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의 참여 유형에 따라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그리고 삶의 만족도를 살펴보고,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은 참여 만족도가 비교적 높았으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는 그다지 높지 않았으며, 특히 교육형에 참여한 노인이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그리고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은 참여 만족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는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 중에 교육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노인 일자리사업을 확대, 시행함에 있어서는 교육형 위주로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으며,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제고를 위해서는 노인 일자리사업의 업무내용에 대한 교육의 강화 및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시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elderly participants in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their living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the influence of their participation satisfaction in the project on their living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nior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expressed a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with the project, but the level of their living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was not that high. The elderly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programs of the project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own participation, living and life. Second, the senior participants who were more gratified with their own participation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living and life. Third, the living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articipants were under the largest influence of their educational satisfaction, which was part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more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offered to step up the expansion of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In order to boost the living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more intensiv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on the job content of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and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ppropriate educational programs are required as well.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 텔레비전 음악버라이어티쇼의 성쇠 : TBC-TV의 '쇼쇼쇼' 를 중심으로 박용규 pp.51-63

연상단어 평가를 통한 아이콘 디자인 연구 하광수 pp.64-72

지방정부 재정건전화 방안 : 천안시를 중심으로 박종관 pp.112-123

다양한 눈의 특징 분석을 통한 감성 분류 방법 김윤경, 원명주, 이의철 pp.463-471

다문화 뉴스 제작 관행과 게이트키핑의 문화정치학 주재원 pp.472-485

악성코드 유사도 측정 기법의 성능 평가 모델 개발 천성택, 김희석, 임광혁, 김규일, 서창호 pp.32-40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의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하경분, 주민경, 송선희 pp.160-170

알코올중독자의 외상경험이 음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스트레스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우재희 pp.180-188

우울 및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용식 pp.189-197

성인의 건강상태, 건강행위가 당뇨병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 홍지연, 박진아 pp.198-209

라깡을 통해 본 김수현 작가의 남성 주체 인식 : 멜로드라마 <사랑과 야망>, <내 남자의 여자>를 중심으로 유진희 pp.41-50

문화를 이용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부산 남항시장을 중심으로) 김혜진 pp.73-86

중학생의 희망 및 공감과 행복감과의 관계 김영희, 고태순 pp.330-338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장벽에 미치는 효과 김종운, 이태곤 pp.339-349

대학만족도와 가족응집력이 지각된 속박감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과 희망의 조절효과 신선화, 정구철 pp.350-360

특발성 내반슬 여대생의 고관절 가동범위와 등속성 근력 김제영, 임승길 pp.210-217

모 윌렘스의 그림책에 나타난 유머 분석 강은진 pp.374-384

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 전공자들의 학습참여동기와 학업만족도 임효연, 이순민 pp.403-415

정보보호위협하에서 경제적인 데이터백업 운영 정책 분석 양원석, 김태성, 이두호 pp.270-278

스포츠센터 이용고객이 인식하는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만족, 고객신뢰 및 재등록의도와의 관계 김순희 pp.287-297

크루즈 기항지의 서비스가 크루즈 관광객의 여행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정승훈, 양성수 pp.306-314

포토샵 레이어 기능을 활용한 동양회화 구도수업 박하나, 허윤정 pp.361-373

자유교육의 전통과 하버드 교육 차제순, 이재현 pp.385-392

읽기 및 쓰기 학습 부진 아동을 위한 학습치료 프로그램 효과 : 다문화 아동을 대상으로 최은실 pp.393-402

중학생의 필기에 대한 인식, 실태 및 필기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정민선, 신나민 pp.416-428

인터랙티브 영상을 이용한 프로모션 앱 제작 연구 유왕윤 pp.429-437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생성된 OWL 온톨로지를 위한 탐색기 최지웅, 김명호 pp.438-453

빅데이터 환경에서 연속 질의 처리를 위한 리버스 k-최근접 질의 처리 기법 임종태, 박선용, 서기원, 이민호, 복경수, 유재수 pp.454-462

