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비상장기업이 상장기업이 되고자 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주식공모를 통한 신규상장이고, 다른 하나는 비상장기업이 상장기업과 합병 등의 기업결합을 통해 상장효과를 누리는 우회상장이다. 후자인 우회상장의 경우는 전자와 달리 신규상장의 요건과 절차를 거치지 않고 상장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점에서 기술력과 성장성을 갖춘 비상장기업이 단기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기업 이미지 제고와 금융시장 접근성 확보 등의 상장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우회상장기업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초기 수준에 머물러 있고, 또한 이익의 질 관점에서 우회상장기업들을 다룬 선행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논문은 신규상장과 우회상장의 상장요건과 절차의 차이로 인하여 우회상장을 앞둔 비상장기업(이하 우회상장기업)의 상장 전 이익의 질이 신규상을 앞둔 비상장기업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규제기관의 2006년도 우회상장에 대한 규제강화 노력에 효과성이 있는가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규제강화 전후기간에 우회상장기업의 이익의 질이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 기업은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코스닥시장에 우회상장한 221개 비상장기업과 비교 대상 표본으로 같은 기간에 신규상장한 448개 기업이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우회상장기업의 상장 전 이익의 질은 신규상장기업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엄격한 신규상장의 상장기준을 충족시키기 어려운 비상장기업들이 우회상장을 선택하여 시장에 진입했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2006년 6월의 ‘우회상장 규제강화조치’ 전후 기간에 우회상장한 기업들의 상장 전 보고이익의 질은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현행 상장요건의 외형적 기준만을 강화한 2006년의 규제강화조치는 우회상장을 시도하는 비상장기업의 이익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며, 또한 상장절차의 보완과 함께 신규상장 요건과 같이 질적 기준을 포함해야 함을 의미하고 있다.
There are two ways of becoming listed firms for unlisted firms. One is initial public offering(IPO) and the other is backdoor listing(BL). The BL has simpler listing requirements and procedures than the IPO. Unlisted firms with short history, small firm size, high technology, and high growth rate can become listed firms through BL at a low cost and thus can enhance public recognition and increase financing capabilities. The BL can give diversification advantage and synergy effect to unlisted firms and can increase vigor for the stock market with the combination of listed firms and unlisted firms.
The research on the BL firms is at early stage, and it is hard to find a prior research in accounting area.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the earnings quality of the BL firms before listing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IPO firms.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difference of the earnings quality of the BL firms prior to listing before and after 2006 when the regulations of BL strengthened.
As measures of earnings quality, this research uses persistence, predictability, earnings management, and conservatism which were discussed in Dechow et al.(2010). The number of BL firms analyzed in the paper is 221 which were listed in KOSDAQ from 2001 to 2010.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arnings quality of the BL firms before listing is lower than that of IPO firms. This implies that the unlisted firms having difficulty to meet the strict IPO listing requirements and procedures may have chosen BL to enter the market. Second, the earnings quality of the BL firms before and after the 2006 regulations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result means that the new quantitative requirements of the regulation for BL do not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earnings quality of the BL firms.
The findings of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studies on the BL which have been neglected so far in accounting and finance area.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CSR 활동의 우수성이 기업의 보수적 회계처리에 미치는 영향 | 양준선, 여영준, 권오진 | pp.1931-1961 | ||
보완적 혁신의 확산 : eBook 사례를 중심으로 | 박철순, 박상선 | pp.1963-1991 | ||
정보기술 사용의도의 결정요인 : SNS에서의 커플링 효과를 중심으로 | 박경자, 고준 | pp.2155-2174 | ||
소비자 관여도가 SERVQUAL 품질평가에 미치는 영향 | 박상준 | pp.2067-2089 | ||
