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Focused Instructional Strategies in Remedial Teaching on L2 Korean Errors : A Methodological Proposition | 신성철 | pp.185-211 |
|
|
내러티브 자료의 특성과 구축 방안 : 말뭉치언어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안의정 | pp.33-54 |
|
|
담화표지의 위치 변인에 따른 기능 연구 : 여성 결혼이민자의 구어 담화를 바탕으로 | 김선정, 김신희 | pp.107-133 |
|
|
한국어교육에서의 내러티브 연구 동향과 상호 소통의 한국어교육 실천 가능성 | 한송화 | pp.3-32 |
|
|
한국어교육에서의 의성어·의태어 지도 | 김수정 | pp.135-156 |
|
|
한국어 토론 교재 개발 방안 연구 :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 고영준, 윤영 | pp.213-243 |
|
|
한국어 교육용 반의어의 개념 설정 및 목록 선정에 관한 연구 : 중급 범용적 반의어 목록 선정의 예 | 장채린, 홍연정 | pp.245-270 |
|
|
한국어 교육용 원인·이유 연결형 문형 선정 및 위계화 | 서세정, 최영롱 | pp.157-184 |
|
|
한국어 학습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구 : 애플리케이션 현황 분석 및 학습자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 국지수 | pp.87-106 |
|
|
생애 이야기의 선택적 구성과 내러티브 정체성 연구 : 재미 교포 1세의 개인적 평가를 중심으로 | 이정은 | pp.55-86 |
|
|
영어 공간에서 한국어 사용하기 | 최진숙 | pp.271-292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한국어 교재의 문형유형 분석 : 문형 등급화를 위해 | 소장 |
2 | 국립국어원(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문법2」, 커뮤니케이션북스. | 미소장 |
3 | 국립국어원(2010),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보고서”. | 미소장 |
4 | 국립국어원(2011),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 보고서”. | 미소장 |
5 | 김수정(2003),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연결 어미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6 | 한국어 이음씨끝 의 의미 및 통어 기능연구 1 | 소장 |
7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 : 문법 항목 선정과 단계화를 중심으로 | 소장 |
8 | 김정숙(2002ㄱ), “한국어 문법 교육의 체계와 방법론”(토론문), 국제한국어교육학회추계(제18차)학술대회,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미소장 |
9 | 김정은․이소영(2001),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표준 문법- 조사, 어미, 관용표현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이중언어학회) 19, 187-207. | 미소장 |
10 |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 어미 오류 양상에 관한 연구 : 언어권별 오류 양상을 중심으로 | 소장 |
11 | 김지혜(2009), “한국어 이유 표현 교육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 미소장 |
12 | 김진호 외(2010),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1:의미 기능편」, 박이정. | 미소장 |
13 |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의 현황과 과제 | 소장 |
14 | 박대범(2007),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이유 ․ 원인의 연결 표현 연구”,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박지순, 서세정(2009), “한국어 쓰기 숙달도 평가 방안에 대한 연구”, 제3회 한국 언어․문학․문화 국제학술대회 발표집. | 미소장 |
16 | The connection endings of the macro structure | 소장 |
17 | 한국어 교육에서의 [원인] 연결어미에 대하여 | 소장 |
18 | 윤혜진(2011), “한국어 교육용 추측 표현 항목 선정과 등급화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표현항목' 설정에 대한 연구 | 소장 |
20 | 이미혜(2005), “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추측 표현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1 | 이윤진(2002),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 어미 사용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2 | A Study on Error Determination Standard and Classification in Korean Education | 소장 |
23 | 이정희(2003),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연구」, 도서출판 박이정. | 미소장 |
24 | 이지연(2014), “이유 표현 난이도에 따른 한국어 문법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5 | 이해영(2000), “학문 연구를 위한 한국어 교육”, 「한국어교육」(국제한국어교육학회)13, 117-131. | 미소장 |
26 |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 | 소장 |
27 | 학문 목적 한국어 교과과정 설계 연구 | 소장 |
28 | 한국어 학습자 담화에 나타난 연결어미 연구 | 소장 |
29 | 임태운(2009), “한국어 학습자의 인과관계 연결형 문형 교육 방안”,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0 | 조철현(2002),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유형 조사 연구”, 문화관광부. | 미소장 |
31 | 진정란(2005), “한국어 이유 표현의 담화 문법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2 | 최영롱(2013), 한국어 학술적 텍스트의 원인 ․ 이유 표현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3 | Interlanguage Variability in Narrative Discourse: Style Shifting in the Use of the Past Tense ![]() |
미소장 |
34 | H. Douglas Brown(2000), Principle of Language and Teaching (4th edition), Addison Wasley Longman, Inc. | 미소장 |
35 | The Emergence of Complexity, Fluency, and Accuracy in the Oral and Written Production of Five Chinese Learners of English ![]() |
미소장 |
36 | Omaggio, A.H.(1993), Teaching Language in Context, Heinle & Heinle Publishers | 미소장 |
37 | 「연세한국어」 6권,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 미소장 |
38 | 「한국어」 6권,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 미소장 |
39 | 「서강 한국어」 10권, 서강대학교 국제교육원. | 미소장 |
40 | 「재미있는 한국어」 6권,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 미소장 |
41 | 「이화 한국어」 9권,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학당. | 미소장 |
42 | 「한국어」 6권,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