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공간디자인 마케팅에서 소비자 니즈에 관한 연구 김운걸, 이정교 pp.48-57

투명성 이론에 기초한 공간 사례별 특징분석 및 감성어휘 추출 연구 김종서, 이진숙 pp.74-86

북촌한옥 실내공간의 전통과 현대적 융합특성 이유리, 남경숙 pp.286-295

디자인 전략으로서의 촉감 연구 김면, 신희경 pp.24-33

행위자 없는 무대 '슈티프터의 사물들'의 역치적(閾値的) 매체성 : 리미널리티 개념을 바탕으로 본 하이너 괴벨스의 무대 백영주 pp.128-138

프랑스 신도시 환경예술작품의 특징에 관한 연구 송복섭 pp.152-161

1970년대 한국화의 오브제 표현에 대한 연구 오세권 pp.212-222

기호학적 접근을 통한 박물관 전시의 서사성 분석에 관한 연구 박진호 pp.116-125

알칼리 가공을 활용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염색 연구 안은정 pp.186-194

서울시 도시공원의 경관조명디자인 현황 연구 양정순, 김현중 pp.196-209

태조 이성계 어진과 존 밀턴의『실낙원』에 나타난 거룩한 이미지 비교 연구 김혜연, 김민규 pp.88-99

체현감각 : 뉴미디어 예술의 경험에 대한 고찰 송원진, 윤준성 pp.164-173

라이프스타일 샵(life-style shop) 내부와 외부의 감각체험 요소가 소비자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황지현, 김면, 구자준 pp.474-485

디지털 매체와 도시공간의 변화에 대응하는 영화 전략 연구 : 페드로 코스타, 가이 매딘, 톰 앤더슨의 작품을 중심으로 성진모, 오준호 pp.140-149

지역연계 관학협력 환경디자인 교육프로그램 사례연구 윤명한 pp.252-261

감성로봇에 나타난 치유 요소 연구 김세진, 전수진 pp.36-45

동·서양의 관점에서 본 비움(Empty Image)에 관한 고찰 강소영, 김도식 pp.2-12

CaO, K2O 및 SiO2 조성 변화에 관한 투명유약 연구 송준규 pp.176-184

한글 타이포그래피에 있어서 활자가족으로 이탤릭체 연구 : 네모틀 디지털 돋움체의 오블리크 스타일을 중심으로 유정숙 pp.236-249

솔 르윗 작품에 나타난 반복구조를 응용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 이상미 pp.274-283

기업홍보관에 나타난 공간구성별 디지털 사이니지 유형 특성 비교 분석 연구 이흥주, 윤재은 pp.334-344

1970년대 전통 및 향토 인물화 연구 : 한국화를 중심으로 정연경 pp.390-402

스피노자의 '실체'와 '양태'개념을 통한 프랭크 게리 건축의 표현특성 연구 유수정, 홍지나, 윤재은 pp.224-233

빛과 그림자를 이용한 가변 형상 제작에 관한 연구. 1 전신종, 조열, 최병수 pp.360-369

창의적 공간디자인 교육을 위한 조형교과목 개발 김정신 pp.60-71

프랙탈 구조에 따른 이상 시의 텍스트 분석 이고은, 김준교 pp.264-271

중국 수묵화를 활용한 월분패 치파오의 패션디자인 연구 니모쯔, 서승희 pp.102-114
제니 홀저 미술의 매체 기반 적 타이포그래피와 조형성 정무환 pp.372-387

인클루시브 디자인 측면의 노인 보행환경 개선 연구 : 대구시 보행공간을 중심으로 이은영, 이돈일 pp.310-319

디자인트렌드예측을 위한 디자이너 경험의 발화조건과 구조에 관한 연구 이향은 pp.322-331

박수근 회화의 타자의식 연구 : 레비나스(E. Levinas) 이론을 중심으로 공주형 pp.14-22

프래그머티즘 미학을 적용한 경험적 미디어아트 전시공간구성 연구 이윤채, 이현진 pp.298-307

다원주의 시대에서 극사실 회화의 미적 가치와 비평의 문제 장민한 pp.346-357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전통주기 개발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최병건, 황승욱, 이석진, 안정현, 신종환 pp.430-446

