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인류의 역사는 재난의 역사라고 할 만큼이나 전 세계 각국에서는 수많은 재난들을 경험해 왔다. 2010년 1월에 발생한 아이티 대지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첨단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인간이 고대로부터 지속된 각종 자연재난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나기는커녕 과학 그 자체가 새로운 인적 재난의 원인이 되어 인류문명의발전에 위협을 가하고 있다. 최근 재난은 점차 다양화·대형화되고 있으며, 불확실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사회 시스템의 급격한 변화로 위기발생과 파급양태가 더욱 다양화될 것으로예상되고 있어 국가의 위기관리체계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경찰의 치안 서비스는 공공질서를 유지하고 각종 위해와 범죄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며, 국민에게 봉사와 도움을 제공하는공공 서비스이다. 특히 현대 경찰은 단순히 법을 집행하는 데 그치지 않고, 국민의생명과 재산을 적극적으로 보호하는 서비스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즉,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안전한 사회를 구축하는 것이 국가의무라는 점에서경찰의 위기관리 역할과 기능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현재 경찰은 재난관리 인원을보강하고, 전문화 교육을 실시하여 위기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환경사범 등범죄단속을 병행하여 간접적인 재난발생을 예방하고 있다. 또한 경찰특공대, 산악구조대, 적십자사, 119구급대 등 전문요원을 강사진으로 확보하여 2009년 6월 16일부터 8월 29일까지 각 지역특성에 맞게 2주간 전 기방경찰청 272개 재난관리부대를 대상으로 산악, 수상구조 특별교육을 실시하였으며, 같은 기간 중 2-3일간에는외근경찰관 37,788명에 대해서도 경찰서별로 심폐소생술, 인공호흡법, 지혈법 등 응급처치 특별교육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경찰의 위기관리는 형사사법체계상의 소극적 임무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시민의 안전한 생활을 보장하는 책임이 부여된 국가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수행하고 있지 못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경찰의 위기관리 역량 강화방안으로서 경찰조직 역량의 극대화와 인력의 전문성 제고방안, 도보순찰등 사전대비 활동의 강화 및 시민들의 자발적인 위기대응 협조 확보, 민간경비의육성 등의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Beck, Ulrich. (1998), Risk Society: Towards a New Modernity(translated by Mark Ritter), London: Sage Publications. | 미소장 |
2 | Bilek, Arthur J., Lejins, Peter P. Van Meter, Clifford W. (1997), Private Security, Anderson Publishing co. | 미소장 |
3 | Brodeur, Jean-Paul. (1998), Edit., How to Recognize Good Policing : Problems and Issues, NY: SAGE Publications. | 미소장 |
4 | Chang, Suk-Hwa. (2002), “A Study on the Disaster Management Administration - Focused on the Disaster Management and Strategy,” Doctoral Thesis in Public Administration Dept. Dongguk University. | 미소장 |
5 | Cho, Ho-Dae. (2002), “A Study on the police role of disaster management,” Doctoral Thesis in Police Science Dept. Dongguk University. | 미소장 |
6 | Cigler, Beverly A. (1988), Emergency Management and Public Administration, in Michael T. Charles & John Choon K. Kim (ed.), Crisis Management : A Casebook. Springfield, IL: Charles C. Thomas Publisher. 5-19. | 미소장 |
7 | The Evolution and Structure of Natural Hazard Policies ![]() |
미소장 |
8 | Managing the Emergency Response ![]() |
미소장 |
9 | Societal Response to Hazards and Major Hazard Events: Comparing Natural and Technological Hazards ![]() |
미소장 |
10 | Kim, Hyung-Yul. (1987), “A Study on Emergency Management in the Process of Policy Implementation,” Social Science Journal 18: 65-87. | 미소장 |
11 | Lee, Sang-Cheol. (2004), Theory on the Operation of Security Areas, Yongin: Book Publication Center. | 미소장 |
12 | Lim, Jae-Kang. (2003), “Policy Suggestion of Police for social safety - Focused on the Disaster Management,” Korean Association of Governmental Studies, Paper collection from Special Seminar. | 미소장 |
13 | Crime Suppression Effective Research of Police Patrolling Activity | 소장 |
14 | National Police Agency. (2009), White Paper on Police, Seoul: National Police Agency. | 미소장 |
15 | Measures to enhance emergency management capacity of private security industry | 소장 |
16 | Park, Dong-Kyun. (1996), “Study on Emergency Management Administration of Local Governments focused on Seoul city's preemptive measures for human disaster,” Doctoral Thesis in Public Administration Dept. Dongguk University. | 미소장 |
17 | Park, Dong-Kyun. (2004a), “Approaches to develop the System of Security Instructor in Securing the Ability of Emergency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ivate Security 3: 173-192. | 미소장 |
18 |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Establishment of Police Emergency Management System in Korea - with the case of U. S. and Japan | 소장 |
19 | Park, Dong-Kyun. (2007), “The Empirical Study on Local Civil Servants' Consciousness of the Disaster Management and It's Implications,” Korean Security Science Association, Paper collection from 19th Academic Seminar. | 미소장 |
20 | Pickett, John H. & Block, Barbara A. (1991), “Day-to-Day Management,” In Thomas E. Dabek & Gerard J. Hoetmer(eds.), Emergency Management: Principles and Practice for Local Government, Washington, DC: International City Management Association. | 미소장 |
21 | Police Comprehensive Academy. (2004), Practice of Public Safety, Incheon: Police Comprehensive Academy. | 미소장 |
22 |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Emergency Management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