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목적 : 작업치료사의 역량지표를 토대로 작업치료사의 역량수준을 진단해 보고, 다양한 변인 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작업치료사의 역량 진단을 위해 Ku (2014)가 역량모형 연구 과정에서 개발한 작업치료사 역량지표를 사용하였다. 역량지표로 질문지를 구성하여 임상 작업치료사에게 직접 실시하거나 우편으로 실시하여 총 337부를 회수하였다. 응답 결과를 통해 역량지표의 중요도와 보유도의 인식수준 차이를 알아보고, 성별, 근무 병원 유형 등 다양한 변인 간의 집단 차이를 검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사가 평정한 역량지표의 중요도는 4점대 중반의 높은 수준을 보인 반면, 자가진단한 역량보유도 인식수준은 3점대 후반으로 중요도보다는 전반적으로 낮은 평균 수준을 나타냈다. 변인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자가 여자보다 전문가의식과 자기관리 역량이 높았으며, 3년 이상 경력자가 이론적지식, 작업치료 수행, 자기관리에서 높게 나타났다. 연령은 30대 이후에서 대체적으로 역량 보유도 인식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지표의 중요도와 자신이 보유한 역량을 스스로 진단해 봄으로써 작업치료사가 역량을 유지하고 발전시켜 나가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작업치료사들을 교육 훈련시키기 위해 필요한 교육내용의 방향성을 제시해 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상황인식(Situation Awareness)에 기반한 운전능력 측정방법에 관한 체계적 고찰 박명옥, 정봉근 pp.1-13
국내 작업치료사의 역량수준 진단 연구 구인순, 정민예 pp.15-29
한글판 건강 증진 생활양식 프로파일(Korean Version of Health Enhancement Lifestyle Profile; K-HELP)의 개발 및 신뢰도 연구 정해윤, 정민예, 유은영, 강대혁 pp.31-43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 평가를 위한 한국형 캐서린 버지고 척도(K-CBS)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이복은, 최혜숙, 한수정 pp.45-56
노인 경도 인지장애를 위한 선별평가 항목 개발 조바회, 이재신, 김수경, 차태현 pp.57-71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이 연하장애를 동반한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에 미치는 영향 황나경, 이지영, 오동환, 박지수, 조영문, 이동건, 홍원진, 윤정애, 조영석 pp.73-84
CO-OP접근법이 뇌졸중 환자의 작업수행에 미치는 효과 : 예비연구 안시내, 유은영 pp.85-94
갑상선 절제술 환자의 연하장애 재활치료 : 사례연구 정준식, 박지혁 pp.95-106
MVPT-3를 사용한 전 학령기 아동의 시지각 능력에 대한 기초 연구 정혜림, 강건희, 김조은, 신수지, 용다은, 전근영, 김경미 pp.107-116
로봇을 이용한 왼손의 능동 보조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에 미치는 효과 : 단일대상연구 박진혁 pp.117-127

참고문헌 (2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hn, J. S. (2009). The study on the analysis of staff competence and direction in developing the learning program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Korea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6(2), 67-84. 미소장
2 Best Care Health Systems Incorporated. (2011). Initial Competency assessment skills checklist (Sample for occupational therapy assistant). Retrieved from http://bestcarehsi.com/jobde scriptions/OTAChecklist.pdf 미소장
3 Chun, K. H. (2010). Development of a competency based medical education mode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미소장
4 A Competency Modeling for Medical Education 소장
5 Boards. (2004). Ongoing competency model. Retrieved from http://www.cotrb.com.au/occ.htm 미소장
6 Jeong, W. M., Park, C. S., & Hwang, Y. J. (2013). A study on job competency of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ists: Focusing on job analysis in dementia 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1(3), 15-29. 미소장
7 Jung, M. Y., & Cha, Y. J. (2009). An analysis on the status and supply-demand of occupational therapi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7(4), 113-126. 미소장
8 Kim, D. H., Kim, S. E. (2013). Cultural competence and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c and Mental Health Nursing, 22(3), 159-168. 미소장
9 Analysis of the Factors and the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about the Capability Groups of the Mediator Manager in General Hospital and the Level of Performance 네이버 미소장
10 Kim, J. S. (2008). Development of competency and behavioral indicator of an administrator in long-term care facility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미소장
11 A Study on the job Analysis for New Nurse 네이버 미소장
12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2000).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job analysis. Seoul, Korea: Author. 미소장
13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2014). Status of occupational therapists. Retrieved from http://www.kaot.org/kaot/work_2.asp 미소장
14 Ku, I. S. (2014). Development of the competency model and indicators for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 (K-CIOT)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미소장
15 Ku, I. S., Hong, S. P., Kim, D. J., Hur, T. R., Jung, S. H., Kim, H. H., ... & Lee, J. E. (2013). Job analysis of occupational therapists engaged i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1(4), 107-109. doi:10.14519/jksot.2013.21.4.09 미소장
16 Lee, H. S. (2011). A survey of the core job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ir different job tasks depending on the therapist’s experience in years and different treatment area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9(1), 1-14. 미소장
17 Lee, H. S., Chang, K. Y., Jung, M. Y., Ku, I. S., & Woo, H. S. (2014). Job analysis of occupational therapists for 2013.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2), 89-108. doi:10.14519/jksot.2014.22.2.07 미소장
18 Lee, H. S., Jung, M. Y., Chung, B. I., Park, S. H., Yoo, E. Y., & Kang, D. H. (2010). Survey of job characteristics and practice analysis among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8(2), 1-21. 미소장
19 Lee, J. S., Jun, B. J., Kim, S. K., Jang, G. Y., Jung, M. Y., Yoo, E. Y., ... Ham, B. H. (2013).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actical examination of the national board for certific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work capability of inexperienced occupational therapi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1(1), 81-93. 미소장
20 Lee, Y. M. (2008). An analysis of instructional design competencies and current perception of states on them among employees in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Korean Journa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10(2), 47-64. 미소장
21 A Preliminary Study for Exploring the Attributes of being a "Good Doctor" 소장
22 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2015). Second job analysis occupational therapists. Retrieved from http://www.kuksiwon. or.kr/Publicity/ExamStatistic.aspx?SiteGnb=5&SiteLnb=2 미소장
23 Occupational Therapy Australia. (2010). Australian Minimum Competency Standards for New Graduate occupational therapists (ACSOT)2010. Retrieved from http://www.otaus.com.au/sitebuilder/aboutus/knowledge/asset/files/16/a ustralian_minimum_competency_standards_for _new_grad_occupational_therapists.pdf 미소장
24 Spencer, L., & Spencer, S. (1993). Competency at work: Model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NY: John Wiley and Sons. 미소장
25 World Feder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2002). Revised minimum standards for the educ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2002. Retrieved from http://www.wfot.org/store/tabid/61/ProductID/9/Default.aspx 미소장
26 Yong, J. H., Choi, H. S., Jeong, W. M., Lee, J. Y., Park, H. Y., Cho, B. Y., ... Hong, S. P. (2011). Job analysis of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based on the DACUM metho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9(2), 97-10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