지식공유활동 및 커뮤니티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자발적 지식제공의지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전문·비전문 지식커뮤니티를 중심으로 | 고윤정, 강주선, 김종기, 고일상 | pp.2175-2199 | ||
금융 정보화 프로젝트의 위험요인에 대한 발주자와 수행자 간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 상호지향성 모델 적용을 중심으로 | 김정수, 이영면 | pp.2201-2232 | ||
무형자산과 유형자산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 | 조성표, 박선영, 김성용 | pp.2039-2066 | ||
Effects of Website Quality on Users' Perceived Responses and Loyalty | 김소현, 허정호, 김준호 | pp.2117-2153 | ||
한국 기업의 환노출관리에 관한 문헌연구 | 권택호 | pp.2011-2037 | ||
페이스북을 활용한 미디어 기업의 뉴스 콘텐츠 제공 전략과 소비자 반응 | 황유선 | pp.2091-2116 | ||
브랜드 지속성과 재무적 성과 | 오희장 | pp.1993-2010 | ||
조직건강의 개념적 모델과 측정도구(organizational health questionnaire: OHQ) 개발 및 구성타당도 검증에 관한 연구 | 김정은, 유규창 | pp.1876-1904 | ||
우회상장제도가 이익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최성호, 최관 | pp.1845-1874 | ||
제품 경험 기간에 대해 지각된 시간적 거리가 소비자 번들 구성 선택에 미치는 영향 | 박지혜 | pp.1906-1930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Earnings Management of Back Door Listing Firms in the KOSDAQ market | 소장 |
2 | 금융감독위원회(2006), “코스닥시장 우회상장 관련 제도개선”. | 미소장 |
3 | 이익의 질의 개념에 관한 연구 | 소장 |
4 | 김인호(2008), “비상장기업의 IPO, 기업매각, 우회상장의선택 결정요인에 대한 비교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 미소장 |
5 | 우회상장기업의 특성과 우회상장의 효과 : 코스닥시장을 중심으로 | 소장 |
6 | The Matching Principle and Earnings Quality | 소장 |
7 | The Effects of Internal Control over Financial Reporting on the Occurrence of Accounting Error | 소장 |
8 | 유상수․양동우(2011), “우회상장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증권학회 발표논문, 1-23. | 미소장 |
9 | 신규상장기업의 이익조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 |
미소장 |
10 | 최운열․이호선(2006), “우회상장은 IPO와 무엇이 다른가?: 코스닥기업을 중심으로,” 한국증권학회 발표논문, 1-26. | 미소장 |
11 | Earnings Management around Initial Public Offerings in KOSDAQ Market Associated with Managerial Opportunism | 소장 |
12 | 한국거래소(2010), “우회상장 질적심사제도 도입, 국제회계기준(IFRS) 시행에 대비한 진입․퇴출요건 정비 등 상장규정 개정”. 한국거래소, “코스닥상장규정”. | 미소장 |
13 | The determinants and survival of reverse mergers vs IPOs ![]() |
미소장 |
14 | Ball, R., and L. Shivakumar(2008), “Earnings quality at Initial Public Offerings,”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45(2-3), 324-349. | 미소장 |
15 | The conservatism principle and the asymmetric timeliness of earnings1 ![]() |
미소장 |
16 | Financial Analyst Assessment of Company Earnings Quality ![]() |
미소장 |
17 | Brown, P., A. Ferguson, and P. Lam(2010), “What’s in a shell?: Analysing the gain to shareholders from reverse takeovers,” Working Paper. | 미소장 |
18 | The Value of Capital Market Regulation: IPOs Versus Reverse Mergers ![]() |
미소장 |
19 | An analysis of intertemporal and cross-sectional determinants of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s ![]() |
미소장 |
20 | Dechow, P., W. Ge, and C. Schrand(2010), “Understanding earnings quality: A review of the proxies, their determinants and their consequences,”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50(2-3), 344-401. | 미소장 |
21 | Floros, I. V., and R. A. Sapp(2011), “Shell games:On the value of shell companies,” Journal of Corporate Finance, 17(4), 850-867. | 미소장 |
22 | Costs of Equity and Earnings Attributes ![]() |
미소장 |
23 | Backing into being public: an exploratory analysis of reverse takeovers ![]() |
미소장 |
24 | Gleason, K. C., R. Jain, and L. Rosenthal(2008), “Alternatives for going public: Evidence from reverse take overs, self-underwritten IPOs, and traditional IPOs,” Working Paper. | 미소장 |
25 | Correcting for Cross-Sectional and Time-Series Dependence in Accounting Research ![]() |
미소장 |
26 | Sample Selection Bias as a Specification Error ![]() |
미소장 |
27 | Performance matched discretionary accrual measures ![]() |
미소장 |
28 | Fundamental Information Analysis ![]() |
미소장 |
29 | The Relation between Stock Returns and Accounting Earnings Given Alternative Information ![]() |
미소장 |
30 | Schipper, K.(1989), “Commentary on Earnings Management,”Accounting Horizon 3(4), 91-102. | 미소장 |
31 | Earnings Management and the Long‐Run Market Performance of Initial Public Offerings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