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민족에서 개인으로 = 從民族到個人 : 關於1950年代冷戰臺灣的文學風景 : 1950년대 냉전대만의 문학풍경 / 최말순 1

목차 1

I. 서론 1

II. 국가문예체제와 반공, 전투문예 3

III. 미국의 문화외교정책과 자유, 개인, 모더니즘 13

IV. 결론 23

참고문헌 25

[요약] 26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正祖代 華城 방어체제에 따른 壯勇營의 군사조련과 무예훈련 = Jang Yong Young guards' military drills and martial arts training according to Hwaseong fortress's defense system during King Jeongjo's reign 최형국 p.125-157

보기
조선시대 기상점후 류서류와 기상자연학적 고찰 = A Study of Meteorological Encyclopedic Texts and Traditional Nature Studies in Choseon Dynasty 김일권 p.5-70

보기
17세기 홍중삼의 붕당인식과 '破朋黨論' = A Study on Hong Jungsam's Factional Cognition and Anti-Factional Theory in the 17th century : 『鄕約通變』을 중심으로 한종수 p.71-95

보기
번암 채제공의 화성신도시 기반조성과 화성 축성 = The foundation of new city infrastructure of Hwaseong and its citadel by Chae Jegong under the pseudonym of Beonam 김준혁 p.97-123

보기
이태원의 다문화적 성격에 대한 역사적 접근 = A Historical approach on Multicultural character in Itaewon space 박경하 p.159-186

보기
宋朝官员印纸批书制度研究 = 송조의 관원 인지(印紙)·비서(批書) 제도 연구 丁建军, 冯红 p.187-206

보기
영국의 문화유산 산업(Heritage Industry)과 역사 인식 = British Heritage Industry and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 Heritage Film in the 1980s : 1980년대 헤리티지 영화(Heritage Film) 박우룡 p.271-304

보기
역사가와 그의 시대= An Isolated Historian, A Unpublished Poet, and/or A Resistant Citizen. In-Sok Kim and Military Dictatorship of the 5th Republic in Korea . 1, 김인석과 제5공화국 군사독재시대 육영수, 박하늘 p.305-338

보기
秋瑾의 思想과 그 活動 변천 = 秋瑾的思想和其活動變遷 김택중 p.207-236

보기
대서양관계를 통해서 본 유럽통합 = Atlantic relationship and European Integration : Focusing on the origin of EURATOM, 1954-1957 : 유라톰(EURATOM)의 기원을 중심으로, 1954-1957 김유정 p.237-269

보기
민족에서 개인으로 = 從民族到個人 : 關於1950年代冷戰臺灣的文學風景 : 1950년대 냉전대만의 문학풍경 최말순 p.339-365

보기
1950、1960年代台灣政治發展的歷史評價問題 = 1950·1960년대 대만 정치 발전사의 평가 문제 : 냉전 구조 하의 일고찰 : 冷戰架構下的一個考察 薛化元 p.367-397

보기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陳紀瀅,〈張道藩先生與文獎會文藝協會〉,《中國文藝鬥士張道藩先生哀思錄》(台北:治喪委員會編印, 1968) 미소장
2 應鳳凰,〈張道藩《文藝創作》與50年代台灣文壇〉,《戰後初期台灣文學與思潮》(台北:文津出版社, 2005) 미소장
3 梅家玲,〈性別vs.家國:50年代的台灣小說-以《文藝創作》與文獎會得獎小說爲例〉,《臺大文士哲學報》第五十五期(2001.11) 미소장
4 中國文藝協會,《耕耘四年:中國文藝協會槪況》, 1954 미소장
5 中國文藝協會,《文協十年》, 1960 미소장
6 中國文藝協會,《自由中國文藝創作集》(台北:正中書局, 1956) 미소장
7 中國文藝協會,《海天集》(台北:復興書局, 1959) 미소장
8 陳康芬,〈「中國文藝協會」社群與戰後台灣50年代反共文學機制的形成〉, 《眞理大學臺灣文學硏究集刊》第六期, (200.4.7) 미소장
9 張道藩,《三民主義文藝論》(台北:文藝創作出版社, 1954) 미소장
10 張道藩,〈論文藝作戰與反攻〉,《文藝創作》第25期(1953.5) 미소장
11 張淑雅,〈藍欽大使與1950年代的美國對台政策〉,《歐美硏究》第28卷第1期(1998.3) 미소장
12 謝尙文,〈帝國主義下的美國文化戰略〉,《海峽評論》第148期(2003.4). 미소장
13 羅森棟,〈「今日世界」塑造映象的內容與範圍(上下)〉,《思與言》第9卷 第4-5期(1971.11;1972.1) 미소장
14 王梅香,《肅殺歲月的美麗/美力?戰後美援文化與5,60年代反共文學、現代主義思潮發展之關係》, 國立成功大學台灣文學硏究所碩士論文(2005.6) 미소장
15 白先勇,〈現代文學的回顧與前瞻〉,《現代文學》復刊一(1977.8) 미소장
16 歐陽子,〈回憶現代文學創辦當年〉,《現代文學小說選集》(第一集)(台北:爾雅, 1997.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