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교육에서 디자인 사고 기반 창의력 증진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
|
최현아, 박재완
|
pp.677-686
|
|
|
|
산업디자인의 매체적 기능 연구. 2, 매체철학 관점에서 매체의 수용과 지각을 중심으로
|
최성익
|
pp.727-736
|
|
|
|
영화 <트랜센더스>와 폴 비릴리오의 담론에 나타난 테크노 디스토피아
|
박상현, 최승원
|
pp.749-758
|
|
|
|
산업디자인의 매체적 기능 연구. 1, 매체철학 관점에서 매체의 생산, 의도, 영향을 중심으로
|
최성익, 정석길
|
pp.717-726
|
|
|
|
디지털디자인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인문학 교육의 필요성 연구
|
김규현
|
pp.823-832
|
|
|
|
브랜드 이미지 상승을 위한 방법론적 측면에 관한 소고 : 국내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중심으로
|
서정욱, 김준교
|
pp.697-706
|
|
|
|
효율적 정보 전달을 위한 앱 디자인에 대한 분석 연구 : 지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네이버, 다음, 구글)을 중심으로
|
장아흠, 김희현
|
pp.799-809
|
|
|
|
헬스케어 제품-서비스 개발을 위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 : 산모들을 위한 육아 도우미 서비스를 중심으로
|
김보빈, 김원경
|
pp.759-768
|
|
|
|
Next TV에서의 콘텐츠 UX에 대한 전망 : MSMU(multi source multi use)를 중심으로
|
박은혜, 이예은, 김은진, 이다희, 이종성, 김성우
|
pp.895-904
|
|
|
|
미국 카툰 황금기의 애니메이션 시리즈에 나타나는 슬랩스틱 코미디의 영향 : 캐릭터 액팅을 중심으로
|
박민주
|
pp.811-821
|
|
|
|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의 미술관 에듀테인먼트 융합콘텐츠 필요성 연구
|
양연경
|
pp.737-748
|
|
|
|
제조 2.0 시대, 디자인 프로세스에 기반 한 지속가능한 디자인 방법에 대한 연구
|
김경아, 황성걸
|
pp.769-779
|
|
|
|
인간공학 관점에서의 심박측정 웨어러블 피트니스 트래커 형태인자(form factor) 연구
|
강동근, 정도성
|
pp.523-531
|
|
|
|
체압 분포도 측정을 통한 사무용 의자 편의성 평가지표 연구
|
노수현, 이병종, 권오성
|
pp.865-875
|
|
|
|
디자인 중요성 인식수준이 패키지의 조형요소와 이미지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적 효과
|
전윤희, 이철영
|
pp.843-851
|
|
|
|
데이터 시각화의 다양성 연구 : 예술 작품에 드러난 데이터 시각화
|
이수진
|
pp.887-894
|
|
|
|
색 유약을 위한 도자문양 모델링 방법 : 청자유약의 경계 효과를 중심으로
|
최정훈, 김응수, 조우석
|
pp.791-798
|
|
|
|
스마트사회에서 유러닝의 효율적인 교육시스템 방향 연구
|
최병오, 노권찬
|
pp.853-864
|
|
|
|
입체변환 영화의 스테레오 윈도우 위반 사례분석
|
김효인, 김형우
|
pp.511-521
|
|
|
|
올림픽 픽토그램 디자인의 인지도와 선호도에 대한 연구
|
박소연
|
pp.687-696
|
|
|
|
구조적 구성 중심의 컴퓨터그래픽 표현
|
김진희
|
pp.833-842
|
|
|
|
스마트폰 CMF 디자인 개발에서 빅데이터(big data) 분석기술 활용방안 연구
|
오인균, 김영미, 차성욱
|
pp.781-790
|
|
|
|
하이브리드 레인지 후드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침니 & 아일랜드 겸용제품을 중심으로
|
황정행
|
pp.707-716
|
|
|
|
토털 디자인컨설팅 모델 3D이론을 통한 중소제조업체의 디자인경영 연구
|
정광호, 박문형
|
pp.877-886
|
|
|
|
노출 콘크리트의 마감재 적용 현황 연구 : 1991년대 이후 실내건축 국내 사례를 중심으로
|
김주연, 김혜숙, 박재완
