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에 대한 통상적 이미지는 ‘언어학적 전환’의 아이콘이자 분석철학이다. 그러나 그가 추구하는 ‘인식하는 삶’은 삶과 유리된 과학적 언어에 대한 순수한 인식으로 환원되지도 않는다. 왜냐하면 언어는 주요한 ‘삶의 형태’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그의 후기 저작에서 가장 주요한 개념도 ‘삶의 형태’와 ‘언어놀이’이다.
그의 인식하는 삶은 삶의 세계를 조망(Übersicht)하는 것이다. 이런 삶의 세계라는 관점에서 볼 때, 데카르트적이고 칸트적인 의미에서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과학적 영역으로서의 선험적 자아나 의식은 마찬가지로 과학적인 세계 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하이데거적 의미에서) 세계-내-존재하는 다자인(현존재)만이 실존한다.
이러한 그의 철학적 기질 즉 스타일은 언어의 한계에 부딪히며 삶의 세계와 그 뜻이 스스로 드러나는 것과 같은 직접적 단순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선불교적 스타일과 닮은 가족이다. 그는 기존의 철학적 문제들이라는 질병을 제거하고 삶의 변화와 방향전환을 시도한다. 이는 삶을 치유 즉, 구원함을 의미한다. 그가 제거하기를 원한 우리 시대의 철학적 질병들은 학문의 과학주의와 자아의 유아주의와 이 양자를 포괄하는 세계의 본질주의이다. 그의 말은 이런 철학적 우상들을 파괴하는 망치이다. 그의 철학하기는 우리를 문법적 허구라는 망상에 빠뜨리는 언어와 싸우는 것이다.
이처럼 언어의 한계를 명료화함으로써 논리, 자아, 신과 같은 본질주의적 신학과 같은 문법적 환상을 없애고 직접적 단순함의 일별(Einsicht)로 삶의 세계의 전체 연관을 조망하고자 하는 화가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스타일에서 우리는 선사들의 울림을 들을 수 있다.
The image of the philosophy of Wittgenstein is a icon of “linguistic turn” and analytic philosopher. But the “knowing life” that he has sought is reduced to pure knowledge of scientific langage that is separated from life, for langage is a main “form of life”. In fact, in his later writings “forms of life” and “langage game” are the most important concepts.
His knowing life is to have a outlook(Übersicht) of the life-world. From a viewpoint of the life-world, the transcendental ego or consciousness as the objectively and universally scientific domain in the Cartesian and Kantian meaning is not outside the same scientific world. Instead, (in the Heideggerian sense) only the Dasein(Being-there) of Being-in-the-world exist.
His philosophical temperament or style like this has a “family resemblance” to the Zen Buddhist one in his seeking for such a immediate simplicity that he reaching the limits of langage, the life-world and its sense reveal themselves. He eliminates the diseases of the philosophical problems of our times and so tries to change or reorient our life. It means a healing of life or salvation. The philosophical diseases of our times that he wants to get rid of are the scientism of the science, the solipsism of the ego and the essentialism of the world that includes these two. His words is a hammer destroying these philosophical idols. His doing philosophy is to fight the langage that bedevils us by the phantoms of grammatical fictions.
We hear the echo of Zen Buddhist monks in the philosophical style of Wittgenstein, the painter who let the grammatical ghosts like the essentialist theology of logic, ego, and god disappear by clearing the limits of langage and outlooks the whole relationship of the life-world by glimpsing(Einsehen) it immediately and simply.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비트겐슈타인과 치유의 철학 = Wittgenstein and Philosophy of Healing : The Zen Buddhist Style of the Thinking of Wittgenstein : 비트겐슈타인 사유의 선불교적 스타일 | 김성우 | p.3-28 |
|
|
우상이론에서 상식이론으로 = Science of Ageing : from Idol Theories to Common Theories | 최종덕 | p.57-79 |
|
|
기(氣)의 운동으로 살펴보는 마음, 정(情) = Movement of Qi(氣) and Expression of Jeong(情) : 『황제내경』을 중심으로 | 오재근 | p.29-55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질병·건강·치유의 역사와 철학 | 소장 |
2 | 강신익(2007), 몸의 역사 , 살림. | 미소장 |
3 | 비트겐슈타인(2006), 논리철학논고 , 이영철 역, 책세상. | 미소장 |
4 | 비트겐슈타인(2006), 문화와 가치 , 이영철 역, 책세상. | 미소장 |
5 | 비트겐슈타인(2006), 소품집 , 이영철 역, 책세상. | 미소장 |
6 | 비트겐슈타인(2006), 철학적 탐구 , 이영철 역, 책세상. | 미소장 |
7 | 슐츠(1989), 철학의 부정 , 이문출판사. | 미소장 |
8 | 스즈키 다이세츠(1987), 아홉마당으로 풀어 쓴 선 , 현음사. | 미소장 |
9 | 스즈키 다이세츠(1991), 선의 진수 , 고려원. | 미소장 |
10 | 심재열(1982), 육조단경강의 , 보연각. | 미소장 |
11 | 오경웅(1997), 선학의 황금시대 , 천지. | 미소장 |
12 | 용수보살(1993), 중론 , 김성철 역, 경서원. | 미소장 |
13 | 이승종(1998), 「비트겐슈타인과 용수」, 백련불교논집 8, 백련불교문화재단, 장경각. | 미소장 |
14 | 피처(1988), 비트겐슈타인의 철학 , 박영식 역, 서광사. | 미소장 |
15 | 현음스님 편(1994), 「칼라마경」, 수행합시다 , 목우출판사. | 미소장 |
16 | Gier, Nicholas F.(1981), Wittgenstein and Phenomenolog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미소장 |
17 | Russell, B.(1924), “Logical Atomism,” ed. Ayer(1978), Logical Positivism, Greenwood Press, Inc.. | 미소장 |
18 | Sluga, H.(1996), “Ludwig Wittgensten: Life and Work, An Introduction Ⅰ,” ed. Hans Sluga, H. & David G. Stern(1996), The Cambridge Companion to Wittgenste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9 | Wittgenstein(1961), Notebooks, trans. G. E. M. Anscombe, Harper Torchbooks. | 미소장 |
20 | Wittgenstein(1975), Philosophical Remarks, trans. R. Hargreaves and R. White, Blackwell. | 미소장 |
21 | Wittgenstein(1994), “Ethics, Life, and Faith,” ed. A. Kenny, The Wittgenstein Reader, Blackwell.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