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논문은 『파르메니데스』편에서 소크라테스와 제논, 파르메니데스 사이의논의들이 역사적으로 있을 수 없는 플라톤의 허구적 구상에 불과하다면, 논의들을 전달했다고 하는 퓌토도로스와 안티폰, 그리고 현재 전달하고 있는 케팔로스를 포함하여 대화편의 전체의 구성이 플라톤의 허구적 구상일 수밖에 없다는 인식 하에, 대화편의 도입부에 나타난 극적인 배경설정을 플라톤의 허구적 구상이라는 차원에서 파악하면서 그것의 철학적인 함의를 밝혀내고자 한다. 그에 따르면, 전체의 대화편에서는 그 자신 자기 자신에 따라 있는 형상들에 대해 그것들의 필요조건인 어떤 것의 규정이 갖는 관계가 난제로 제시되는데, 도입부에서는 그런 문제 상황이아낙사고라스의 정신을 대변하는 클라조메나이 출신의 케팔로스의 손을 잡고 플라톤의 두 형제가 환영하고, 케팔로스의 일행이 언젠가 있었다고 하는 소크라테스와 제논, 파르메니데스 사이의 논의들을 듣겠다고 아테네에 와 청하고, 제논의 친애자인 퓌토도로스로부터 전해 들었다고 하는 안티폰이 그 논의들을 전달하는 것으로 설정되고, 이때 안티폰은 자연에 법을 굴레로 제시한 소피스트 안티폰으로 이해되며, 그의 역할은 그 논의들을 케팔로스 일행에게 전달한다고 하지만, 사실은 전달과 더불어 그 자신이 플라톤의 형제들 등등과 더불어 변증법적인 여행에 참여하는것으로 되어있다는 것이다. 플라톤은 이런 상황을 제논과 파르메니데스가 거기에 참여하기 위해 왔다고 하는 대 판아테나이아 축제로 표현하는데, 여기서 대 판아테네이아 축제의 철학적인 의미는, 이러저러한 사멸하는 인간 존재들이 각자가 각자의 방식으로 있는 것들의 진리에 대한 논의에 참여하는 것이다.
Der vorliegende Aufsatz versucht, die philosophischen Implikationen von Platons dramatischer Inszenierung im einleitenden Teil des Dialogs Parmenides herauszudeuten, in der Überzeugung, dass, wenn die Auseinandersetzungen des Sokrates mit Zenon und Parmenides im Dialog eine historisch unmögliche fiktive Inszenierung sind, dann ihre Übermittler Pythodoros, Antiphon und Kephalos aus Klazomenai auch fiktiv inszeniert sind, sodass der ganze Dialog fiktiv inszeniert ist. So versucht er anders als vorherige Untersuchungen, die philosophischen Impliktionen des einleitenden Teils auf der Ebene der platonischen Inszenierung herauszustellen.
Dem zufolge wird das Kernproblem des ganzen Dialogs als das des Verhältnisses zwischen dem an und für sich seienden Eidos und der Bestimmung von etwas als notwendige Bedingung zum Bestehen des Eidos dargestellt, und dies wird im einleitenden Teil so inszeniert, wie der Kephalos aus Klazomenai, der hier für den kosmischen Geist von Anaxagoras steht, in Athen gekommen ist, um von zwei Brüdern des Platon Adeimantos und Glaukon willkommen geheißen zu werden und um die Auseinandersetzungen unter Sokrates, Zenon und Parmenides von Antiphon zuzuhören, der seinerseits sie von Pythodoros gehört habe. Da versteht sich der Antiphon als Antiphon der Sophist, der der Natur das Gesetz als Zügel verlieht habe, und spielt seine Rolle als Übermittler der Auseinandersetzungen und damit zugleich als Teilnehmer an solcher dialektischen Reise mit Platons Brüdern und allen anderen, die daran interessiert sind.
Platon drückt diese Situation als große Panathenäen aus, derer philosophische Bedeutung darin besteht, dass verschiedene sterbliche Menschen jeder in seiner eigenen Weise an den Auseinandersetzungen über die Wahrheit des Seienden teilnehmen.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자기의식의 현상학 : 자기의식의 정적 현상학과 발생적 현상학을 중심으로 | 이남인 | pp.9-43 |
|
|
증오의 프리즘으로서의 일간 베스트 현상 읽기 : 파토스의 정치학과 윤리학은 가능한가? | 윤지영 | pp.171-207 |
|
|
타이완 생명교육의 전개와 시사점 | 양정연 | pp.109-132 |
|
|
마이모니데스의 부정과 아퀴나스의 유비 : 쟁점과 해석 | 이재경 | pp.77-108 |
|
|
헤겔 철학에서의 기억, 언어 그리고 사변적 사유 | 나종석 | pp.45-74 |
|
|
『파르메니데스』편의 도입부에 나타난 플라톤의 극적인 배경설정의 철학적 함의에 관한 연구 | 양태범 | pp.133-169 |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