박생광·김호석·조덕현의 작품에 나타나는 역사성과 익명성 정연경 pp.404-415

스마트교육 개념에 의한 초등학교 학습 공간의 특성 연구 최민아, 김연정 pp.418-428

기초디자인 교육에 있어 수학적 제재를 이용한 형태연구 : 이진수를 이용한 동적 대칭표현을 중심으로 하봉수 pp.448-460

전통문화 교육을 위한 아동 교구디자인 및 교육프로그램 연구 허은정, 정수경, 정성환 pp.462-471

참고문헌 (3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B. Cumings, Korea's place in the sun : a modern history, 김동노 외 역, 『한국현대사』, 창작과 비평사, 2001 미소장
2 E. Levinas, Totalité et infini, Nijhoff, 1961 미소장
3 E. Levinas, En découvrant l'existence avec Husserl et Heidegger,J. Vrin, 1982 미소장
4 E. Levinas, Autrement qu'être ou au~delà de l'essence, Le livre de Poche, 1974 미소장
5 E. Levinas, Entre nous, Essais sur le penser~à~l'autre, Grasset, 1991 미소장
6 E. Levinas, Ethique et Infini, 양명수 역,『윤리와 무한』,다산글방, 2000 미소장
7 E. Levinas, De l'existence áa l'existant, 서동욱 역,『존재에서 존재자로』, 민음사, 2003 미소장
8 Jean~Paul Charles, L'Etre et le neant, 변광배 역,『존재와 무』, 살림출판사, 2005 미소장
9 N. Bourriaud, Esthétique relationnelle, 한지연 역,『관계의 미학』, 미진사, 2011 미소장
10 S. Sontag, Regarding the pain of Others, 이재원 역, 『타인의 고통』, 이후, 2004 미소장
11 강영안, 『타인의 얼굴』, 문학과 지성사, 2005 미소장
12 김연숙,『레비나스 타자 윤리학』,인간사랑, 2001 미소장
13 서동욱,『차이와 타자』, 문학과 지성사, 2004 미소장
14 이경성,,『근대한국미술사논고』, 일지사, 1974. 미소장
15 한국미술연구소 편,『자료로 본 우리의 화가 박수근』, 시공사, 2005 미소장
16 김미령,「박수근에 있어서 이미지의 불투명성의 문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미소장
17 김복순, 「나의 남편 박수근」,『자료로 본 우리의 화가 박수근』, 시공사, 2005 미소장
18 김성덕,「박수근 회화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충북대학교 대학원,2009. 미소장
19 E.Levinas 他者倫理에서 倫理的 疏通에 관한 연구 : 얼굴·만남·대화 소장
20 김윤수,「이중섭과 박수근」,『자료로 본 우리 화가 박수근』, 시공사, 2005 미소장
21 김지홍,「박수근 회화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심리적 분석 연구 : 융의 분석 심리학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미소장
22 박성남,「우람한 손을 가진 나의 아버지」, 시공사, 2005 미소장
23 레비나스의 타자성의 관점에서 본 가까이 있음(proximité)과 책임성의 의미 소장
24 안소연, 「박수근 작품에 나타난 독자적 조형성의 근원」,『박수근』, 삼성미술관, 1999 미소장
25 오광수,「박수근-소박함의 기념성」,『20인의 한국미술가 2』,시공사, 1997. 미소장
26 오광수,「절제와 균형의 예술」,『자료로 본 우리의 화가 박수근, 시공사, 2005 미소장
27 유준상,「한국적인 화가의 원상」,『박수근 1914~1965』, 열화당, 1985. 미소장
28 유홍준,「고단한 시절의 꿈같은 그림들」,『박수근과 그 시대 화가들』, 양구군립 박수근 미술관, 2004 미소장
29 윤범모,「박수근의 예술세계와 민족미의 구현」,『한국근대미술사학』, Vol.3 No.-, 1996. 미소장
30 윤범모,「박수근, 궁핍한 시대의 풍경을 그리다」,『박수근 1914-1965』, 가나아트, 2014. 미소장
31 이경성,「흙과 같은 소박한 심성」,『근대한국미술사논고』, 일지사, 1974. 미소장
32 이구열, 「서민 사랑의 진실성과 경탄스런 조형 창조」,『시공사, 2005 미소장
33 이도환,「박수근 회화에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전남대학교 대학원, 1999 미소장
34 이지미,「박수근 작품의 이미지 해석 : 고목과 여인 이미지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1996 미소장
35 이임하, 『여성, 전쟁을 넘어 일어서다』, 서해문집, 2004 미소장
36 무한과 비평이론 : 레비나스와 들뢰즈/거타리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