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re-conceptualizing the concept of education through exploring the concept of genuine art education.
I suggested concepts of education seen by art education. They are followed. First, chaos should be considered as the text of education, because the world and life are unstable and unpredictable and the chaos has implication for education. Second, I emphasized the need of visual thinking, because image is fast, and easy, and the capacity of dealing with image is needed in the future and for creative thinking. Third, the mode of right hemisphere should be allowed in educational situation, because the mode is suited to the future occupation, gives us alternative approach, is related to our happiness, is connected with the creativity and is benefit to human kind. Fourth, directed experience through body should be adopted for education, because real and live experience is the path of education. Fifth, I insisted the importance of emotion and feeling, because emotion and feeling guide us from chaos and uncertainty. Sixth, education should be self-education, because we can approach to the essence of learning only through self-education. Last, neoteny should be sustained as long as possible, because new view and flexible mind came from the characteristics of child.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아동의 미술 정의에 내재된 담론분석 : 미술교육 방향의 재고 | 김미남 | pp.29-49 |
|
|
감정표현을 위한 미술활동중심 정서교육 프로그램 연구 : 대안고등학교 남학생을 중심으로 | 김지현, 이경원 | pp.51-77 |
|
|
교육의 재개념화 : 미술교육적 관점으로 | 김황기 | pp.79-97 |
|
|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기관 평가 준거 개발 | 박소연, 임채홍, 박상현, 이주연, 김서용, 홍성만 | pp.99-120 |
|
|
미술 교과서 정책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 인식 | 박소영 | pp.121-143 |
|
|
시각예술영역에서 재능의 의미 탐색 : 예술적 재능에 대한 교육계와 예술계의 인식 | 백경미 | pp.145-164 |
|
|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에서 미적경험이 주는 교육적 효과 분석을 위한 루브릭 개발 | 설연경, 강인애 | pp.165-197 |
|
|
예비교사의 '미술 멘토링'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멘토의 인식을 중심으로 | 안혜리, 정윤희 | pp.199-226 |
|
|
인지발달과 자아 방어기제의 평가도구로서 리빅 정서인지 미술치료 평가도구(LECATA) 사례연구 | 이경원 | pp.227-254 |
|
|
야요이 쿠사마(Yayoi Kusama)의 강박신경증적 예술에 나타난 자기 치유 | 이문정 | pp.255-282 |
|
|
본질적 마음을 위한 미술 교육 | 이화식 | pp.283-304 |
|
|
문화기술지연구, 실행연구와 사례연구의 비교분석 | 최기호 | pp.305-331 |
|
|
Art Museum for Life : the Role of the Norton Museum of Art for Seniors | 이정원 | pp.333-359 |
|
|
Conceptualizing the Creative Process of Narrative Video Making : A Cross-Case Discussion of Three Learners' Process | 이지연 | pp.361-385 |
|
|
중학교 미술과와 수학과의 융합인재교육(STEAM) 교수·학습방법 개발 및 적용 연구 | 고황경, 김재원 | pp.1-27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정혜진(2007). 호모크레아토: 예술가의 조건. 서울: 미진사. | 미소장 |
2 | 茂木健一郞(2007). 창조성의 비밀 (이경적 역). 서울: 브레인월드. (원저 2005 출판) | 미소장 |
3 | Csikszentmihalyi, M.(2003). 몰입의 기술 (이삼출 역). 서울: 더불어 책. (원저 1975 출판) | 미소장 |
4 | Damasio, A.(1999). 데카르트의 오류 (김린 역). 서울: 중앙문화사. (원저 1994 출판) | 미소장 |
5 | Dewey, J.(1916). Democracy and education.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 미소장 |
6 | Dewey, J.(2003). 경험으로서의 예술 (이재언 해제). 서울: 책세상. (원저 1934 출판) | 미소장 |
7 | Edwards, D.(1980). How to be more creative. CA: Occasional Productions. | 미소장 |
8 | Elkins, J.(2006). 학교 안의 미술 학교 밖의 미술 (장호연 역). 서울: 책세상. (원저 2001출판) | 미소장 |
9 | Gadamer, H. G.(2000). 진리와 방법 (이길우․이선관․임호일․한동원 역). 서울: 문학동네. (원저 1990 출판) | 미소장 |
10 | Gardner, H.(2008). 미래마인드: 미래를 성공으로 이끌 다섯 가지 마음 능력 (김한영역). 서울: 재인. (원저 2006 출판) | 미소장 |
11 | May, R. (1999). 창조와 용기 (안병무 역). 범우사. (원저 1975 출판) | 미소장 |
12 | Merleau-Ponty, M.(2002). 지각의 현상학, (류의근 역). 서울: 문학과 지성사. (원저 1945출판) | 미소장 |
13 | Meyers, H., & Gerstman, R.(2008). 크리에이티브 마인드 (강수정 역). 서울: 에코리브르. (원저 2007 출판) | 미소장 |
14 | Montagu, A.(1983). Growing young. New York: McGraw-Hill. | 미소장 |
15 | Pink, D. A.(2011). 새로운 미래가 온다 (김명철 역).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원저 2011출판) | 미소장 |
16 | Root-Bernstein, R., & Root-Bernstein, M.(2007). 생각의 기원 (박종성 역). 서울: 에코의 서재. (원저 1990 출판) | 미소장 |
17 | West, T.(2011). 글자로만 생각하는 사람 이미지로 창조하는 사람 (김성훈 역). 서울:지식갤러리. (원저 2009 출판) | 미소장 |
18 | Csikszentmihalyi, M., & Robinson, R. E.(1990). The art of seeing: An inter -pretationof an aesthetic encounter. California: A joint publication of the Paul GettyMuseum and the Getty Education Institute for Art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