시청자 집단의 심의 인식·반응에 관한 연구 여현철, 정재하, 진창현 pp.87-100

OpenCL 기반 근사곡면 렌즈어레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김도형, 송민호, 정지성, 권기철, 김남, 김경아 pp.1-9

류머티스 환자 이력 데이터에 기반한 환자 플로우 모니터링 시스템 김준우, 이상철, 박상찬 pp.10-19

유연성, 전략유형, 관리회계정보특성간의 관계가 생산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재진 pp.218-226

조직공정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호텔기업의 고용형태를 조절효과로 권나경, 이상재, 김혜린 pp.237-246

시니어계층의 취업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연구 권기창 pp.124-136

노인의 사회활동, 자아 효능감,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 대전시 중구거주 노인 중심으로 전명수 pp.171-179

지방자치단체 농산물 쇼핑몰 운영 개선 방안 연구 임규홍 pp.279-286

EBS 라디오 '어른을 위한 동화' 프로그램의 그림책 콘텐츠 및 청취자를 위한 전략 분석 이란, 현은자 pp.315-329

모바일 P2P 네트워크에서 피어의 연결성을 고려한 그룹 기반 캐시 공유 기법 김재구, 윤수용, 임종태, 이석희, 복경수, 유재수 pp.20-31

예비 전역자의 노후생활인식이 노후설계준비에 미치는 영향 양태호, 임왕규 pp.137-150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임동호, 황지숙 pp.151-159

한국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부채금융 가능성 탐색 : SM엔터와 YG엔터 사례를 중심으로 김대원, 김성철 pp.227-236

서비스전달 특성과 충성도 관계에서 감정적 몰입의 매개역할 : 백화점 중심으로 최철재, 허영수 pp.255-269

퍼스널트레이너의 전문성이 회원의 PT만족 및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김경식 pp.298-305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폭력성 제재 분석 김유정 pp.101-111

CSR이 조직신뢰와 직업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임지은 pp.247-254

간호사의 동기부여, 조직공정성, 직무만족, 재직의도와의 관계 이윤신, 박성희, 김종경 pp.596-609

남자 중학생들의 권태성향과 게임중독의 관계 : 충동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임지영 pp.610-618

중소도시 구조물 개선을 위한 교량디자인 개발 연구 : 경남거창군 위천천을 중심으로 김기수 pp.506-513

스마트폰 게임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문재영 pp.723-729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 사용자를 위한 의사소통 측정도구 문헌분석 정소영, 김삼섭 pp.818-828

중국인의 한국 드라마 시청정도가 한류 지속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과 한류호감도와 문화유입 수용성의 다중매개효과 이희진 pp.514-526

SNS 기능적 속성이 주얼리 제품 및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태도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차진경, 진창현 pp.741-753

그래프 컬러링 문제를 활용한 초등학생을 위한 알고리즘 학습 박윤정, 문교식 pp.840-849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용미, 김근면, 정유희 pp.570-582

거래업체간 의사소통이 신제품 개발로 인한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경식, 이성호 pp.685-696

광복 이후 안양 수영장의 여가 콘텐츠적 의미에 관한 고찰 임석원, 박성수 pp.788-794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소비자 경험이 브랜드 자산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홍채 인식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를 중심으로 김신엽, 백지희 pp.677-684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영화 흥행 요인 분석 이오준, 박승보, 정다울, 유은순 pp.527-538

고충실도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 체계적 문헌 고찰 이정미, 소향숙, 김윤경, 김정이, 안민정 pp.850-861

공공기관 모바일 서비스 수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사용자 및 전문가 대상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고준, 손주희, 양성병 pp.706-722

미디어 교육 경험과 미디어 리터러시가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 : 중고등학생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원섭 pp.795-809

도시성장관리 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 경기도 31개 시 군을 평가 대상으로 조재경, 이대종, 안재홍, 이명훈 pp.754-775

