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시대별 메이크업 특징과 미스코리아 메이크업 특징의 관계분석에 관한 연구 : 1970년대부터 2000년대를 중심으로 이복희 pp.1-9

헤어미용인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대한 임파워먼트의 효과에 관한 연구 이란희, 송연숙 pp.19-29

블랙베리(Rubus fruticosus)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의 염색특성 신화남, 박철호 pp.30-35

골기테라피(Gol-ki Therapy)가 얼굴 비대칭 개선에 미치는 영향 이병철, 김현숙, 김봉인 pp.10-18

해당화 에탄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유혜수, 문연자, 우원홍, 송제호 pp.36-41

퍼머넌트 웨이브 시 방치시간에 따른 흑갈색과 금색 모발의 물리·화학적 변화 최은정, 강상모 pp.42-50

피부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김주연 pp.51-61

미용실의 서비스품질, 서비스가치, 고객만족 및 재이용의도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 중국 상해의 한국 미용실을 중심으로 윤성환 pp.62-72

치자의 염색 지속력과 모발 손상 보호 효과 문재원, 이복자 pp.73-82

아르누보 양식을 중심으로 한 메이크업디자인의 현대적 고찰 : 2013년 메이크업 트렌드를 중심으로 안진정 pp.83-90

5요인 성격특성이 미용전공 여대생의 스트레스 정도와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김윤정 pp.91-100

미용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방효진, 박정신 pp.101-109

Lac 색소를 이용한 모발의 염색성 연구 김은하, 송연숙, 이근광 pp.110-118

팀 버튼(Tim Burton) 감독 영화 속 캐릭터 메이크업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지영, 한명숙 pp.119-126

미용서비스 개념 체계와 미용서비스 만족에 관한 기존 연구 분석 이혜원, 김미영 pp.127-137

포도씨 추출물(Grape Seed Extract)을 이용한 DIY 천연 화장품이 피부개선에 미치는 영향 김영희, 전연숙, 이시경 pp.138-143

한국미용학회지 수록 논문의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 서지학적 분석 김진숙, 윤천성 pp.144-154

여성의 메이크업 수준과 안경착용 및 안경형태, 지각자 특성이 인상형성과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류지원 pp.155-166

의사결정성향이 미용제품 광고수용태도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여이주, 김설옥, 박은준 pp.167-174

