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940년대 조선총독부 만주개척민지원자훈련소의 설치와 성격 / 유필규 1
1. 머리말 1
2. 만주개척민지원자훈련소의 설치배경 4
3. 만주개척민지원자훈련소의 설치와 운영 8
4. 만주개척민지원자훈련소의 성격 19
5. 맺음말 28
참고문헌 31
국문요약 33
영문요약 35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1940년대 조선총독부 만주개척민지원자훈련소의 설치와 성격 | 유필규 | pp.187-222 |
|
보기 |
국채보상운동과 투서사건 | 김형목 | pp.315-329 |
|
보기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제공동관리안 반대운동, 1942~1943 | 이재호 | pp.71-100 |
|
보기 |
박열의 일왕폭살계획 추진과 옥중투쟁 | 김명섭 | pp.37-69 |
|
보기 |
북간도 명동학교 막새기와의 꽃문양에 나타난 민족의식 | 김시덕 | pp.101-147 |
|
보기 |
안동 내앞마을 출신 독립운동가들의 생가터 조사 연구 | 김희곤 | pp.223-251 |
|
보기 |
월례연구발표회의 과제와 전망 | 유필규 | pp.283-296 |
|
보기 |
월례연구발표회의 어제와 오늘 | 조성진 | pp.253-282 |
|
보기 |
중국 천진지역 한인의 이주와 정착 | 양지선 | pp.149-186 |
|
보기 |
李章寧의 생애와 독립운동 | 김주용 | pp.5-36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拓務省 拓務局, 「昭和十二年度拓務省補助的自由移民一覽」, 1938. | 미소장 |
2 | 滿洲勞工協會 編, 『滿洲勞動年鑑(康德七年版)』, 巖松堂書店, 1940. | 미소장 |
3 | 「朝鮮人の滿洲開拓靑少年義勇隊に就いて」, 『朝鮮』, 1940. | 미소장 |
4 | 「昭和16年 第79回 帝國議會 說明資料」 | 미소장 |
5 | 滿鮮拓植株式會社, 『鮮滿拓植株式會社, 滿鮮拓植株式會社 5年史』, 1941. | 미소장 |
6 | 朝鮮移住協會, 「滿洲開拓靑年義勇隊」, 『滿洲開拓民講演集』, 1941. | 미소장 |
7 | 池田廣男, 「滿洲開拓民志願者訓練所の槪要」, 『朝鮮』, 1942. | 미소장 |
8 | 加藤完治, 『農と日本精神』, 千歲書房, 1943. | 미소장 |
9 | 국가기록원 고적·관사·사법·행형 등 일제시기 건축도면 컬렉션 - 『만주개척민지원자훈련소』 | 미소장 |
10 | 森田芳夫, 『朝鮮終戰の記錄』, 巖南堂書店, 1964. | 미소장 |
11 | 滿洲開拓史復刊委員會, 『滿洲開拓史』, 全國拓友協議會, 1980. | 미소장 |
12 | 山田健二, 『滿蒙開拓少年義勇軍』, 國書刊行會, 1983. | 미소장 |
13 | 陳野守正, 『歷史からかくされた朝鮮人滿洲開拓團と義勇軍』, 梨の木舍, 1998. | 미소장 |
14 | 村上勝彦, 「滿洲農業移民政策の展開と移民助成機關」, 『滿蒙開拓團の綜合的硏究』, 東京大學綜合人文學部, 1998. | 미소장 |
15 | 王胜今, 『爲滿時期中國東北地區移民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5. | 미소장 |
16 | 白取道博, 『滿蒙開拓靑少年義勇軍史硏究』, 北海道大學出版會, 2008. | 미소장 |
17 | 윤휘탁, 『일제하 ‘만주국’연구-항일무장투쟁과 치안숙정공작』, 일조각, 1996. | 미소장 |
18 | 손춘일, 『일제의 재만한인에 대한 토지정책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1998. | 미소장 |
19 | 1930년대 일제의 조선인 만주 이주 정책 | 소장 |
20 | 중일전쟁기 중국 화북지방의 한인이주와 ‘蘆臺農場’ | 소장 |
21 | 현은주, 『1930년대 재만조선인사회에 대한 일제의 통제정책연구:안전농촌과 대둔부락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미소장 |
22 | 김춘선, 「광복 후 중국 동북지역 한인들의 귀환과 정착」, 『해방 후 중국지역 한인의 귀환문제 연구』, 국민대 한국학연구소, 2003. | 미소장 |
23 | 만주 지역 한인 '安全農村' 연구 : 營口, 三源浦 지역을 중심으로 | 소장 |
24 | 1930년대 연변지역 韓人 '集團部落'의 설치와 통제적 생활상 | 소장 |
25 | 岡部牧夫, 『滿洲國』, 講談社 學術文庫, 2007 ; 최혜주 역, 『만주국의 탄생과 유산 :제국 일본의 교두보』, 어문학사, 2009. | 미소장 |
26 | The Manchuria Cultivation Policy of Japanese imperialists and mobilization of the Korean | 소장 |
27 | The Korean During the War System, a Study on "The Manchuria Youth Pioneering Volunteer League" | 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