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competition state anxiety, imagery types and psychological skills of middle and high school shooting athletes applied to the psychological training program for twelve weeks. This study has been applied to total 180 middle and high school shooting athletes of 90 men and 90 women who represent Seoul, Incheon and Chungcheongnam-do province with ultimate total of 177 athletes consisting of 89 men and 88 women. The used statistical methods for the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eight estimation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16.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competition state anxie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agery types. Second, competition state anxie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skills. Third, imagery typ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skills.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계수(2004). (AMOS)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데이터솔루션. | 미소장 |
2 | 김동희(2003). 여자역도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체육과학 연구원 1급 경기 지도자 연수원. | 미소장 |
3 | Effects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on the Athletic Ability of Golf Players ![]() |
미소장 |
4 | 김정수(1997). 탁구선수를 위한 정신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5 | 김종구(1999). 수영선수의 정신훈련 Program 개발 및 효율성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6 | 박성진(2007). 국가대표 사격선수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7 | 서연희(2009). 국가대표 체조선수들의 심리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통한 정신력 변화 및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전주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8 | Verifying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rogram to National Woman Gymnasts | 소장 |
9 | 설정덕(2000). 심리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엘리트 골프선수들의 운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0 | 신동성(1993). 경기종목과 기능 수준에 따른 운동 선수의 심리적 특성.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1 | 신정택, 최진철, 권승민(2009). 베이징올림픽 대비 국가대표 펜싱선수를 위한 심리기술훈련 적용 연구. 체육과학연구, 제20권 제2호, 360-371. | 미소장 |
12 | Qualitive Researches in Sport Psychology ![]() |
미소장 |
13 | 이강헌, 신동성, 한명우, 이에리사(1993). 탁구선수들의 정신력 집단검사 규준 개발. 체육과학연구과제 종합보고서Ⅰ. 서울 : 한국체육과학연구원. | 미소장 |
14 | 장덕선(1995). 우수선수 최고 수행의 심리적 경험.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5 | 전주현(2011). 엘리트 기계체조 선수들의 경쟁상태불안심리가 심리적 기술요인과 정신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6 | 정재은(2006). 국가대표 피겨 스케이팅 선수들의 심리기술훈련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7 | 정청희, 김동진, 김종택(1987). 우수 선수를 위한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체육과학 연구원. | 미소장 |
18 | 정청희(1998). 스포츠심리학; 심리기술 훈련. 한국스포츠심리학회편, 279-319. | 미소장 |
19 | 주동엽(2000). 심리기술 훈련 방식이 경쟁 불안 및 생리적요인과 골프 퍼팅수행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0 | 주진만(2003). 심리기술훈련이 태권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1 | 한명우(2004). 심리기술훈련이 리듬체조선수에게 미치는 효과. 체육과학연구, 제15권 제4호, 99-114. | 미소장 |
22 | 홍길동(2005). 양궁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현장 적용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3 | Foster, J., & Porter, K.(1986). The Mental Athlete. Inner training peak performance. Janeart, Ltd. | 미소장 |
24 | Gould, D.(1993). Goal setting for peak performance. In J. Williams(Ed). Applied sport psychology; Personal growth to peak performance(2nd ed., 158-169). Palo Alto, CA: Mayfield. | 미소장 |
25 | An Examination of U.S. Olympic Sport Psychology Consultants and the Services They Provide ![]() |
미소장 |
26 | Psychological skills for enhancing performance: arousal regulation strategies. ![]() |
미소장 |
27 | Enhancing Coaching Effectiveness in Figure Skating through a Mental Skills Training Program ![]() |
미소장 |
28 | Jacobson, E.(1988). Progressive relaxa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미소장 |
29 | Lane, J. F.(1980). Improving athletic performance through visuo-motor behavior rehearsal. in R.M. Suinn(Ed), Psychology in sports: Methods and applications, 316-320. Minneapolis: Burgess. | 미소장 |
30 | Loehr, J. E.(1982). Athletic excellence : Mental toughness training for sports. Colorado: Forum publishing 79-84. | 미소장 |
31 | Psychological Skills and Exceptional Athletic Performance ![]() |
미소장 |
32 | Martens, R.(1982). Imagery in sport. Paper presented at the Medical and Scientific Aspects of Elitism in Sport Conference, Brisbane, Australia. | 미소장 |
33 | Murphy, S., Jowdy, D., & Durtschi, S.(1990). Imagery perspective survey. Unpublished manuscript, U. S. Olympic Training Center, Colorado Springs. | 미소장 |
34 | Nunnally, J.(1978). Psychometric methods(3rd ed.). NY: McGraw-Hill. | 미소장 |
35 | Orick, T.(1990). In pursuit of peak performance. Champaign, IL: Human Kinetics. | 미소장 |
36 | Mental Links to Excellence ![]() |
미소장 |
37 | Mental practice: a review and discussion. II. ![]() |
미소장 |
38 | Conditions That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Sport Imagery Training ![]() |
미소장 |
39 | Spielberger, C. D.(1972). Anxiety as an emotional state. In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Ed., C. D. Spielberger. New York: Academic Press. | 미소장 |
40 | Suinn, R. M.(1989). Seven steps to peak performance. Toronto, Ont: Luber. | 미소장 |
41 |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Preparation Strategies and Motor Performance: A Review and Critique ![]() |
미소장 |
42 | Weinberg, R. S., & Could, D.(1995). Foundations of sports and exercise psychology. Korean edition copyright; Kum Kwang Publishing co.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