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논문에서 우리가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아프리카 작가들의 주요특징인 언어 혼종성과 그 번역의 문제이다. 언어 혼종성은 아프리카 작가들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중요한 문학적 수단이자 독특한 글쓰기를 추동하는 힘으로 작용하지만, 번역의 장애물로 작용하기도 한다. 근대국민국가간의 번역은 한 편으로는 민족, 언어, 문화를 균질적이고 단일한 실재로 상정하는 굳건한 믿음 위에, 다른 한 편으로는 원문/번역문, 원천언어/목표언어, 출발문화/도착문화를 철저히 구분하는 이분법에 기대어 왔는데, 근래 이러한 번역의 기본 전제, 즉 각각의 언어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단일 구조물이라는 언어관과, 번역은 언어⋅지리적으로 뚜렷하게 분리되는 두 언어⋅문화 간에 이루어지는 활동이라는 암묵적 전제를 위협하는 새로운 텍스트들이 출현하고 있다. 언어 혼종성을 실천하는 작가들의 작품이 그것이다.
언어 혼종성에 대한 논의는 번역에 대한 기존의 시각과 사유 방식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하는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지만, 번역학은 아직 이 새로운 유형의 텍스트가 제시하는 문제들에 대해 적절한 이론적 대응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A. 쿠루마Kourouma의 『알라에겐 그럴 의무가 없지』(Allah n’est pas obligé)의 한국어 번역본 『열두 살 소령』을 살펴보면서, 다언어 텍스트의 번역 과정에서 부딪치게 되는 이론적, 실제적 난관들을 탐사하고, 이 쉽지 않은 과제 앞에서 이제까지의 번역가들이 취한, 그리고 미래의 번역가들이 취할 수 있는 해결의 가능성들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Cet article, de caractère exploratoire, a pour but de s’interroger sur leproblème théorique et pratique que pose la traduction des textesplurilingues.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1930년대 시에서 니체주의적 사상 탐색의 한 장면. 1, 구인회의 '별무리의 사상'을 중심으로 | 신범순 | pp.11-58 | ||
김기림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산책자'의 시선과 꿈의 '리얼리티' | 김정현 | pp.59-93 | ||
동아시아 문학과 여성 : 나혜석, 요사노 아키코, 장아이링을 중심으로 | 최정아 | pp.95-130 | ||
'국어'는 근대적 기본 개념어인가? | 이병기 | pp.133-164 | ||
김승옥의 각색 작업에 나타난 여성 재현과 윤리 의식 연구 | 이은영 | pp.165-198 | ||
「샘물 세 모금」에 나타난 알레고리와 한국 아동문학가의 에크리튀르 : 판타지 소설,「반지의 제왕 」·「해리포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창현, 김경화, 안상원, 이노미, 정혜선 | pp.199-226 | ||
디즈니랜드와 헤테로토피아 : 『다니엘서』,『마법의 왕국』,『공개화형』 | 정상준 | pp.227-262 | ||
지배와 저항의 문자 : 서구 중세사회를 중심으로 | 최경은 | pp.263-291 | ||
다언어 글쓰기와 번역의 문제 | 선영아 | pp.293-324 | ||
『개벽』의 종교적 사회운동론과 일본의 '종교철학' | 허수 | pp.325-355 | ||
20세기 초 중국의 근대국가 구상과 러시아 1차 혁명 | 양일모 | pp.357-389 | ||
조선 후기 래지덕(來知德) 역학(易學)의 수용과 비판 | 김영우 | pp.391-420 | ||
미국 불교명상 수행의 비교연구 : 선, 티베트명상, 위빠사나를 중심으로 | 장은화 | pp.421-452 | ||
지속가능성(Nachhaltigkeit) 개념의 형성사 : 18세기 독일 산림학 이론과 실제에서의 의미내용을 중심으로 | 김화임 | pp.453-478 | ||
미시사로 읽는 조선 사인의 의약생활 : 신동원(2014),『조선의약생활사–환자를 중심으로 본 의료 2000년』, 들녘, 951쪽 <서평> | 신규환 | pp.481-491 | ||
근대전공 문학자가 본 죽음의 역사 : 황훈성(2013),『서양문학에 나타난 죽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508쪽 <서평> | 윤민우 | pp.493-505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종건 (옮김) (2012), 피네간의 경야 , (제임스 조이스), 고려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2 | 유정애 (옮김) (2008), 열두 살 소령 , (아마두 쿠루마), 미래인. | 미소장 |
3 | Joyce, James (1981), Finnegans wake, trad. Ph, Lavergne, Paris, Gallimard. | 미소장 |
4 | Kourouma, Ahmadou (2004), Quand on refuse, on dit non, texte établi par Gilles Carpentier, Paris, Seuil. | 미소장 |
5 | Kourouma, Ahmadou (2000), Allah n’est pas obligé, Paris, Seuil. | 미소장 |
6 | Millogo, Samuel et Bissiri, Amadou (traducion) (1998), Sozaboy (pétit minitaire), roman écrit en “anglais pourri”(Nigeria), Arles, Actes Sud. | 미소장 |
7 | Saro-Wiwa, Ken (1998), Sozaboy (pétit minitaire), roman écrit en “anglais pourri”(Nigeria), traduction de S. Millogo et A. Bissiri, Arles, Actes Sud. | 미소장 |
8 |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Juvenile Novels and Literature Education | 소장 |
9 | 사카이 나오키(2005), 후지이 다케시 옮김, 번역과 주체 , 이산. | 미소장 |
10 | La langue du “p`tit negre” et le francais “brise” -diglossie dans l`ecriture d`A. Kourouma- | 소장 |
11 | Mode d’emploi du français en Afrique –africanisation du français et écriture– ![]() |
미소장 |
