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메모리 기반 협력필터링을 위한 평가 등급 범위를 이용한 유사도 척도 | 이수정 | pp.375-382 |
|
|
Gregorc 학습 스타일을 적용한 적응형 교수 시스템 개발 | 이재무 | pp.383-391 |
|
|
대학 컴퓨터·정보화 특기자 특별전형의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 이호섭 | pp.393-407 |
|
|
로봇과 증강현실 기반의 유아 극놀이 콘텐츠 및 교수·학습 모형 개발 | 조미헌, 한정혜, 현은자 | pp.421-432 |
|
|
워터폴 모델을 적용한 앱 인벤터 프로그래밍 교재개발 연구 | 설문규, 손창익 | pp.409-419 |
|
|
대학 컴퓨터 실습 교양과목에서의 학업성취 요인에 대한 연구 | 김완섭 | pp.433-447 |
|
|
SNS를 이용한 학교현장 제작 UCC의 교육적 활용 사례 연구 | 배지환, 김현배 | pp.449-456 |
|
|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초등학교 STEAM학습모형 | 문외식 | pp.457-466 |
|
|
초등학교 3-4학년을 위한 사이버 네트워크 주제의 STEAM기반 진로교육프로그램 개발 | 고영해, 박남제 | pp.467-474 |
|
|
Study on Clinical Patient-oriented Education System for Medical Organizations | 박화규 | pp.475-486 |
|
|
스토리라인을 활용한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 및 과학태도에 미치는 효과 | 박선주 | pp.487-496 | ||
스마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팀 기반 학습 모형 설계 연구 = Designing an Instructional Model for Smart Technology-Enhanced Team-Based Learning | Soo-Young Lee | pp.497-506 |
|
|
사이버학습과 인쇄 매체 학습의 자율적 학습 효과성 비교 | 한정윤, 김현배 | pp.507-513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교육인적자원부(2005), 초.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 개정안 및 해설서. | 미소장 |
2 | 김자영(2008), 컴퓨터기반 평가를 활용한 초등학교 프로그래밍 학습시스템 개발, 석사학위논문,서울교육대학교. | 미소장 |
3 | 노상우외 1(2012), 초등학교 융합인재교육(STEAM)의발전 방향 모색, 교육종합연구논문지 10-3, 77-78. | 미소장 |
4 | [류충규(2012), Scratch가 초등 영재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경인교육대학교. | 미소장 |
5 | 문외식(2012), SCRATCH Programming. 서울: 정익사. | 미소장 |
6 | 문외식외 2(2012), 창의.인성교육 신장을 위한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진주교육대학교초등교육연구원 자료집, 302-339. | 미소장 |
7 | Rubrics for Assessi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ility to Use ICT | 소장 |
8 | 박용철(2010),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의 교육적 활용이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에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 미소장 |
9 | 신갑천(2010), 스크래치를 활용한 로봇프로그래밍학습이 논리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 미소장 |
10 | 신승기(2012), 스크래치를 활용한 초등학교의창의적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석사학위논문, 대구교육대학교. | 미소장 |
11 | 안경미(2010),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육이 초등학생의 학습몰입과 프로그래밍 능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 미소장 |
12 | 이미숙(2005), 컴퓨터 기능교육에서 초인지를이용한 협력적 성찰수업 모형의 개발 및 적용,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9-4, 32-33. | 미소장 |
13 | 이민희(2009), 두리틀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수업이 창의성, 문제해결력, 프로그래밍 흥미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주교육대학교. | 미소장 |
14 | 한·일·인도 컴퓨터 교육과정의 비교 및 문제점 제시를 통한 우리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 | 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