|
pp.31-38
|
|
|
|
캐릭터 디자인 수업에서 인물 캐릭터(얼굴) 이미지에 따른 색채 적용에 관한 연구
|
박가람, 김관배
|
pp.79-90
|
|
|
|
모바일 거래에서의 인터랙션 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
정지은, 반영환
|
pp.103-112
|
|
|
|
Analysis on the Personality Traits of Cutscene Preference in Action-Adventure Game
|
완소음, 조동민
|
pp.1-10
|
|
|
|
웨이파인딩의 구성 및 영향 요인에 관한 기초 연구
|
김신혜
|
pp.49-58
|
|
|
|
유권자 편의를 고려한 책자형 선거공보물 표지 요소에 관한 연구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사용된 책자형 선거공보물을 중심으로
|
최병일
|
pp.69-78
|
|
|
|
전자책을 위한 그래픽 인터랙티브 e-백과사전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성곤
|
pp.91-101
|
|
|
|
온오프라인 환경에서의 문제중심학습(PBL; Problem-Based Learning)이 디자인수업에 미치는 영향
|
박양미
|
pp.125-134
|
|
|
|
디자인 대학원 작품논문의 표절방지를 위한 연구윤리 교육 방안 : 디자인 연구노트 활용을 중심으로
|
김지인, 서인숙
|
pp.145-156
|
|
|
|
학부 중심 통합 디자인 교육의 이론과 실재
|
이상원, 김지은, 민경보, 이윤희, 임시은
|
pp.21-30
|
|
|
|
사실적 게임캐릭터 의상을 위한 표현방법의 변화 : 3D 가상 의상 프로그램을 활용한 차세대 콘솔게임을 중심으로
|
김석래, 안덕기
|
pp.39-48
|
|
|
|
디자인을 통한 박물관 브랜드 포지셔닝 사례연구 : 국립민속박물관 MI개선을 중심으로
|
최미옥, 김기영
|
pp.191-199
|
|
|
|
HCD 방법론을 통한 적정기술 적용 개선에 관한 연구 : 캄보디아 마을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
이봉만, 김원택
|
pp.1007-1018
|
|
|
|
의료기구디자인의 색채응용성에 관한 연구 : 티타늄발색을 중심으로
|
김종기
|
pp.973-980
|
|
|
|
감성기호로서 브랜드기호의 형성과 작용 : 브랜드디자인 과정에 의한 브랜드기호 형성을 중심으로
|
한기창
|
pp.959-971
|
|
|
|
Graffiti Research Lab의 핵티비즘 특성
|
유영재
|
pp.253-262
|
|
|
|
모바일 GUI에 나타난 디자인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 모더니즘과 미니멀리즘의 표현성격을 기반으로
|
김병주
|
pp.295-306
|
|
|
|
모바일 중심 IoT(Internet of Things) 서비스의 비전과 스마트 홈서비스의 디자인 방향 : 애플의 홈 킷 프레임웍(Home Kit Framework) 분석을 중심으로
|
이현진
|
pp.341-350
|
|
|
|
혁필화의 표현기법을 응용한 DTP 전용서체 개발을 위한 고찰
|
정지원
|
pp.351-358
|
|
|
|
작가주의 영화 속 다양한 예술장르의 타 작품 적용 사례연구 :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의 영화 "그녀에게"(2002)를 중심으로
|
이태훈
|
pp.135-144
|
|
|
|
수사학적 표현방법을 이용한 질의형 동적 다이어그램 사례연구
|
김성곤
|
pp.157-167
|
|
|
|
한국형 공기순환기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황정행
|
pp.181-190
|
|
|
|
특화장소의 정체성 지속을 위한 전략으로서의 장소 브랜딩 연구 : 신사동 가로수길, 압구정 로데오거리, 청담 패션거리를 중심으로
|
이민정, 김승인
|
pp.1031-1040
|
|
|
|
인지적 어포던스에 영향을 미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인터페이스 요소에 관한 연구 : 기능 아이콘을 중심으로
|
이재환, 김영혜
|
pp.201-210
|
|
|
|
셀프 뷰티 족(族)을 위한 냉온 피부마사지기 디자인개발사례 : 신속한 제품디자인 대응을 중심으로
|
김상문
|