특정 문화시설 집적지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안동시 종교문화타운 조성을 사례로 권기창, 윤성욱 pp.776-787

지역주민의 욕구에 따른 가족지원사업 필요에 관한 연구 김소희, 문수경 pp.551-561

요양병원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암성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 및 수행 정선진, 김계하 pp.649-660

입주기업의 성과관리 수용성이 창업보육센터 조직신뢰 및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진원, 강호정 pp.730-740

한국 학생들의 영작문 전략 : 텍스트 분석과 교사와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영화, 김선재 pp.829-839

창업가의 특성요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창업 멘토링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육창환, 전인오 pp.661-676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오지현 pp.873-884

복지시설 이용 청소년의 위험요인이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박선아, 이미림, 최재영 pp.539-550

정신과 환자를 위한 한국판 회복평가척도(Recovery Assessment Scale)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임경민, 신은식, 심선화, 정윤주 pp.628-638

간호대학생의 KCUE-Q1(Korean College & University Education Questionnaire)에 따른 비인지적 학습성과 김옥현, 최은주 pp.862-872

응급실 경유 정신 및 행동장애 입원환자들의 총진료비 비교 : 주상병과 부상병 환자 중심으로 최현식, 이현숙 pp.562-569

전담간호사 운영현황과 역할 실태 곽찬영, 박진아 pp.583-595

대학의 광고활동이 재학생의 학교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김동태, 이재원 pp.697-705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실행 수준과 장애 요인과의 관계 김지영 pp.810-817

수도권 대학병원 행정 직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황경일, 이일현, 이현실 pp.639-648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 김금이, 이보영 pp.885-896

<지슬>의 스타일 분석 : 배리 솔트의 통계적 분석을 중심으로 김정호, 김학민 pp.486-505

대학생의 불안, 취업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최승혜, 이해영 pp.619-627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최영완, 한국 노인의 여가생활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미소장
2 박광준, 고령사회의 노인복지정책, 현학사, 2004. 미소장
3 박현정, 농촌거주 노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에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미소장
4 장유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가 사회적 자본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미소장
5 G. Naegele and K. Kramer, “Recent developments in the employment and retirement of older workers in Germany,” Journal Aging Social Policy, Vol.13, No.1, pp.69-92, 2001. 미소장
6 Older workers, families and public policies 네이버 미소장
7 변재관, 한국에서의 고령자 고용정책의 현황과 정책방안,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06. 미소장
8 이문국,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자가구의 탈빈곤 결정요인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미소장
9 노인일자리사업의 현황과 쟁점 소장
10 보건복지가족부, 2009년도 노인 일자리사업안내, 2009. 미소장
11 R. J. Havighurst and R. Albrecht, Older People, New York: Longmans., 1953. 미소장
12 The Impact of the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Life-Satisfaction of the Elderly 소장
13 E. Cumming and W. E. Henry, Growing older:The process of disengagement, New York:Basic Books, 1961. 미소장
14 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소장
15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네이버 미소장
16 W. Burr, R. D. Leigh, and J. Constantine, Symbolic and the Family, In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edited by W. Burr, New York: The Free Press, 1979. 미소장
17 A social-psychological perspective on aging. 네이버 미소장
18 M. Medley,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Persons Sixty-Five Yours of Age and Elder,”Journal of Gerontology, Vol.31, No.4, pp.448-455, 1976. 미소장
19 김신숙,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에 따른 생활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미소장
20 서수오,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에 따른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미소장
21 김경희, 노인일자리 참여자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미소장
22 윤석구, 노인의 일자리사업 참여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미소장
23 신희팔, 노인 일자리사업이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동작구 노인 일자리사업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미소장
24 A causal model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네이버 미소장
25 박희영, 재취업이 고령자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미소장
26 최은희, 노인 일자리사업이 참여자의 삶의 질에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미소장
27 민진암,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미소장
28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on Project Effectiveness of Employment Promotion Project for the Elderly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