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셸링이 1809년에 발표한 『인간자유의 본질에 관한 철학적 탐구』는자신의 동일철학에 대한 비판 중 그의 이론은 범신론에 불과하고, 따라서 인간의 자유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내용에 대한 반박을 싣고 있다.
이를 위해 그는 자연과 정신이 신 안에서 통일되는 하나의 체계를 제시하면서도 체계와 자유가 양립 불가능하다는 일반적인 선입견과는 달리 오히려 이 체계로부터 자유의 가능성이 도출된다는 것을 밝히고자했다. 이때 그가 제시하는 신은 세계로부터 초월해 있는 신이 아닌, 자연 속에서 자신을 계시하는 인격으로서의 신이고, 그가 밝히는 자유는생생하고 실재적인 개념으로서의 자유이다. 그리고 이 자유는 단지 선한 행위를 할 수 있는 능력일 뿐 아니라 악을 선택하여 행할 수 있는능력까지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셸링의 체계에 있어서 악은 지금까 전통처럼 선의 결여라는 소극적인 개념이 아니라 자유의 가능성에 구조적으로 필요한 적극적인 개념으로 이해된다. 악은 인간의자유를 위해서 오히려 필요한 것이며, 인간 또한 근원적으로 선과 악에로의 가능성을 모두 지니고 있는 존재로 설명된다. 인간은 이렇게 선과악에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비록 전지전능한 신의 피조물로서 자연의일부임에도 불구하고 자유로운 존재가 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셸링에게 있어서 고유한 자유의 개념, 즉 악에 대한 가능성으로 드러난 자유의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또한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는지를 집중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셸링이 밝히는 체계의 구조를 우선 규명하고 이로부터 자유가 도출되는 과정을 쫓아갈 것이다. 이를 밝히고 나면, 악에 대해 적극적으로 규명하고 있는셸링의 이론이 윤리학에서 지금까지 간과하고 있던 인간의 악한 행위에 대한 본질적이고 체계적인 설명을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는 점을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동시에 인간의 도덕적 행위에 대한 책임이 인간 자신에게가 아니라 체계 자체에게 위임되고 마는 셸링 이론의한계도 지적될 것이다.
Schellings Abhandlung, Philosophische Untersuchungen uber das Wesender menschlichen Freiheit und die damit zusammenhangenden Gegenstande(1809), richtet gegen die Kritik, seine Identitatsphilosophie sei bloeinPantheismus, der keinen Platz fur menschliche Freiheit anbiete. Er versuchtnun hier ein System zu begrunden, in welchem Geist und Natur in Gottvereinbart sind. In diesem System ist auch die Freiheit der Menschen begrundet,weshalb das System und die Freiheit nicht unkompatible sein sollen.
Schelling deutet Freihiet als das Vermogen, das nicht nur das Gute zu begehrenund tun, sondern auch das Bose. Damit erreicht Schellings Theorieihren eigentumlichen Hohepunkt in der Philosophiegeschichte, die bisherdas Problem des Bosen vernachlat hat. Das Bose ist nun als ein positiverBegriff sogar notwendig fur die Moglichkeit der Freiheit. Dank dieserZwiefaltigkeit sowohl zum Guten, als auch zum Bosen eigentlich ist derMensch frei, obwohl er als ein Geschopf vom Gott im ganzen System notwendigverbunden ist.