pp.381-390
|
|
|
|
퍼소나 구성요소의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
정소영, 정석길
|
pp.407-416
|
|
|
|
정적 동적 형상에 있어서 아날로그이미지와 디지털이미지 특성의 실험적 고찰 : 2차원 도형을 중심으로
|
이진승
|
pp.427-437
|
|
|
|
소비자와의 협력적 가치 창조를 위한 플렉서블 브랜딩(flexible branding)에 관한 연구
|
김찬숙, 나건
|
pp.439-450
|
|
|
|
요가의 종류와 동작에 따른 현대 기능성 요가복 디자인 특성
|
임민정
|
pp.459-469
|
|
|
|
대학생의 전공과 성격에 따른 창의성 인식 비교
|
김원경, 이영선
|
pp.555-567
|
|
|
|
음양오행론을 활용한 오감 멀티 테라피 디자인 방법론 연구 : 사주명리학에 근거한 음양오행의 태과와 불급을 중심으로
|
최성수
|
pp.991-1006
|
|
|
|
저시력인의 G-mail 웹 접근성 개선을 위한 GUI 디자인 사용성 연구
|
박한진
|
pp.263-272
|
|
|
|
대중 예술적 차원에서의 산업디자인 방향 연구 : 앤디워홀의 예술적 특성과 디자인의 예술적 연계성을 중심으로
|
정혁비, 이명기
|
pp.113-123
|
|
|
|
모션 타이포그래피의 비주얼 펀 이미지 구성에 관한 연구 : 영화 오프닝 타이틀과 TV광고 시퀀스 사례를 중심으로
|
오호준
|
pp.169-179
|
|
|
|
스마트 모바일 서비스 디자인을 위한 린 UX 프로세스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이나연, 이지현
|
pp.273-282
|
|
|
|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채팅 룸을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 : 한국과 일본의 스마트폰 사용자를 중심으로
|
이지영, 김주섭
|
pp.283-293
|
|
|
|
뇌의 인지적 경험과 Limbic 유형에 따른 소비자 감정디자인 연구 : 디자인 체어를 중심으로
|
도희정, 김승인
|
pp.307-317
|
|
|
|
상암 DMC 디지털큐브 미디어 파사드를 활용한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 논고'의 비평적 타이포그라피 표현 방법론 연구 : 작품 <구원>의 제작 과정을 중심으로
|
박제성
|
pp.11-19
|
|
|
|
유아동 TV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성별에 따른 색채 분석 : EBS 유아동 3D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
김해수, 김석래
|
pp.59-68
|
|
|
|
전통옻칠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구두 제작 연구
|
김홍규
|
pp.329-340
|
|
|
|
가상현실에서 물리적 상황 변화의 대응을 위한 마찰음 제어 방법 연구 : 본인 단편영화 <Blind Touch>를 중심으로
|
정민섭, 전지윤
|
pp.359-370
|
|
|
|
3D지도 서비스의 조작기능에 대한 터치제스처 적합성 연구
|
최호정, 류한영, 박주현
|
pp.417-425
|
|
|
|
창의 역사적 변화를 통해 본 미디어 파사드에서의 창의 의미
|
김민지
|
pp.501-510
|
|
|
|
대구시 공공 픽토그램에 대한 인지 사용성 평가
|
민승기
|
pp.545-554
|
|
|
|
뉴 실버 여성의 의복유형에 따른 추구이미지 : 정장과 캐주얼웨어 중심으로
|
김차현
|
pp.569-580
|
|
|
|
창의적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스마트 콘텐츠 구현을 위한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연구
|
전지윤, 김경선
|
pp.581-590
|
|
|
|
디지털 조형 구축 변수에 따른 기초디자인 교육 : 제품디자인 디자인교육의 Rhino 3D와 CREO를 중심으로
|
조윤호, 유보현
|
pp.591-604
|
|
|
|
롱런 브랜드(long-run brand)의 패키지 컬러 변화에 따른 소비자 선호도 연구 : 식음료 패키지디자인의 컬러를 중심으로
|
이가영, 서인숙
|
pp.619-633
|
|
|
|
