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텍스트와 이미지 = Text and Image. 3, Go-Am Ungno Lee's Composition . 3, 고암 이응노의 구성시리즈를 중심으로 / 김승호 1

[Title] 1

국문요약 2

Abstract 3

I. 서론 : 고암 이응노의 구성시리즈 그리고 텍스트와 이미지의 연관관계 4

II. 이응노의 구성시리즈 8

1. 텍스트와 이미지의 관계망에 대한 다양한 비평적 관점들 8

2. 동서의 소통방식으로써 텍스트와 이미지의 관계망 13

3. 텍스트와 이미지의 관계망에 자리하기 17

III. 결론 : 텍스트와 이미지의 역사문맥에 자리한 고암의 구성시리즈 21

참고문헌 23

도판목록 24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현대화된 '치파오' 텍스타일패턴의 조형미 = Plastic Beauty on Textile pattern of Modernized 'QiPao' 의북극, 양성원 p.129-149

보기
신라시대 조각가 양지(良志)의 소조상 연구 = The Clay Statues of Yangji of the Silla Period : Focusing on the Green Ceramic Sculpture and the Clay Statue of the Buddha : 사천왕사의 녹유소조상과 영묘사의 장륙삼존불을 중심으로 신은숙 p.7-33

보기
텍스트와 이미지= Text and Image. 3, Go-Am Ungno Lee’s Composition . 3, 고암 이응노의 구성시리즈를 중심으로 김승호 p.51-74

보기
석판화 잉크의 변색 연구 = Research for Lightfast Pigments in Lithographic Inks : Research for Lightfast Pigment in Lithographic Inks by UV light : 자외선에 의한 석판화잉크의 변색에 관한연구 남천우 p.103-128

보기
민화(民畵)의 미학적 분석을 통한 정신미(精神美) 연구 = A Study on Spiritual Beauty through Making An Aesthetic Analysis of Korean Folk Painting 임두빈 p.35-50

보기
정보 기술 이미지의 기원과 새로운 모델 = The origin of informative mechanical image and new model : printmaking and print installation : 판화와 프린트 인스톨레이션 심희정 p.75-102

보기
프로젝션 맵핑을 이용한 빔버타이징 기법의 공간 확장성 연구 = A Study of space expansion of Beamvertising and managing method using projection mapping 이원철, 김형기 p.151-170

보기
커뮤니케이션의 진화와 새로운 놀이 공동체의 출현 = The Evolution of Communication and the Emergence of a New Play Community 김기정 p.171-191

보기
도시형 인터랙티브 미디어 파사드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al Perspectives of Urban Interactive Media Facades 이준수 p.193-212

보기
증강현실의 공간적 개념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spatial Concept of Augmented Reality 이기호, 배성한 p.213-232

보기
3D 입체영화 관람객 분석 = Analysis of 3D film spectators : Focused on presence effect at films <Pacific Rim> and <The Great Gatsby> : 영화 <퍼시픽 림> <위대한 개츠비>를 통해본 프레즌스 효과를 중심으로 전문선, 장성갑 p.233-252

보기
화면해설방송과 배리어프리영화의 연출방법연구 = A Study of the Direction Method to Descriptive Video Service and Barrier-Free Movie : Focusing on production of barrier-free movies of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부산국제영화제 베리어프리영화 제작 중심으로 나준기 p.253-269

