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도심 속에 위치한 사랑유치원 만 5세반 유아 28명을 대상으로 유치원 텃밭 가꾸기 활동 방안을 마련하여 실행한 후 텃밭 가꾸기 활동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경험을 살펴본 실행연구이다. 연구절차는 텃밭 가꾸기 활동과 관련된 문제점 인식, 활동 계획, 실행 및 반성적 사고, 그리고 평가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1차 실행에서는 텃밭 가꾸기 활동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텃밭 가꾸기에 대한 유아들과 학부모의 관심을 이끌어내며, 유아․학부모․교사가 협력하여 텃밭을 가꾸어 나가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2차 실행에서는 유아들의 텃밭 가꾸기 활동을 격려하고 확장하였으며, 교육의 효과 증진을 위한 가정연계 활동을 강화하였다. 도심 속에 위치한 사랑유치원의 텃밭 가꾸기를 통해서 유아들은 탐구심을 키워나갔고, 바른 식생활습관을 형성하게 되었으며, 장래 희망이 다양화되면서 미래의 꿈을 키워나가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This action research aims at planning and implementing vegetable gardening activities in a class of 5-year-olds at Sarang Kindergarten located in an urban area. The teacher had recognized difficulties related to vegetable gardening activities, and made plans to address them, implement activities, and to modify them based on reflections and evaluations of previous activities. The first phase of the research included acquiring areas for vegetable gardening activities, reinforcing interests of children and parents in vegetable gardening activities, and collaborating with children and parents. The second phase of the research focused on encouraging and expandi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vegetable gardening activities as well as developing family involvement programs related to these activities. During the process, children at Sarang Kindergarten developed curiosity and a spirit of inquiry. In addition, they were able to build healthy eating habits and develop new visions for their futur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교사질문의 추상화수준과 유아의 어휘다양도 및 평균발화길이의 관계 최현주, 이지현 pp.1-25
그림책 읽기에 기초한 학습 도구어 교육 활동이 다문화 가정 유아의 학습 도구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김민진 pp.27-54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부모역량 교육을 통한 변화과정의 의미 탐색 이은경 pp.55-86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누리과정에 기초한 다문화교육의 실태 공민정, 김승희 pp.87-111
델파이 조사에 기반한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 김병만, 황해익 pp.113-142
도심 속 사랑유치원 유아들의 텃밭 가꾸기 활동을 위한 실행연구 최미순, 배지희 pp.143-172
만 5세 유아들의 자유놀이에서 출현하는 이야기의 힘 김선아 pp.173-197
수학적 표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문병환, 고경미, 정효은 pp.199-217
숲 활동에서 자연물 체험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병재, 김경수 pp.219-240
쌓기놀이영역에서 교사개입에 따른 유아의 창의적 행동 발현 양상분석 유구종, 양미옥 pp.241-270
안도 다다오의 건축이 유아교육기관 공간구성에 주는 함의 조민영, 김은주 pp.271-295
어머니의 심리적, 관계적 변인과 양육스트레스, 후속 출산의도의 구조적 관계 임효진, 박휴용, 장경은, 이지은 pp.297-318
예비부모의 부모됨에 대한 이미지 분석 : 남녀대학생을 중심으로 정계숙, 류수민, 한안나 pp.319-347
유아 공존소양 검사도구 개발 :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공존지향적 유아교육에 터하여 김숙자, 홍희주 pp.349-373
유아교사의 소진과 정서노동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차정주, 이효림 pp.375-393
유아교육기관 강점과 강점평가에 대한 암묵적 지식 연구 홍성희, 황해익 pp.395-418
유아교육기관의 여자교직원에게 비쳐진 남자교사의 모습 김세웅, 이대균 pp.419-452
유치원 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조사 : 유치원 관리자를 중심으로 김경희, 하정희 pp.453-471
조부모-손자녀 의사소통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양진희 pp.473-496
10~24개월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력 및 기질 간의 관계 신애선, 김영실 pp.497-519

참고문헌 (5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The Practice of Naturalism Early Childhood Education 소장
2 곽효민 (2009). 텃밭 가꾸기를 통한 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 구자림 (2011). 텃밭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영양지식 및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 The effects of nature-friendly education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language-expression ability and empathy 소장
5 김규상 (2010). 도심 초등학교 생태체험 교육장 설치방안에 관한 연구-옥상 공간 이용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5(4), 59-68. 미소장
6 Exploring the meanings of experiences with nature-friendly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characters 소장
7 김기봉 (2012).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 A Scene of Weekend Farm “ Our Family Happy Garden" : Meaning of Eco-Cyclic Vegetable Garden Activity Experience 네이버 미소장
9 김미화 (2012). 도시농업 활동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0 The teachers perspectives and practices on green growth education of 5-year-old Nuri curriculum 소장
11 김영희 (2014). 텃밭을 활용한 녹색식생활교육이 유아의 식습관과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2 김은주 (2003).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체계 및 실천원리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3 자연체험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환경적 태도와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소장
14 김충기 (2010). 도시텃밭과 텃밭교육의 중요성-아이들을 중심으로,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http://cafe.naver.com/dosinongup/ 에서 2014년 3월 12일 인출. 미소장
