate and the occurrence of falls. J. Geronto., 50: 64-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