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B. Cumings, Korea's place in the sun : a modern history, 김동노 외 역, 『한국현대사』, 창작과 비평사, 2001 | 미소장 |
2 | E. Levinas, Totalité et infini, Nijhoff, 1961 | 미소장 |
3 | E. Levinas, En découvrant l'existence avec Husserl et Heidegger,J. Vrin, 1982 | 미소장 |
4 | E. Levinas, Autrement qu'être ou au~delà de l'essence, Le livre de Poche, 1974 | 미소장 |
5 | E. Levinas, Entre nous, Essais sur le penser~à~l'autre, Grasset, 1991 | 미소장 |
6 | E. Levinas, Ethique et Infini, 양명수 역,『윤리와 무한』,다산글방, 2000 | 미소장 |
7 | E. Levinas, De l'existence áa l'existant, 서동욱 역,『존재에서 존재자로』, 민음사, 2003 | 미소장 |
8 | Jean~Paul Charles, L'Etre et le neant, 변광배 역,『존재와 무』, 살림출판사, 2005 | 미소장 |
9 | N. Bourriaud, Esthétique relationnelle, 한지연 역,『관계의 미학』, 미진사, 2011 | 미소장 |
10 | S. Sontag, Regarding the pain of Others, 이재원 역, 『타인의 고통』, 이후, 2004 | 미소장 |
11 | 강영안, 『타인의 얼굴』, 문학과 지성사, 2005 | 미소장 |
12 | 김연숙,『레비나스 타자 윤리학』,인간사랑, 2001 | 미소장 |
13 | 서동욱,『차이와 타자』, 문학과 지성사, 2004 | 미소장 |
14 | 이경성,,『근대한국미술사논고』, 일지사, 1974. | 미소장 |
15 | 한국미술연구소 편,『자료로 본 우리의 화가 박수근』, 시공사, 2005 | 미소장 |
16 | 김미령,「박수근에 있어서 이미지의 불투명성의 문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 미소장 |
17 | 김복순, 「나의 남편 박수근」,『자료로 본 우리의 화가 박수근』, 시공사, 2005 | 미소장 |
18 | 김성덕,「박수근 회화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충북대학교 대학원,2009. | 미소장 |
19 | E.Levinas 他者倫理에서 倫理的 疏通에 관한 연구 : 얼굴·만남·대화 | 소장 |
20 | 김윤수,「이중섭과 박수근」,『자료로 본 우리 화가 박수근』, 시공사, 2005 | 미소장 |
21 | 김지홍,「박수근 회화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심리적 분석 연구 : 융의 분석 심리학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 미소장 |
22 | 박성남,「우람한 손을 가진 나의 아버지」, 시공사, 2005 | 미소장 |
23 | 레비나스의 타자성의 관점에서 본 가까이 있음(proximité)과 책임성의 의미 | 소장 |
24 | 안소연, 「박수근 작품에 나타난 독자적 조형성의 근원」,『박수근』, 삼성미술관, 1999 | 미소장 |
25 | 오광수,「박수근-소박함의 기념성」,『20인의 한국미술가 2』,시공사, 1997. | 미소장 |
26 | 오광수,「절제와 균형의 예술」,『자료로 본 우리의 화가 박수근, 시공사, 2005 | 미소장 |
27 | 유준상,「한국적인 화가의 원상」,『박수근 1914~1965』, 열화당, 1985. | 미소장 |
28 | 유홍준,「고단한 시절의 꿈같은 그림들」,『박수근과 그 시대 화가들』, 양구군립 박수근 미술관, 2004 | 미소장 |
29 | 윤범모,「박수근의 예술세계와 민족미의 구현」,『한국근대미술사학』, Vol.3 No.-, 1996. | 미소장 |
30 | 윤범모,「박수근, 궁핍한 시대의 풍경을 그리다」,『박수근 1914-1965』, 가나아트, 2014. | 미소장 |
31 | 이경성,「흙과 같은 소박한 심성」,『근대한국미술사논고』, 일지사, 1974. | 미소장 |
32 | 이구열, 「서민 사랑의 진실성과 경탄스런 조형 창조」,『시공사, 2005 | 미소장 |
33 | 이도환,「박수근 회화에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전남대학교 대학원, 1999 | 미소장 |
34 | 이지미,「박수근 작품의 이미지 해석 : 고목과 여인 이미지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1996 | 미소장 |
35 | 이임하, 『여성, 전쟁을 넘어 일어서다』, 서해문집, 2004 | 미소장 |
36 | 무한과 비평이론 : 레비나스와 들뢰즈/거타리 | 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