UX 디자인 방법론 기반 키네틱 스트리트 퍼니쳐 개발 : 서울역 주변 거리 노숙인을 중심으로
|
신용대, 박재완
|
pp.635-643
|
|
|
|
지속가능한 가로공공시설물 디자인의 사례 및 방향 연구
|
오승호
|
pp.645-654
|
|
|
|
서비스디자인과 창의적 통섭의 관계성 연구 : 공공서비스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
박순정
|
pp.1019-1030
|
|
|
|
PC 게임과 터치스크린을 적용한 모바일 게임 인터페이스디자인의 사용성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FIFA Soccer 14> 축구 게임을 중심으로
|
동염, 이혜원
|
pp.211-221
|
|
|
|
웹툰의 그림글자로 표현된 의성어·의태어의 효과성 분석
|
김치훈
|
pp.223-231
|
|
|
|
전시 가이드 프로그램의 현황과 전시 연계 프로그램의 필요성 연구 : 대림미술관 사례로 본 관람자 심층인터뷰 분석
|
김찬미, 김보연
|
pp.233-242
|
|
|
|
디자인경영 관점의 강소농 육성 전략에 관한 연구
|
안수지, 나건
|
pp.947-957
|
|
|
|
20·30대 직장인 남성들의 사회심리적 의식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김혜균, 박명희
|
pp.319-327
|
|
|
|
콘텐츠 관리 시스템(contents management system) 기반 웹 서비스에서의 디자인 역할에 관한 연구 : 워드프레스(wordpress) 기반의 웹 사이트 개발 환경을 중심으로
|
이현진
|
pp.371-380
|
|
|
|
박물관 체험 강화를 위한 오프닝 디자인 특성 연구
|
김수영, 최정아
|
pp.391-405
|
|
|
|
국악의 스플라인에 의한 한국 산수도의 지형 표현
|
유은경, 박남희, 김상욱
|
pp.451-458
|
|
|
|
유니버설 개념을 적용한 부산주변 해수욕장 사인시스템에 관한 연구 : 소외계층을 중심으로
|
우림립, 김준교
|
pp.533-543
|
|
|
|
N서울타워 주변의 공공시설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분석 : 내국인 및 외국인을 중심으로
|
피아우제, 서주환
|
pp.915-922
|
|
|
|
아모레퍼시픽(AP)의 글로벌 하이엔드(high-end) 브랜드 전략에 관한 연구 : 시슬리(Sisely)의 사례와 비교하여
|
오서현, 김승인
|
pp.981-990
|
|
|
|
기호학 관점으로 분석한 인터랙티브 아트와 관객의 관계 : 작품 'Mr. Lee Experiment'를 중심으로
|
성정환, 성희원
|
pp.243-251
|
|
|
|
광교호수공원 시설 및 프로그램 이용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서주환, 최유나, 김진오
|
pp.935-946
|
|
|
|
애니메이션 타이밍 감각 증진을 위한 두뇌기반 교수법 설계 : 키포즈 드로잉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
박성원
|
pp.923-933
|
|
|
|
학부과정에서의 디자인 스타트업(Start Up) 창업교육 프로그램 모델 제안 연구
|
차성욱
|
pp.471-480
|
|
|
|
공공디자인 정체성 수립을 위한 3D 시뮬레이션 연구 : 제주 시청광장의 현장조사를 중심으로
|
김기필
|
pp.481-489
|
|
|
|
'스캐너 다클리(A Scanner Darkly)'에 드러난 애니메이션 로토스코핑의 초사실적 표현에 관한 연구
|
정주훤, 이현석
|
pp.491-499
|
|
|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용자 관점에서의 벤드제스처 인터랙션에 대한 연구 :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
이람, 류한영
|
pp.605-617
|
|
|
|
형상기억합금을 활용한 동적 디자인 제품에서의 움직임 특성 유형화
|
김소영, 박재완
|
pp.655-663
|
|
|
|
토론토 에토비코 지역의 공공미술 사례연구
|
김문석, 오은석
|
pp.905-914
|
|
|
|
크루즈 선사를 위한 캐빈용 베딩 서피스패턴디자인 분석 및 개발
|
엄경희, 김형주
|
pp.665-675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