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문제은행 기반 한국어 숙달도 평가를 위한 메타데이터 선정 연구 | 김정숙, 이준호 | pp.25-53 |
|
|
다문화가정 아동을 한 학습 도구로서의 쓰기 과제 연구 | 강현주 | pp.1-24 |
|
|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 개발의 성과 및 과제 | 김중섭 | pp.55-74 |
|
|
한국어 교육용 시사 한자에 관한 기초 연구 | 송금숙 | pp.217-238 |
|
|
이창래의 ‘네이티브 스피커’ 분석에 나타난 언어와 정체성의 결속성 연구 : 후기구조주의 관점에서 | 박성원, 신동일 | pp.123-156 |
|
|
K-pop 노랫말 코드전환의 기저언어 설정 | 박준언 | pp.157-184 |
|
|
상호적 내러티브 구성에서 드러나는 결혼이주여성의 서사적 정체성 연구 : 베트남어 모어 화자인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인터뷰 사례를 중심으로 | 손희연 | pp.185-215 |
|
|
한국어 숙달도 평가의 문제은행 도입을 위한 문항 일반 정보 구축 방안 연구 | 김지영, 김정숙, 이정희, 정명숙 | pp.75-98 |
|
|
재미동포 한국어 학습자 정체성 구성 요인과 계승어 교육 | 김태진 | pp.99-122 |
|
|
‘선행 연구 기술’의 주요 기능에 대한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지도를 목적으로 | 이윤진 | pp.239-272 |
|
|
개인차, 피드백 유형 및 규칙 복잡성 간의 상호작용이 한국어 학습자의 제2언어습득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이은하, 안지은, 김영규 | pp.273-314 |
|
|
중국인 KFL 학습자의 파열음 발음 연구 | 주림결, 김영주 | pp.315-341 |
|
|
미주 지역 재외동포 청소년들의 한국어 억양 연구 : 강세구 첫 음절의 높낮이를 중심으로 | 탁은선, 이선우 | pp.343-370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현화(2001). 한국어교육용 기초 한자어에 대한 기초 연구: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어휘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육> 12-2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53쪽~70쪽. | 미소장 |
2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연구 | 소장 |
3 | 김광해(1993). 국어 어휘론 개설 . 집문당. | 미소장 |
4 | A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on Sino-Korean Vocabulary Learn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소장 |
5 | 김유정(2013). 한자음 교수를 통한 한자어 교육 연구: 일본인과 중국인 한국어학습자를 대상으로, <인문연구> 67호,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73쪽~406쪽. | 미소장 |
6 | On the Status and Direction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 for Foreign Korean Learners | 소장 |
7 | 김정숙(1992). 한국어 교육과정과 교과서 연구 .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8 | 外國人을 위한 韓國語 漢字敎育 硏究 | 소장 |
9 | 김지영(2004). 한국어 어휘 교육 항목 선정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어교육>15-2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93쪽~114쪽. | 미소장 |
10 | 김지형(2003a).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용 기초한자의 선정: 초‧중급 한자를중심으로, <어문연구> 31-2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77쪽~402쪽. | 미소장 |
11 | Study on Teach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 | 소장 |
12 | 마키노 미키(2012). 일본인을 위한 효과적인 한자 어휘 교육 연구: 한일 한자어음성대응관계를 중심으로 .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3 |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한자어 학습 방안 | 소장 |
14 | 영어권 학습자들의 한자 학습에 대한 요구와 전략 분석 연구 | 소장 |
15 | 손연자(1984). 비한문 문화권의 외국인에 대한 한자 교육 방법론 소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9-1호,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81쪽~101쪽. | 미소장 |
16 | 심재기 외(2011). 국어 어휘론 개설 . 서울: 도서출판 지식과 교양. | 미소장 |
17 | Suggestions to Improve Foreign Students` Understanding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 소장 |
18 | 이영희(2007a).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한자 교육의 현황과 방향, <새국어교육>76호, 한국국어교육학회. 269쪽~293쪽. | 미소장 |
19 | 이영희(2008). 외국인을 위한 한자어 교육 연구 .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 | 이충우(2006). 좋은 국어 어휘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 서울: (주)교학사. | 미소장 |
21 | 장석진(197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교과편찬에 대한 기초 연구, <언어교육> 6-2호, 서울대 어학연구소. 69쪽~107쪽. | 미소장 |
22 | 장일결(2013). 비한자권 학습자를 위한 기초 한자의 선정 연구 .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 | 정승혜(1998). 외국인을 위한 국어 한자 교육 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4 | 조남호 외(2002).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을 위한기초 조사 . 국립국어원. | 미소장 |
25 | 조현용(2000). 한국어 어휘교육 연구 . 서울:박이정. | 미소장 |
26 | 신문의 기사와 한자(漢字) 문제 | 소장 |
27 | 최주열(1994). 한자 교육 방법에 대한 고찰: 외국인에 대한 한자교육을 중심으로, <한국말 교육> 5.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5쪽~174쪽. | 미소장 |
28 | 한재영(2003b).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한자 교육을 위한 기초적 연구: 비한자문화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어문연구> 31-4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557쪽~586쪽. | 미소장 |
29 | Examination how many using compound of chinese character words and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use by using analysis of Modern Korean words 1, 2 | 소장 |
30 | Nation, I.S,P.(2011). Learning Vocabulary in Another Language. 김창구 역(2012). I.S.P Nation의 외국어 어휘의 교수와 학습 . 서울: 소통.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