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韓ㆍ中 漢字 共用 方案의 新모색 : 한국 한자어 활용을 중심으로 | 박석홍 | pp.3-31 |
|
|
表示“撇取”义词汇的历史演变 : 以 『齐民要术』中表“撇取”义的词汇为线索 | 유결 | pp.33-54 |
|
|
현대중국어'V+个+A'의 구문의미 연구 | 박재승, 이나현 | pp.55-75 |
|
|
한-중 직유 번역과 번역전략 연구 | 송현선 | pp.77-90 |
|
|
本科生韩中口译课教学法探析 | 이려추 | pp.91-108 |
|
|
후진타오(胡錦濤) 연설텍스트의 수사학적 분석 : ‘중국 세계무역기구(WTO)가입 10주년 고위층 포럼’ 연설문을 중심으로 | 나민구, 이정인 | pp.109-161 |
|
|
樂府詩 「梅花落」에 관한 小考 | 우재호 | pp.165-186 |
|
|
王安石의 「明妃曲」과 歐陽脩의 和答詩 考察 | 유태규 | pp.187-209 |
|
|
韓國漢詩에서의 「歸去來兮辭」의 형식적 변용 : 「歸去來兮辭」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들 | 노우정 | pp.211-243 |
|
|
从天象到神话、传说、民间故事与童话 : 牛郎织女的历时性转化 | 엽서련 | pp.245-272 |
|
|
<紅樓夢>의 혼종성 연구 : 滿漢文化 교섭의 시각으로 홍루몽 읽기 | 조미원 | pp.273-293 |
|
|
金泽荣的烈女传及其女性意识研究 | 문려화 | pp.295-312 |
|
|
包天笑的“辛亥革命” : 以≪留芳记≫ 为中心 | 王晶晶 | pp.313-325 |
|
|
옌거링(嚴歌苓) 소설 <진링의 13소녀(金陵十三釵)> 속에 나타난 역사의 기억과 하위주체 연구 | 박남용, 이천주 | pp.327-353 |
|
|
딩시린의 희곡 「말벌」에 나타난 자유연애 | 황선미 | pp.355-376 |
|
|
邁向 「個體化」──初論羅智成≪透明鳥≫ | 鄭振偉 | pp.377-402 |
|
|
<서유기(西遊記)>의 한국 문화콘텐츠적 확장과 변용양상 연구 | 문대일 | pp.405-424 |
|
|
현대화 과정에서 나타난 저층담론과 지식생산 : 다큐멘터리 「鐵西區」를 중심으로 | 박영순 | pp.425-458 |
|
|
중국문화교육을 위한 자원 취득, 스마트 eBook 콘텐츠 제작과 서비스 전략 연구 | 박정원 | pp.459-487 |
|
|
韩中人文交流的历史与课题 | 류동춘 | pp.489-507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嚴歌苓, 『金陵十三釵』,陝西師範大學出版總社有限公司, 2011. | 미소장 |
2 | 옌거링 저, 김이경 옮김, 『진링의 13소녀』, 문학에디션 뿔, 2012. | 미소장 |
3 | 박종성, 『탈식민주의에 대한 성찰』, 살림출판사, 2013. | 미소장 |
4 | 서경식 지음, 김혜신 옮김, 『디아스포라 기행』, 돌베개, 2006. | 미소장 |
5 | 서경식 지음, 한승동 옮김, 『디아스포라의 눈』, 한겨레출판(주), 2012. | 미소장 |
6 | 쑨꺼 지음, 류준필 외 옮김, 『아시아라는 사유공간』, 창비, 2003. | 미소장 |
7 | 스티븐 모튼 지음, 이운경 옮김(2005), 『스피박 넘기』, 도서출판 앨피, 2005. | 미소장 |
8 | 슬라보예 지젝 지음, 이현우ㆍ김희진ㆍ정일권 옮김, 『폭력이란 무엇인가』, 난장이, 2011. | 미소장 |
9 | 아이리스 장 저, 윤지환 옮김, 『역사는 힘있는 자가 쓰는가』, 미다스북스, 2006. | 미소장 |
10 | 알라이다 아스만 지음, 변학수ㆍ백설자ㆍ채연숙 옮김, 『기억의 공간』, 경북대학교 출판부, 2003. | 미소장 |
11 | 임지현ㆍ사카이 나오키 지음, 『오만과 편견』, 휴머니스트, 2003. | 미소장 |
12 | 정은경 지음(2007), 『디아스포라 문학』, 이룸, 2007. | 미소장 |
13 | 프로이트 지음, 임홍빈ㆍ홍혜경 옮김, 『정신분석강의』, 열린책들, 2009. | 미소장 |
14 | 하랄트 바인리히 지음, 백설자 옮김, 『망각의 강 레테-역사와 문학을 통해 본 망각의 문화사』, 문학동네, 2004. | 미소장 |
15 | 官蘊華,「撼動“傳統”的手-論嚴歌苓在《金陵十三釵》中的思想潛流」,『寧波廣播 電視大學學報』第11卷 第1期, 2013.1. | 미소장 |
16 | 劉繼蓮,「嚴歌苓小說《金陵十三釵》中的創傷記憶與創傷“救贖”」,『太原大學學 報』, 2013.3. | 미소장 |
17 | 劉惠麗, 「女性與人性的對話」,『唐都學刊』第24卷 第4期, 2008.9. | 미소장 |
18 | 萬濤ㆍ王勵娟,「嚴歌苓作品的生態女性主義解讀」,『新餘學院學報』, 2011.12 . | 미소장 |
19 | 付立峰,「論嚴歌苓的“母性”敘事」,『華文文學』總第80期, 2007.3. | 미소장 |
20 | 楊曼ㆍ李強,「嚴歌苓小說中的人性書寫」,『北方文學』, 2012.3. | 미소장 |
21 | 嚴歌苓,「悲慘而絢爛的犧牲」,『人民文學』, 2011.4 | 미소장 |
22 | 吳敏,「跨文化書寫:嚴歌苓新移民小說研究」,華中師範大學 碩士學位論文, 2013. | 미소장 |
23 | 吳閩閩,「嚴歌苓:跨文化的審視」,『牡丹江教育學院學報』3期, 2011.3. | 미소장 |
24 | 王衍,「論嚴歌苓小說的女性意識」,南昌大學 碩士學位論文, 2011. | 미소장 |
25 | 王一波,「時間之流中的創傷再現」,『寧夏社會科學』第3期, 2012.3. | 미소장 |
26 | 汪靜,「嚴歌苓小說的女性自我意識解讀」,上海交通大學 碩士學位論文,2010. | 미소장 |
27 | 張娜,「淺析近幾年文學中“嚴歌苓熱”現象的原因」,『安徽文學』,第12期, 2010. | 미소장 |
28 | 張敏,「嚴歌苓筆下的邊緣女性」,遼寧師範大學 碩士學位論文, 2011. | 미소장 |
29 | 張舒, 「論嚴歌苓小說中的女性主義」,『佳木斯大學社會科學學報』第30卷 第1期, 2012.2. | 미소장 |
30 | 莊園 編, 『女作家嚴家苓硏究』, 汕頭大學出版社, 2006. | 미소장 |
31 | 趙景芝,「女性主體的漸次生成—論嚴歌苓本土題材小說中的女性形象」,河南大學 碩士學位論文, 2009. | 미소장 |
32 | 周春宇ㆍ李俠雲, 「回望母國的獨特意蘊」,『寧夏大學學報』, 2011.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