12 | Rupture ou communication ? Écriture contradictoire d'Ahmadou Kourouma dans Allah n'est pas obligé | 소장 |
13 | 앙투완 베르만, 윤성우⋅이향 옮김(2011), 번역과 문자: 먼 것의 거처 , 철학과현실사. | 미소장 |
14 | Anzorgue, Isabelle (2006), “‘Du bledos au toubab’. De l’influence des langues africaines et des français d’Afrique dans le parler urbain de jeunes lycéens de Vitry-Sur-Seine”, Le Français en Afrique, n°21, pp. 59-68. | 미소장 |
15 | Badday, Moncef S. (1970), “Ahmadou kourouma, écrivain africain”, Afrique littéraire et artistique, n°.10, pp. 2-8. | 미소장 |
16 | On Translating Pidgins and Creoles in African Literature ![]() |
미소장 |
17 | Translation as Culture Transfer: Evidence from African Creative Writing ![]() |
미소장 |
18 | Bassnett et Trivedi (éds.) (1999), Postcolonial Translation:Theory and Practice, London, Pinter. | 미소장 |
19 | Berman, Antoine (1999), La traduction et la lettre ou l’auberge du lointain, Paris, Seuil. | 미소장 |
20 | Bissiri, Amadou (2000), “De Sozaboy à Pétit Minitaire. Par-delà la traduction, les enjeux”, Anglophonia/Caliban, pp. 211-224. | 미소장 |
21 | Castéran, Christian (1998), “Pétit Minitaire la fleur au fusil”, Jeune Afrique économie, août 1998. | 미소장 |
22 | Derrida, Jacques (1987), Ulysse gramophone, suivi de Deux mots pour Joyce, Paris, Galilée. | 미소장 |
23 | Derrida, Jacques (1982), “L’oreille de l’autre:otobiographie, transferts, traductions”, Textes et débats avec Jacques Derrida (dir. C. Lévesque et C. McDonald),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 미소장 |
24 | Diop, Papa Samba (2005), “Comment traduire la littérature wolof en français? Exemple de Buur Tilléen et Doomi Golo”, D’une langue à l’autre:essai sur la traduction littéraire (dir. par M. Nowotna), Paris, Aux lieux d’être. | 미소장 |
25 | Gbanou, Sélom Komlan (2013), Allah n’est pas obligé d’Ahmadou Kourouma, Paris, Champion. | 미소장 |
26 | Grutman, Rainier (2004), “Multilingualism and Translation”, Routledge Encyclopedia of Translation Studies (ed. by M. Baker), London, Routledge. | 미소장 |
27 | Langue métissée et traduction : quelques enjeux théoriques ![]() |
미소장 |
28 | Makouta M’Boukou (1980), Introduction à l’étude du roman négro africain de langue française, Abidjan, NEA/CLE. | 미소장 |
29 | Mehrez, Samia (1992), “Translation and the Postcolonial Experience:the Francophone North African text”, Rethinking Translation, Discourse, Subjectivity, Ideology (ed. by L. Venuti), New York, Routledge. | 미소장 |
30 | Nabokov, Vladimir (1985), Intransigeances, trad. V. Sikorski, Paris, Julliard. | 미소장 |
31 | Oyono, Ferdinand (2006), Une vie de boy, Paris, Pocket. [1956, Julliard] | 미소장 |
32 | Patry, Richard (2001), “La traduction du vocabulaire anglais francisé dans l’oeuvre de Jacques Ferron:une impossible épreuve de l’étranger”, Méta, 46-3, pp. 449-466. | 미소장 |
33 | Rushdie, Salman (1992), “Imaginary Homelands”, Imaginary Homelands, London, Granta Books. | 미소장 |
34 | Sévry, Jean (1998), “Traduire une oeuvre africaine anglophone”, Palimpsestes, 11, pp. 135-149. | 미소장 |
35 | Entre les langues : Between de Christine Brooke-Rose ![]() |
미소장 |
36 | Translating for Children – World View or Pedagogics? ![]() |
미소장 |
37 | Suchet, Myriam (2009), Outils pour une traduction postcoloniale, Paris, Editions des archives contemporaines. | 미소장 |
38 | Tymoczko, Maria (1999), “Post-colonial writing and literary translation”, Postcolonial Translation Theory and Practice (ed. by S. Bassnett and H. Trivedi), London, Routledge. | 미소장 |
39 | Zabus, Chantal (1992), “Le Palimpseste de l’écriture ouest-africain francophone”, Texte africain et voies/voix critiques:essai sur les littératures africaines et antillaises de graphie française (éd. par C. Bouygues), Paris, L’Harmattan, pp. 185-20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