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examines the changes and challenges of museum operation, exhibition and visitors' perception in terms of adaption and application of digital media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study represents recent issues for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 focused on museum identity. Museums are looking forward to new direction and roles for the public. Mobile, social services as a new media extend the role of museums. In this situation, exhibition methods such as interactive storytelling and gaming technologies have great experience and appreciation for potential for engaging visitors with museum exhibitions. They make visitors relate both physical and virtual environment using interactive technologies.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dramatic rise in the number of social media technologies, which mean have employed to engage people in new ways under the web 2.0. The study suggests some ways in which museum might design and evaluate their social and digital media initiatives to ensure their success and sustainability, and offer some questions for further research.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디지털 환경과 뮤지엄 관람의 변화 | 구보경 | pp.1-19 |
|
|
미술 창의성 연구를 위한 생애사 방법론 고찰 | 김형숙, 문지원 | pp.65-94 |
|
|
안견의 몽유도원도(夢遊挑源圖)에 표현된 구도와 공간개념의 창신(創新)에 관한 연구 | 권현희 | pp.21-43 |
|
|
전통미술교육에서 그림자놀이의 미학적 의미와 활용방안 | 김선아, 이주원 | pp.45-64 |
|
|
미국의 미술교사양성 수업 문화 사례 연구 : FSU의 미술교육학과 수업을 중심으로 | 노용 | pp.95-133 |
|
|
'감각'과 '지각'에 기초한 학습자의 '내러티브 미술교육과정' 소고 : 메를리 퐁티 이론을 중심으로 | 박라미 | pp.135-155 |
|
|
부드러운 마티에르의 형태화에 의한 조각의 변모 | 박숙영 | pp.157-182 |
|
|
미술 수업에서 실수 후 사후가정사고 활용연구 | 박영주 | pp.183-204 |
|
|
숲·예술 창의 프로젝트 효과 연구 : 아동의 창의성·창의적 미술 표현·감성지능 중심으로 | 이수경 | pp.205-230 |
|
|
한국인의 자생미학으로서 전통 색채관 연구 : 오방색을 중심으로 | 주미경 | pp.231-264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A Study on the Usability for Museum Websites for Interactive Museum Experience | 소장 |
2 | 이보아(2008). 모바일 기술과 융합을 통한 박물관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연구, 인문콘텐츠, 7, pp. 23-50. | 미소장 |
3 | 전범수(2010).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와 문화예술 체험방식의 변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미소장 |
4 | Burton, C. & Scott, G.(2003). Museums: Challenges for the 21th Century, International Journal of Arts Management, 5(2), pp. 56-68. | 미소장 |
5 | Durbin, G.(2003). Using the Web for Participation and Interactivity. Retrieved September8, 2012 from http://www.archimuse.com/mw2003/papers/durbin.html | 미소장 |
6 | Falk, J. H. and Lynn D.(2000). Learning from museums: visitor experiences and making of meaning, Lanham, MD: AltarMira Press. | 미소장 |
7 | Genoways, H.(Eds.).(2006). Museum philosophy for the twenty-first century, Lanham, MD: Altamira Press. | 미소장 |
8 | Kreps, C. F.(2003). Liberating culture: cross-cultural perspectives on museums, curation and heritage preservation, NY: Routledge. | 미소장 |
9 | Marstine, J.(Ed.).(2006). New museum theory and practice: an introduction, MA: Blackwell publishing. | 미소장 |
10 | Molesworth, H.(2010). Artforum, 48(10), pp. 294-295. | 미소장 |
11 | Simon, N.(2010). The participatory museum, Museum 2.0 Blog. | 미소장 |
12 | http://www.lamoth.org | 미소장 |
13 | http://denverartmuseum.org/exhibitions/brian-knep-exempla | 미소장 |
14 | http://www.blep.com | 미소장 |
15 | http://www.googleartproject.com | 미소장 |
16 | http://www.museumtwo.blogpost.com | 미소장 |
17 | http://www.artmuseums.kr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