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這篇文章的核心結論如下 :
1. 我以爲副詞“已”的意義項目應該縮小。 因爲“已”的“太, 過, 甚”等意義本來在“已經”這個意義裏面包含着。 “太, 過, 甚”等意義实际上整个句子或者上下文表達出來, 絶不是動詞“已”的引伸義。
2. 我以爲從來看成助詞(語氣詞)的“已”不是虛詞。 “已”竝不是只能表達語法意義的功能成分, 就是實質的意義成分。 “已”就是動詞。 “已”的共通意義就是依靠上下文使用以“停止”爲中心的各種詞彙飜譯得出來。 這些詞彙也包括“完成, 完畢”等意義。 在這個共通意義下有些句子也具有表達“(只是)~罢了”的意義的语境。 只有这时候我们可以翻成“(只是)~罢了”。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古代漢語 '已'의 품사 분별과 의미항에 대한 몇 가지 의문 : 副詞의 의미항·助詞(語氣詞)의 인정 여부를 중심으로 | 안기섭 | pp.1-13 | ||
汉语"声母加韵母ao"的汉字与韩国语汉字词读音对应规律研究 | 박중규, 정예은, 윤상은 | pp.15-32 | ||
『傷寒雜病論』의 언어학적 연구 : 者자구를 중심으로 | 유영기 | pp.33-68 | ||
≪禮記·緇衣≫ 중 인용된 ≪尹誥≫ 구절에 대한 고찰 | 최남규 | pp.69-86 | ||
<儿女英雄传>承接连词考察 | 송선엽 | pp.87-110 | ||
中韩惯用语所体现的文化内涵对比 | 김진희 | pp.111-130 | ||
시간부사 '在'의 상 표지 인정여부에 관한 초탐 | 김미성 | pp.131-147 | ||
韩国语程度副词'너무'和汉语'太'的比较 | 夏晓雨, 한용수 | pp.149-165 | ||
예체능 계열 학생을 위한 교양 중국어 교재 개발 연구 : Y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구현아, 장린, 김영옥 | pp.167-198 | ||
≪論語≫ '無友不如己者'에 대한 解釋 試探 : 君子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김진희 | pp.199-220 | ||
蘇軾의 '墨癖'과 '癖'의 禪家的 轉換 : ≪東坡題跋≫을 중심으로 | 전가람 | pp.221-249 | ||
명 전기를 통한 애정정표의 작용에 대한 고찰 | 이금순 | pp.251-260 | ||
浅析中国后现代话剧的发展演进及其文化学意义 | 이상우 | pp.261-272 | ||
论萧萧新诗中「意念」与「意象」的纠結 | 段文菡 | pp.273-290 | ||
2000년 이후 중국 詩의 창작경향과 연구동향 : ≪中國詩歌硏究動態·新詩券≫을 중심으로 | 김자은 | pp.291-314 | ||
论中国大学的历史发展与现存问题 : 从模式移植的角度 | 손흥봉 | pp.315-329 | ||
다문화가정 안정적 정착을 위한 인재 양성 방안 연구 : 중화권을 중심으로 | 정영호, 장혜정 | pp.331-349 | ||
互联网时代的诵读模式探究 | 호서미 | pp.351-363 | ||
『송가황조(宋家皇朝)』를 보는 어떤 한 장의 지도. 下 | 김정욱 | pp.365-393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論語』 | 미소장 |
2 | 『孟子』 | 미소장 |
3 | 『詩經』 | 미소장 |
4 | 『楚辭』 | 미소장 |
5 | 『書經』 | 미소장 |
6 | 『禮記』 | 미소장 |
7 | 『春秋左氏傳』 | 미소장 |
8 | 『國語』 | 미소장 |
9 | 『戰國策』 | 미소장 |
10 | 诸子百家書 | 미소장 |
11 | 『史記』 | 미소장 |
12 | 『漢書』 | 미소장 |
13 | 王海棻, 趙長才, 黃珊, 吳可穎共編, 『古漢語虛詞詞典』, 北京大學出版社, 1996. | 미소장 |
14 | 『古代漢語虛詞詞典』, 商務印書館, 1999. 2. 초판[2001. 8. 第4次인쇄]. | 미소장 |
15 | 『辭源』, 商務印書館, 1987. 10(香港第1版), 1989. | 미소장 |
16 | 楚永安,『文言複式虛詞』, 中國人民大學出版社, 1986. | 미소장 |
17 | 袁仁林,『虛字說』(1710), 中華書局, 1989. | 미소장 |
18 | 王引之,『經傳釋詞』(1798), 世界書局, 1970. | 미소장 |
19 | 鄭尊外, 『古漢語語法學資料彙編』, 文海出版社, 1972. | 미소장 |
20 | 馬建忠,『馬氏文通讀本』(1898), 呂叔湘․王海棻編, 上海敎育出版社, 1986. | 미소장 |
21 | 王力,『漢語語法史』, 山東敎育出版社, 1990. | 미소장 |
22 | 楊伯峻,『文言文法』, 中華書局, 1982[1987]. | 미소장 |
23 | 楊伯峻․何樂士,『古漢語語法及其發展』, 語文出版社, 1992. | 미소장 |
24 | 孫良明,『古代漢語語法變化硏究』, 語文出版社, 1994. | 미소장 |
25 | 廖序東,『文言語法分析』, 上海敎育出版社, 1981. | 미소장 |
26 | 李林,『古代漢語語法分析』,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6. | 미소장 |
27 | 許仰民,『古漢語語法新編』, 河南大學出版社, 2001. | 미소장 |
28 | 許璧,『中國古代語法』, 新雅社, 1997. | 미소장 |
29 | 易孟醇,『先秦語法』, 湖南敎育出版社, 1989. | 미소장 |
30 | 程湘淸主編,『先秦漢語硏究』, 山東敎育出版社, 1992. | 미소장 |
31 | 程湘淸主編,『兩漢漢語硏究』, 山東敎育出版社, 1985. | 미소장 |
32 | 안기섭,『新體系漢文法大要-先秦兩漢시기』, 보고사, 2012. 9. | 미소장 |
33 | 안기섭, 「古代漢語被動義전달체계와 관련 詞의 詞性」,『중국어문론집』제15호, 2000. 10. | 미소장 |
34 | A Study on the Absence of the Auxiliary Verb in the Ancient Chinese | 소장 |
35 | The ancient Chinese language sentence composition and phrase research (1) - The adverb of adverbial phrase is a lord with non-adverb of adverbial phrase. | 소장 |
36 | 先秦-兩漢 漢語의 품사 체계 新論 : 품사 분류의 한계와 효용을 중심으로 | 소장 |
37 | 고대한어 '乃, 則, 且'의 부사성 | 소장 |
38 | introspection about the description of meaning types represented by the 'predicate+object' in the ancient Chinese | 소장 |
39 | A new study on the function of the auxiliary word ‘Zhi’ in the ancient Chinese | 소장 |
40 | An approach on the non-grammatical feature of the classifying parts of speech in the archaic Chinese | 소장 |
41 | question about the prepositional function of the ‘於(于)’ in the archaic Chinese | 소장 |
42 | question about the conjunctional function of the ‘而’ in the archaic Chinese | 소장 |
43 | 古代漢語 ‘者’의 構造[結構]助詞性에 대한 의문 — 先秦⋅兩漢 시기의 기본 통사 형식에 근거하여 — | 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