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BHP는 대표적인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 모델이며, 본 연구자는 랫드에 기능성이 강화된 기능성 들깻잎추출물(P. frutescens leaf extract, PLE)을 250, 500 또는1000 mg/kg body weight (b.w.)으로 6일간 경구 투여하고t-BHP의 복강 주사로 간 손상을 일으킨 후 기능성 들깻잎추출물이 간에서 산화스트레스를 얼마나 억제하여 주는지를 혈액의 간 손상 지표인 lactate dehydrogenase (LDH),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그리고 alanine aminotransferase(ALT)를 측정하였으며, 간 조직에서 항산화 바이오 마커인 reduced glutathione (GSH), 지질과산화물의척도인 malondialdehyde (MDA)를 통해서 측정하였다.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시 GSH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정상 대조군(146.0 ± 5.4 mM GSH/g protein)에비해 t-BHP로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한 그룹에서 128.6 ± 6.8mM GSH/g protein로 감소하였다. 반면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을 250, 500 그리고 1000 mg/kg b.w. 을 투여한 그룹에서는 129.3 ± 2.6 mM GSH/g protein, 151.9 ± 6.8 mM GSH/g protein, 171.9 ± 5.2 mM GSH/g protein로 농도 의존적으로 GSH 함량이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며, 500 mg/kg b.w. 투여군부터 정상 대조군의 GSH 함량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또한, 간 조직에서 산화스트레스에 의하여 발생된 지질과산화물을 측정하였을 때 t-BHP에 의하여 산화스트레스만 유발한 그룹은 834.0 ± 154.7 μM/g protein 로 정상 대조군의 385.6 ± 39.7 μM/g protein 보다 2.17배 높은 MDA를 생성한 것으로 지질과산화가 많이 일어난 것을 확인하였으나,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을 투여한 그룹의 MDA의생성량은 669.2 ± 145.0, 595.1 ± 142.6, 415.9 ± 133.8 μM/gprotein 로 농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랫드의 간 조직에서, 독성을 유발하는 t-BHP를 복강 투여 후기능성 들깻잎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였을 때 지질과산화의지표인 MDA의 감소와 항산화의 지표인 GSH 함량이 증가하였다. 조직병리학적 확인을 위하여 간 조직을 H&E 염색 후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 t-BHP만 처리한 음성 대조군의 경우 간 세포의 괴사와 조직의 변형을 확인할 수있었지만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모두정상 상태의 조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였을 때, t-BHP가 간에서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하여 간 손상을 야기시키고, 간 조직의 인지질 막 손상을 줄 수 있으며, 기능성 들깻잎 추출물은 간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Perilla frutescens usually dieted in East Asian country such as Korea and Japan.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perilla leaves have been founded. In previous study, we confirmed that caffeic acid, major compound of perilla, was accumulation by sucrose aqueous solution and thus antioxidant effect of perilla was enhanc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 of functional perilla leaves extract (PLE)against tert-butyl hydroperoxide(t-BHP) induced-oxidative hepatotoxicity. The pretreatment with PLE (250, 500 and 1000 mg/kg b.w.) for 5 days before a single dose of t-BHP (i.p.; 0.5 mmol/kg) significantly lowered the serum levels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lactate dehydrogenase dose-dependently. And we confirmed that the indicators of oxidative stress were remarkably reduced in the liver, such as the glutathione contents and malondialdehyde, marker of lipid peroxidation. Pathological histology of the rat livers tissues showed that PLE reduced the hepatocyte degeneration and neutrophilic infiltration of liver induced by t-BHP. These results suggest that functional perilla frutescens has the protective effect of liver against t-BHP-induced oxidative hepatic stress in rats.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Inhibitory Effects of S-Allylmercaptocysteine Derived from Aged Garlic on Cholesterol Biosynthesis in Hepatocytes | Seung Taek Yang | pp.89-94 |
|
|
식품오염물질 미래 연구방향 예측 | 오상석, 성동은, 박성국, 김미혜 | pp.99-107 |
|
|
Antibacterial Effects of Galla Rhois Extract against Streptococcus suis Infection in Mice | Hu Jang Lee, Chun-Nam Cha, Eun-Ah Yu, Eun-Kee Park, Hyun-Ju Choi, Suk Kim | pp.95-98 |
|
|
식품안전사건 발생 시 미디어와 산업의 인식도 조사 | 하상도, 신원정, 이유시, 오세라, 박태균, 김보영, 김호식, 이정호, 이승용 | pp.108-114 |
|
|
최근 3년(2008-2010)간 식품안전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운영 현황 분석 | 곽노성, 정지원, 이종경 | pp.115-123 |
|
|
PSL, TL, ESR 및 GC/MS 분석을 통한 감마선 조사된 유지종실류의 검지 특성 연구 | 김규헌, 손진혁, 강윤정, 박혜영, 곽지영, 이재황, 박용춘, 조태용, 김재이, 이화정, 이상재, 한상배 | pp.130-137 |
|
|
보육시설 유아 사용 수건의 미생물 분포 및 독소 특성 | 김중범, 김난영, 강석호, 도영숙, 엄미나, 윤미혜, 이정복 | pp.138-145 |
|
|
랫드에서의 t-BHP 유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기능성 들깻잎 열수 추출물의 간 보호 효과 | 이광원, 양성용, 강정한 | pp.146-151 |
|
|
제 2형 당뇨모델 OLETF 랫드에서 동충하초의 항당뇨 효과 | 박철범, 서동석, 강종구, 정미혜, 권민 | pp.152-157 |
|
|
곡류 및 그 가공품 중 아플라톡신과 데옥시니발레놀의 안전성 평가 | 김영수, 김영숙, 김명길, 이성봉, 이주예, 오상헌, 정유정, 서미영, 성진희, 이완, 이정복, 윤미혜 | pp.158-167 |
|
|
PCR을 이용한 식품 중 알레르기 유발물질 검출법 개발 | 박용춘, 김미라, 신준호, 김규헌, 이재황, 조태용, 이화정, 이상재, 한상배 | pp.124-129 |
|
|
파프리카에서 병원성 대장균의 성장예측 모델 개발 및 검증 | 윤혜정, 김주희, 박경훈, 류경열, 김병석 | pp.168-173 |
|
|
토마토의 생산·유통단계에서 유해미생물 오염 및 추출물에서 미생물 증식 | 윤혜정, 박경훈, 류경열, 김병석 | pp.174-180 |
|
|
전분의 주원료 판별을 위한 유전자 분석법 개발 및 적용 | 박용춘, 김미라, 김용상, 이호연, 김규헌, 이재황, 김재이, 이상재, 이화정 | pp.181-187 |
|
|
식품 중 사용금지 원료인 Aphanizomenon flos-aquae 검출법 개발 및 응용 | 박용춘, 신승정, 이호연, 김용상, 김미라, 이상재, 이화정 | pp.188-193 |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