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지역투입산출모형은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모형작성에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간접적인 방법에 의한 모형 작성과 활용이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기존의 비조사법에 의한 모형작성이 기준모형을 과대추정(overestimate)하는 경향이 있다는 비판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들이 외생적인 최종수요 변화의 파급효과 추정에는 효과적이지만, 모형 작성과정에서 투입계수의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영향력계수나 감응도계수가 갖는 중요한 정보를 왜곡시킬 수 있음이 지적되고 있다. 최근 Kowalewski(2012)가 제안한 방법(MFLQ)은 아직 현실자료를 이용한 사례연구가 부족하여 모형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평가가 불충분하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경우 MFLQ방법이 제한적 통계자료를 이용하는 기초권역 분석에 적용가능한지, 또한 모형의 추정오차를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지 등을 분석함으로써 비조사법의 타당성과 적용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례분석결과 비조사법인 MFLQ방법은 가용 통계자료의 제약이 따르는 우리나라의 기초권역 투입산출모형 작성에 있어 유용할 뿐 아니라, 현실 적용가능성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경상북도, (2012),『경상북도 종합계획 (2012-2020)』. 미소장
2 교차거래(cross-hauling)가 지역간 교역 및 승수에 미치는 효과분석 : LQ와 entropy model 비교를 중심으로 소장
3 지역투입산출모형의 작성방법 연구 소장
4 최성관, (2013), 우리나라 기초권역의 성장잠재력 분석: 경북북부지역 사례,『한국경제통상학회 2013년 추계국제학술대회 논문집』, pp.551-562. 미소장
5 통계청, (2006), 『2005년 기준 사업체기초통계조사 보고서』. 미소장
6 한국은행, (2008), 『2005년 산업연관표』. 미소장
7 한국은행, (2009), 『2005년 지역산업연관표』. 미소장
8 한국은행, (1987),『산업연관분석해설: 원리와 이용』. 미소장
9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Input-Output Model for Regional Economic Analysis in Korea 네이버 미소장
10 Armstrong, H., Taylor, J.,(2000), Regional Economics and Policy, 3rd Edition, Blackwell. 미소장
11 Barro, R. J., Sala-i-Martin, X.,(2004), Economic Growth, 2nd Edition, MIT Press. 미소장
12 Choi, S., Ji, H., Zhao, X.,(2013), Can We Reveal the Growth Potentials with Input-Output Model at Sub-national Level?, Proceedings, 53rd Europ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Palermo, Italy. 미소장
13 On the Appropriate Use of Location Quotients in Generating Regional Input-Output Tables: A Comment 네이버 미소장
14 On the Appropriate Use of Location Quotients in Generating Regional Input–Output Tables 네이버 미소장
15 Hirschman, A.,(1958), The Strategy of Economic Development,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미소장
16 Kowalewski, J.,(2012), Regionalization of national input-output tables: empirical evidence on the use of the FLQ formula, HWWI (Hamburg Institute of International Economics) research paper 126. 미소장
17 Leontief, W.,(2009), Quantitative Input and Output Relations in the Economic System of the United States, Review of Economic Statistics,18(3), pp. 105-125. 미소장
18 Miller, R. E., Blair, P. D.,(2009),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s, 2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19 AN INTERREGIONAL INPUT-OUTPUT APPROACH TO THE EVALUATION OF NONSURVEY METHODS* 네이버 미소장
20 Nonsurvey techniques for constructing regional interindustry models 네이버 미소장
21 Stimson, R. J., Stough, R. R., Roberts, B. H., (2006),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2nd Edition, Springer. 미소장
22 Zhao, X., Choi, S., (2013a), On Constructing Regional IO Tables: Using an Improved Non-Survey Location Quotient, Korean Economic and Business Association 2013 Spring Conference Proceedings. 미소장
23 Zhao, X., Choi, S., (2013b), A Study on the Regionalization of Input-Output Tables with a Modified Location Quotient, 2013년 한국지역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및 후기학술대회, 서울대학교.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