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먼저 서사구조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립적 인물 관계이다. 이 소설은 제도권 관료와 비제도권 소년, 기성세대와 신세대, 사대부(귀족)와 평민, 관념론과 현실론으로 대표되는 두 인물이 충돌하는 지점에서 역설적 카타르시스를 제시한다. 즉 강과 약, 힘과 꾀에서 예상을 뒤엎고 결국 승리하는 쪽은 후자임을 보여 주는 민담의 일반적 패턴을 그대로 따라가고 있다. 둘째, 문답 형식이다. 세상의 이치와 삶의 지혜를 논하는 두 인물은 끊임없이 묻고 답하는 방법으로 각각 자신들의 가치관을 극명하게 보여 준다. 이 또한 문답형 지혜담의 연장선상에서 평범한 지혜가 우둔한 권력보다 우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병렬적 구성이다. 이 소설은 주제를 보다 명시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에피소드를 나열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이어 문체미학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화체 방식이다. 문답 형식의 대화체는 설명이나 묘사와 같은 간접적 서술보다 작가의 의도를 선명하게 부각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가 크다. 둘째, 간결한 문체이다. 단문단답의 촌철살인은 설화 양식의 고전적 수법으로, 특히 문답을 통한 두 인물의 간결한 대화를 통해 비판과 풍자를 극대화하고 있다. 셋째, 언어유희이다. 상황에 맞는 기지와 재치가 필요한 두 사람의 지혜 대결에서 주인공 담낭은 언어유희를 통해 태수를 압도하고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談囊傳>의 문학적 특질과 의의 조도현 pp.407-431

<기초글쓰기> 교재의 분석과 개선 방안one 한주희 pp.479-501

Actually와 英語 强調語들의 連語 패턴에 대한 小考 한인석 pp.459-477

宋代 僞造紙幣 연구 : 朱熹의 唐仲友 탄핵 사건을 중심으로 정일교 pp.381-405

把同甫陳公 "下系民生" 這 "椿大義, 拆開收合" : 論陳亮的民生思想 조요단, 방여금 pp.433-458

고등학교 1학년 실용영어회화 교과서에 나타난 요청 화행의 공손성 전략 분석 우자영, 이정원 pp.237-261

기초 글쓰기의 학습목표 송기섭 pp.209-236

노마디즘을 통해 본『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는가?』 강준수 pp.5-26

대학생의 학술적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지도의 실제 : 논문작성법을 중심으로 김정숙, 백윤경 pp.57-84

디지털 시대, 한국 텔레비전드라마 창작 주체의 연결망 연구 : 2000년대 미니시리즈를 중심으로 윤석진 pp.263-300

미술관 소재 작품을 통해 본 인지와 성찰의 극작술 : 연극 <도쿄 노트>와 영화 <뮤지엄 아워스>를 중심으로 정우숙 pp.353-380

성경 언어 개정 양상 : 다니엘서의 자료를 바탕으로 권순구 pp.27-55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텍스트를 통해 본 '-느라고'의 사용 실태와 교육 방안 서혜라 pp.155-178

일치 현상에 관한 새로운 시각 이향천 pp.301-330

청소년 소설의 치유성 연구 : 『씁쓸한 초콜릿』과『파란 문 뒤의 야콥』을 중심으로 서기자 pp.131-154

취업 목적 자기소개서 모델의 비판적 검토 박찬수 pp.105-130

풍습희극과 메타드라마 : 에써리지의『멋쟁이』 정귀훈 pp.331-351

호손의『천국행 철도』에 나타난 초월주의와 미국사회에 대한 비판의식 민경택 pp.85-104

李梅窓과 薛濤의 漢詩 比較 硏究 고견, 손찬식 pp.179-208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전문학실 편, 한국고전소설해제집 上, 보고사, 1997. 미소장
2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한국고대소설총서 2, 통문관, 1959. 미소장
3 한국문학평론가협회, 문학비평용어사전 , 국학자료원, 2006. 미소장
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웅진출판주식회사, 1994. 미소장
5 김광순 외, 국문학개론 , 새문사, 2003. 미소장
6 장덕순, 한국설화문학연구 , 도서출판 박이정, 1995. 미소장
7 설화 에 나타난 진리의식 ; 『 거울 을 보고 놀란 사람들 』 형 과 『 아이 의 지혜 』 형 을 中心 으로 소장
8 김옥숙, 「한국구비지혜담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미소장
9 이민호, 「담낭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미소장
10 장인수, 「<담낭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미소장
11 쟁년설화 및 그 소설적 수용 연구 소장
12 <閔翁傳>을 통해 본 조선후기 이야기꾼의 존재와 고전소설 유통의 의미 탐색 소장
13 「요로원야화기」의 가치 갈등과 그 의미 소장
14 추 영, 「한국 수수께끼의 기능과 의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미소장
15 허순우, 「<소대성전>의 문체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