에니어그램 특성에 따른 미용종사자의 스트레스 수준과 대처방식의 차이 권은실, 박재홍, 김동표, 박은준 pp.175-183

참고문헌 (3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선영, 고광오, 이영상, 김희선, 김용호. (2008). 검정콩 안토시아닌추출효율 및 안정성. 한국작물학회지, 14, 84-88. 미소장
2 농림수산식품부 과학기술정책과. (2011). 가시없는 나무딸기 블랙베리신품종 ‘메이플’ 개발(보도자료; 2011년 8월 16일) 미소장
3 The Dyeing Quality for Hair by Use of the Outer Coats of Onions 소장
4 Study on protection of hair damage and UVC stability by acid and alkali condition coloring of caesalpinia sappan 네이버 미소장
5 The Change of Anthocyanin and Spreadmeter Value of Strawberry Jam by Heating and Preservation 소장
6 Henna (Lawsonia intermis) 염색이 모발의 색도변화와 큐티클 형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 소장
7 박윤점, 김현주, 허북구. (2006). 꽃베고니아 ‘Red’에서 에탄올로추출한 안토시아닌 색소의 안전성. Flower Res. J. 14(3), 203-210. 미소장
8 Hair Coloring That Use Impatiens Balsamina 소장
9 신정순, 이종천, 심옥경, 윤태영, 조한직, 김이엽. (2008). 교잡종 블랙베리의 근맹아 절편체로부터 다경유도를 통한 식물체 재분화. Korean J. Plant Res. 21(2), 111-116. 미소장
10 송희라. (2005). 헤나를 이용한 모발염색. 대원과학대학논문집, 10, 221-236. 미소장
11 Analysis of Human Hair Dyeing and Colorfastness of Hot Water Extract from Cherry 소장
12 천연염료 밤 외피의 처리조건에 따른 모발의 색상변화 네이버 미소장
13 The Natural Hair Dyeing using Extracts of the Pueraria thunbergiana Root 소장
14 Natural Hair Dyeing Using a Black Soybean Seed Coat 소장
15 A Study on the Hair Dyeing Properties by Using Extracts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소장
16 Comparison of deying and protection effect on gray hair by treatment with natural henna and oxidizing hairdye 네이버 미소장
17 Physicochemical Stability of Anthocyanins from a Korean Pigmented Rice Variety as Natural Food Colorants 소장
18 장규섭. (2011). 냉동 및 냉동건조 라즈베리의 안토시아닌 안정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분석자료). 미소장
19 장애선. (2013). 오디를 이용한 모발의 천연염색에 관한 연구, 남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0 Research Papers : A Study on the Color Resolution of Hair by Using the Extract of Hanryencho 네이버 미소장
21 오배자(Gallnut) 열수 추출물의 모발염색 및 염색견뢰도 소장
22 정명근, 황영선, 이현진, 최수산나, 임정대, 강성택, 한원영, 백인열, 김현경. (2008). 검종콩 종피 함유 안토시아닌이 최적 추출조건. 한국작물학회지, 53(1), 110-117. 미소장
23 최인려, 김연주. (2004). 천연염료를 이용한 견섬유의 염색성 및 중량효과 연구. 성신여대 생활문화연구소 생활문화연구, 18(4), 34-39. 미소장
24 Research Papers : A Study on the Hair Dyeing Using Green-Tea Extract and Silver Nitrate 네이버 미소장
25 Research Paper : A Study on the Hair Dyeing Properties of Caesalpinia sappan Heartwood Extracts 소장
26 Hair Dyeing Properties by Using Extracts of Prunus pauciflorat 소장
27 Ali S, Hussain T and Nawaz R. (2009). Optimization of alkaline extraction of natural dye from Henna leaves and its dyeing on cotton by exhaust method. J. Cleaner Production, 17, 61-66. 미소장
28 Chemoprevention of Oral Cancer by Black Raspberries 네이버 미소장
29 Cho MJ, LR Howard, RL Prior and JR Clark. (2004). Flavonoid glycoside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various blackberry, blueberry and red grape genotypes determin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84(13), 1771-1782. 미소장
30 Francis EJ. (1992). A new group of food colorants. Trends in food Sci. Tech., 3, 27. 미소장
31 Antioxidarive Activity of Tannins from Rubus coreanum 소장
32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Rubus Coreanum 소장
33 Tannins from the Leaves of Rubus Coreanum 소장
34 Inhibitory Effects of Terminalia chebula, Sanguisorba officinalis, Rubus coreanus and Rheum palmatum on Hepatitis B Virus Replication in HepG2 2.2.15 Cells 소장
35 Transitioning From Preclinical to Clinical Chemopreventive Assessments of Lyophilized Black Raspberries: Interim Results Show Berries Modulate Markers of Oxidative Stress in Barrett's Esophagus Patients 네이버 미소장
36 Markakis P. (1974). Anthocyanins and their stability in foods. Crit. Rev. Food Technol., 4, 437. 미소장
37 Park SW, Jung YS, Ko KC. (1997). Quantitative Analysis of Anthocyanins among Mulberry Cultivars and Their Phamacological Screening. J. Kor. Soc. Hort. Sci. 38(6), 722-724. 미소장
38 Rauscher GH, Shore D and Sandler DP. (2004). Hair dye use and risk of adult acute leukemia. Amer. J. Epidermiol., 60, 19-25. 미소장
39 Antioxidant activity in fruits and leaves of blackberry, raspberry, and strawberry varies with cultivar and developmental stage.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