15 김희영 (2011). 유아를 위한 생태영성프로그램이 생명존중의식 및 대인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6 Analysis of Attitude Changes of Elementary Students toward Work through School Garden Experiences 소장
17 남미리, 김태연, 조유리 (2013). 초등 텃밭 가꾸기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 방안: 서울 00초등학교 동아리 활동을 통한 사례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7, 56-60. 미소장
18 노희영 (2012). 도시텃밭의 공동체 활성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9 Exploring the Meaning of Knowledge Chang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Vegetable Gardening 소장
20 Issues and problems of a nature-friendly education progra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a 소장
21 백경화 (2012). 학교 텃밭 가꾸기를 통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방안.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2 The effects of the cooperative nature-friendly activity program on child’s peer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소장
23 The Meaning of Gardening in Kindergarten 소장
24 오양희 (2011).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영양지식 및 식생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침례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5 Meanings of Nature-Friendly Early Childhood Curriculum on children's development: Focusing on ‘flower and tree’ related activities 소장
26 Development of inquiry-based nature-friendly education program using ICT for children 소장
27 The effect of the content-based naturalistic activity program on multiple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focused on five-year-olds 소장
28 이미선 (2013). 매일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인식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9 Demand and alternative task for civiliz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소장
30 The Effects of "Green Growth"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an Integrity Approach on Pro-Environmental Literacy of 5-year-old Children 소장
31 이혜원 (2012). 텃밭 가꾸기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생명존중태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2 이진철 (2012). 유치원 주변환경과 텃밭환경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및 과학적 탐구능력의 향상.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3 이혜원 (2012). 텃밭 가꾸기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생명존중태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4 초등학교 텃밭 이용 현황 조사 : 노원구, 송파구를 중심으로 소장
35 Users' Perception Analysis of Urban Allotments for Vitalizing Local Community 네이버 미소장
36 전선주 (2014). 텃밭 가꾸기와 연계한 언어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7 정미라 (2013). 텃밭 가꾸기와 산책 활동이 유아의 식습관 및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8 A study on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of life-esteemed education based on nature friendly model 소장
39 The Influence of the Nature friendly education activities on Children's Happiness and Self-Concept 소장
40 유아 텃밭활동 관련 연구 경향분석 소장
41 The Study about significant meaning and future direction of eco-friendl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소장
42 A study on the meaning of awareness & awareness level about green growth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소장
43 Effects of nature-friendly education through flow learning on young children’s science inquiring ability and science attitude 소장
44 천현미 (2007). 텃밭 가꾸기 활동 후 과학일지 쓰기가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5 The paradigmatic mean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in nature friendly early childhood program 소장
46 황미영 (2011). 아이들과 함께 하는 생활 작업(텃밭 가꾸기).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2011(1), 56-66. 미소장
47 A Study on the Legal System of Small Garden from the viewpoint of Urban Regeneration 소장
48 Children's peer interaction and eco-friendly attitudes: The effects of nature-friendly educational activities 소장
49 http://www.index.go.kr e-나라지표 미소장
50 The Child in the Garden: An Evaluative Review of the Benefits of School Gardening 네이버 미소장
51 Chun, M. A. (2009).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gardening activities on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ientific process skills. Master’s thesis, Kungsung University, Kwangju. 미소장
52 Young Childre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Future 네이버 미소장
53 Mac Naughton, G., & Hughes, P. (2013). 유아교육에서 실행연구하기[Doing action research in early childhood studies: A step by step guide](박은혜․이진화․고동섭․최혜윤 역). 서울: 창지사. (원전 2008 출판) 미소장
54 Rogoff, B. (1991). Social interaction as apprenticeship in thinking: Guidance and participation in spatial planning. In L. B. Resnick, J. Levine & S. D. Teasley (Eds.). Perspectives on socially shared cognition (pp.349-364).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