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우리나라는 2012년 3월부터 만 5세 모든 유아들을 위한 교육과 보육에 대한 국가책임의 강화라는 차원에서 무상으로 교육 및 보육서비스를 통합한 국가수준 공통과정을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적용함으로써 양질의 교육ㆍ보육경험을 균등하게 제공한다는 취지에서 '5세 누리과정'을 도입하였고 2013년부터는 3월부터는 3ㆍ4세 유아들에게도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적용하기로 하였다. 누리과정의 성공적인 정착과 효과성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전문적 자질을 구비한 유아교사 양성이 필수이다. 그럼에도 현재 유아교사 양성시스템이 교육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로 이원화되어 있고 자격기준, 명칭, 교육연한, 교육커리큘럼, 양성기관 등도 모두 달라 유아교사의 균등하고 수준 높은 전문성을 향상시키기에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바람직한 유아교사상의 확립, 둘째, 이원화되어 있는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일원화, 셋째, 이원적인 행정체계의 일원화 및 유아교사의 자격기준 일원화, 넷째, 인간의 삶과 관련된 모든 영역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안목을 갖출 수 있도록 커리큘럼 재조정, 다섯째, 유아교사의 직무영역과 내용 및 기준의 명확화 및 이에 준한 커리큘럼 체계화, 여섯째, 유아교사 양성기준의 강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orean government imposed a free education policy called "Nuri-Curriculum program" available for children under age of 5 ever since march 2012 due to consolidation of national responsibility. The policy presents providing of cost-free and high-quality education/childcare services to people. Nuri program services will expand to applied age of 3-5 children from march 2013. however, because to gain successful outcomes from the program requires well-trained professional educator,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education infrastructure in order to improve employees' professionality.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교육과학기술부(2011), 2011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0호, 교육과학기술부. | 미소장 |
2 | 교육과학기술부(2011), 2011 학년도 교원양성기관 현황, 교육과학기술부. | 미소장 |
3 | 교육과학기술부ᆞ보건복지부(2011),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발간번호11-1341000-001931-01, 5세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ᆞ보건복지부. | 미소장 |
4 | 교육과학기술부ᆞ보건복지부ᆞ육아정책연구소(2012), 누리과정운영지원을 위한 교사연수 자료집. 육아정책연구소. | 미소장 |
5 | 김수연ᆞ김온기ᆞ나종혜ᆞ신혜원ᆞ유영미ᆞ이미란ᆞ이영ᆞ이재선 ᆞ이정림ᆞ장지나ᆞ조성연(2009), 영유아 발달, 서울: 학지 사. | 미소장 |
6 | 김은영(2006), 유치원 교사의 직무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7 | 김이경(2005), 교원의 직무 수행 실태 분석 및 기준 개발 연구, 연구 RR2005-8,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8 | 나정.ᆞ장명림ᆞ.박은실(1998), 유아교육 공교육화에 대비한 영유아교사 양성체계 개선방안 연구, 연구 RR98-06,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9 | 유아교육의 기능 변화와 교원양성 정책 ![]() |
미소장 |
10 | 박은혜(2003), 영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 미소장 |
11 | An Analysis of Maj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at 3-Year Junior Colleges. | 소장 |
12 | 배소연(2001), 4년제 영유아교사 양성대학교의 전공교육과정 연구,교육학연구, 39(4), 271-290. | 미소장 |
13 | 보건복지부(2012), 2012 표준보육과정의 구체적 보육내용 및 교사지침, 보건복지부. | 미소장 |
14 | 보건복지부(2012a), 2012 보육사업안내, 보건복지부 고시 제 2012-28호, 보건복지부. | 미소장 |
15 | 서영숙ᆞ.이미화ᆞ.임승렬ᆞ.조부경(2005), 한국 유치원/보육교사교육의 역사와 미래: 유아교육․보육의 질적 향상과 영유아교사의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사교육, 한국유아교육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및 정기 학술대회자료집. | 미소장 |
16 | 유치원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 ![]() |
미소장 |
17 |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 Education in Korea | 소장 |
18 | 염지숙ᆞ.이명순ᆞ.조형숙.ᆞ김형주(2008), 유아교사론, 서울: 정민사. | 미소장 |
19 | 육아정책연구소(2012),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국민인식 제고 방안,연구보고2012-05, 육아정책연구소. | 미소장 |
20 | 이미화.ᆞ장명림.ᆞ신나리.ᆞ김문정ᆞ.김현철(2006), 육아지원인력의수급전망 및 전문성 제고방안, 연구보고2006-03, 육아정책개발센터. | 미소장 |
21 | 이미화ᆞ.임승렬.ᆞ조형숙ᆞ.유은영.ᆞ송신영(2007), 육아지원인력 양성교육과정 모형개발 연구, 연구보고2007-05, 육아정책연구소. | 미소장 |
22 | 이순영(2005), 보육교사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모형 개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 | 이은화.ᆞ배소연ᆞ.조부경(1995), 유아교사론, 서울: 양서원. | 미소장 |
24 | 이정환(1993), 유아교육의 교수학습방법, 서울: 교문사. | 미소장 |
25 | 전혜미(2012),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6 | 현장에서 보는 '5세 누리과정'의 기대와 우려 | 소장 |
27 | 조부경(1994),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관심사와의 관계연구, 교수논총, 10(2), 131- 161. | 미소장 |
28 | 최현자(2005), 유아교사 양성제도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ᆞ보육행정연구, 9(4). 219-244. | 미소장 |
29 | 보육인력(시설장 및 보육교사)의 자격제도 및 전문성 유지환경에 대한 평가 | 소장 |
30 | Broudy, H. S.(1984), The university and the preparation of teachers, In L. G. In Katz, & J. D. Raths(eds), Advances in Teacher Education, NJ: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 미소장 |
31 |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rating scale in Korea | 소장 |
32 | Committee on Early Childhood Pedagogy(2000), Eager to Learn,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 미소장 |
33 | Decker, A. A. & Decker, J. R.(2000), Planning and Administering Earely Childhood Programs(7th ed.), Merrill, NJ: Prentice-Hall. | 미소장 |
34 | Feeney, S., Christensen, D., & Moravcik, E.(1983), Who Am I in the lives of children?, Columbus, Ohio: Charles E. Merrill Publishing Co. | 미소장 |
35 | Hildebrand, V.(1979), Introduction to Early Childhood Reacher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Inc. | 미소장 |
36 | Family and Child Care Influences on Toddler's Compliance ![]() |
미소장 |
37 | Developmental Stages of Preschool Teachers ![]() |
미소장 |
38 | Katz, L. G.(1988), Where is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profession?, In B. Spodek, O. N. Saracho, & D. L. Peters(eds.), Professionalism and the Early Childhood Practioner,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Columbia University. | 미소장 |
39 | Spodek, B., Saracho, O. N. & Davis, M. D.(1987), Founda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 미소장 |
40 | Ritzer, G.(1977). Working: Conflict and Change(1st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