Die hier vorliegende Arbeit mochte untersuchen, wie der Freiheitsbegriffbei Schelling als Moglichkeit zum Bosen bestimmt wird, und ob dieseBestimmung gerechtfertigt werden kann. Zu diesem Zweck muss zuerst dasin Freiheitsschrift erlauterte System analysiert und rekonstruiert werden. Erstdanach wird es sichtbar, ob und wie Schellings Philosophie eine uberzeugendeErklarung uber die Freiheit und das Bose anbiete. Zugleich aber wird esdeutlich, dass in Schellings Theorie die Verantwortlichkeit des Menschen,die den eigentlichen Kern der Moral bildet, nicht beim Menschen selbst,sondern im System zu suchen ist.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모윤숙 초기시의 심상지리 연구 : 민족주의, 제국주의, 센티멘털리즘을 중심으로 | 김옥성 | pp.177-209 |
|
|
1930년대 후반 식민지 조선에 끼친 프랑스영화의 영향 | 김승구 | pp.105-140 |
|
|
헤겔의 실천철학에서 양심의 문제 | 성창기 | pp.77-101 |
|
|
전근대 일본의 태교지식의 수용과 전개 : 일본 고전 텍스트를 중심으로 | 이미숙 | pp.247-285 |
|
|
칸트에서 선의지와 자유의 문제 | 백종현 | pp.11-42 |
|
|
1920-30년대 도쿄 영화관과 영화문화 : 아사쿠사(浅草)와 니시긴자(西銀座) 영화가(街)를 중심으로 | 정충실 | pp.287-326 |
|
|
「호외시대」재론(再論) : 『매일신보』신문연재소설로서의 특성을 중심으로 | 배정상 | pp.141-175 |
|
|
한국에는 현대철학이 있는가 : 이규성(2012), 한국현대철학사론, 이대출판부, 976쪽 <서평> | 정세근 | pp.389-403 |
|
|
The Karma of Power: The "Both Sides" of Machiavellian Exemplarity in The Prince and the Paradox of Agambenian Sovereignty | 김보민 | pp.357-385 |
|
|
우줘류(吳濁流)의 장편 소설『아시아의 고아』(アジアの孤児)에서 드러나는 식민지인의 정체성 연구 | 신민영 | pp.211-246 |
|
|
유가행파의 비유적 표현과 소통 : 밀의(密意)를 중심으로 | 안환기 | pp.327-356 |
|
|
셸링의 자유개념과 악의 가능성 | 손성우 | pp.43-76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Heidegger, M. (1936), Schelling: Vom Wesen der menschlichen Freiheit (1809),Gesamtausgabe Bd. 42, Frankfurt a. M.: Vittorio Klostermann GmbH 1988.[최상욱 역(1997), 셸링 , 서울: 동문선] | 미소장 |
2 | Kant, I. (1781/1787), Kritik der reinen Vernunft, Hamburg: Felix Meiner Verlag 1990. | 미소장 |
3 | Schelling, F. W. J. (1809), Philosophische Untersuchungen über das Wesen der menschlichen Freiheit und die damit zusammenhängenden Gegenstände, Sämtliche Werke, Stuttgart und Augsburg: J. G. Cotta’scher Verlag 1860, Abt I/7, pp.331-416. [김혜숙 역(2012), 인간 자유의 본질에 관한 철학적 탐구 , 서울: 지식을 만드는 지식], [한자경 역(1998), 인간 자유의 본질 , 서울: 서광사] | 미소장 |
4 | Schelling, F. W. J. (1804), Philosophie und Religion. Sämtliche Werke, Stuttgart und Augsburg: J. G. Cotta’scher Verlag 1860, Abt I/6, pp. 11-70. | 미소장 |
5 | 쉘링의 자유론에서 악과 책임의 문제 : 변신론에 기초한 윤리적 고찰 | 소장 |
6 | 구연상(2013), 「하이데거의 계사(繫辭) 해석에 대한 비판」, 존재론 연구 32, 한국하이데거학회. | 미소장 |
7 | 셸링 사유에 있어서의 '자유의 가능성으로서의 선과 악의 가능성'에 관한 고찰 | 소장 |
8 | 바움가르트너/코르텐, 이용주 역(2012), 셸링: 절대자와 자유를 위한 철학 , 서울: 동연. | 미소장 |
9 | Freiheit und System | 소장 |
10 | 하이데거의 셸링 강연을 통해 본 악의 본질 | 소장 |
11 | 자연의 자유와 자기의 자유 : 셸링의 『자유론』 연구 | 소장 |
12 | 한자경(1998), 「셸링철학에서의 자연과 자아」, 철학 56, 한국철학회. | 미소장 |
13 | Das Böse bei Schelling ![]() |
미소장 |
14 | Geyer, C.-F. (1992), “Theodizee oder Kulturgeschichte des Bösen?”, Zeitschrift für philosophische Forschung 46/2, Vittorio Klostermann GmbH. | 미소장 |
15 | Höffe, O./Pieper, A. (Hrsg.) (1995), Über das Wesen der menschlichen Freiheit. Berlin:Akademie Verlag. | 미소장 |
16 | Hermanni, F. (Hrsg.) (2004), Der freie und unfreie Wille. philosophische undtheologische Perspektiven, München/Paderborn: Wilhelm Fink Verlag. | 미소장 |
17 | Köhler, D. (2006), Freiheit und System im Spannungsfeld von Hegels “Phänomenologie des Geistes” und Schellings “Freiheitsschrift”, München/Paderborn: Wilhelm Fink Verlag. | 미소장 |
18 | Krings, H. (1985), “Natur und Freiheit”, Zeitschrift für philosophische Forschung 39/1, Vittorio Klostermann GmbH. | 미소장 |
19 | Schulte, C. (1991), Radikal Böse. die Karriere des Bösen von Kant bis Nietzsche, München/Paderborn: Wilhelm Fink Verlag. | 미소장 |
20 | Sturma, D. (1994), “Zur Wiedererwägung eines Begriffs positiver Freiheit”, Zeitschrift für philosophische Forschung 48/2, Vittorio Klostermann GmbH.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