보기

참고문헌 (3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승호, 「이미지와 텍스트 : 추상미술과 미술학의 경계에서」, 『미술사학연구논문집』 27집, 2006 미소장
2 김영호, 「고암의 꼴라주와 문자추상」, 『미술사를 품다1』, 대전이응노미술관 전시학술자료집 2007-2009, 대전시립미술관, 2010 미소장
3 김용대, 「고암 이응노: 생존의 철학」, 『고암 이응노 삶과 예술』, 고암미술연구소,얼과알, 2000/ 2005 미소장
4 김용대, 「고암 이응노: 생존의 철학」, 『중앙일보』, 1972년 12월 5일 미소장
5 문명대, 『한국미술사 방법론』, 열화당, 2004 미소장
6 미셀 타피에(Michel Tapie'), 「이응노」, 『고암 이응노, 삶과 예술』, 고암미술연구소, 얼과알, 2000/ 2005 미소장
7 오광수, 「상형과 기호의 세계, 공간(1989)」, 『고암 이응노 삶과 예술』, 고암미술연구소, 얼과알, 2000/ 2005 미소장
8 유재길, 「꼴라주 문자추상, 고암 이응노의 문자추상(1960-1970) 작품세계’, 갤러리 현대(1997)」, 『고암 이응노 삶과 예술』, 고암미술연구소, 얼과알, 2000/ 2005 미소장
9 유홍준, 「이응노, 한국 현대미술사에 남겨진 공백」, 『고암 이응노 삶과 예술』, 고암미술연구소, 얼과알, 2000/ 2005 미소장
10 유홍준, 「이응노, 한국 현대미술사에 남겨진 공백」, 『중앙일보』, 1972,12,05 미소장
11 윤범모, 「문자추상의 신경지」, 『고암 이응노 삶과 예술』, 고암미술연구소, 얼과알, 2000/ 2005 미소장
12 이 일, 「이응노, 한국 현대미술사에 남겨진 공백」, 『고암 이응노 삶과 예술』, 고암미술연구소, 얼과알, 2000/ 2005 미소장
13 『이응노 추모전』, 파리 세르누쉬미술관, 1989 미소장
14 『이응노전』, 파리 파케티갤러리, 1971 미소장
15 장언원, 조송식역, 『역대명화기』, 시공사, 2008 미소장
16 최 열, 『한국근현대미술사학』, 청년사, 2010 미소장
17 칸딘스키, 권영필역, 『예술에 있어서의 정신적인 것에 관하여』, 열화당, 2000 미소장
18 타다오 타케모토, 「아시아 4개국 현대 화가들의 심오한 창작세계 4, 이응노’, 묵티(1976)」, 『고암 이응노, 삶과 예술』, 고암미술연구소, 얼과알, 2000/ 2005 미소장
19 타다와 타케모토, 「권력보장 유지 위한 탄압, 이건 민족의 수치다」, 『민족시보』, 1985 미소장
20 Art&Language, Correspondence, in: Style (Vancouver), May, 1982 미소장
21 Atkins, Terry, Introduction, in: Art-Language(Conventry), 1,1, May 1969 Batschmann, Oskar, Einfuhrung in die kunstgeschichtliche Hermeneutik, Darmstadt, 1992 미소장
22 Christoph, Hans, Ut pictura poesis: Die Beschreibungsliteratur und ihre Kritiker von Lessing bis Lukacs, Munchen, 1972 미소장
23 Gadamer, Hans-Gerog, Bildkunst und Wortkunst, in: Gottfried Boehm (Hrsg.), Was ist ein Bild?, Munchen, 1994 미소장
24 Gewald Informatief(Genf), Art & Language, Marz 1983, Ausst.-Kat, Birmingham, Ikon Gallery, 1983 미소장
25 Kosuth, Joseph, Art after Philosophie, Studio International(London), 178/ 915 미소장
26 Ut Pictura Poesis: The Humanistic Theory of Painting 네이버 미소장
27 Lee, Rensselaer W., Ut Pictura Poesis, The Humanistic Theory of Painting. New York, 1967 미소장
28 Lessing, Gotthold Ephraim, Laokoon - oder uber die Grenzen der Malerei und Poesie hrg. v. Kurt Wolfel, Frankfurt am Main, 1988 미소장
29 Maenz, Paul und De Vries, Gerd, Die Kunst nach Philosophie, Koln, 1972 미소장
30 Zimmermann, Bernhard (Hrsg.): Handbuch der griechischen Literatur der Antike, Band 1: Die Literatur der archaischen und klassischen Zeit. Munchen, 2011 미소장
31 이응노,「구성」, 70x139cm, 한지에 채색, 1963, 도판: 『이응노, 경계를넘어-묵으로부터의 변주』, 이응노미술관, 2010, p. 33. 미소장
32 태산각석(부분), 북송 탁본, 27,8x14,3cm, 종이에 먹, 일본 도쿄, 다이토구립서도박물관, 도판: 장언원, 조송식역, 『역대명화기』, 시공사, 2009, p. 20. 미소장
33 이응노,「구성」, 120x121cm, 비닐에 채색, 1971, 도판: 『이응노, 경계를넘어-묵으로부터의 변주』, 이응노미술관, 2010, p. 1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