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950년대 전통화단의 '인물화' / 송희경 1

국문초록 1

I. 서론 2

II. 국전 동양화부의 변동과 인물화 4

III. 서구 문예사조의 수용과 인물화 12

IV. 결론 19

참고문헌 23

도판목록 25

Abstract 35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18세기 지식인의 일본과 중국 사행 인식 비교 : 李鳳煥을 중심으로 김경숙 pp.7-37

보기
일제하 일본인 지주회사의 농장 관리 조직을 통해 본 식민지 지주제의 성격 하지연 pp.39-79

보기
냉전기 한국 지식인의 아시아·아프리카 상상 옥창준 pp.81-107

보기
기억의 탈역사화와 사이의 정치학 : 최정희의『녹색의 문』연작을 중심으로 허윤 pp.109-136

보기
1950년대 전통화단의 '인물화' 송희경 pp.137-172

보기
부성 실천을 통해 본 '돌보는 남성성'의 가능성 : 중간 계층 아버지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나성은 pp.173-212

보기
한자문화권에 대한 재검토 : 동아시아 3개 국어에 있어서의 한자의 표음성과 관련하여 성명진 pp.213-247

보기
일상어를 활용한 도자공예 전문용어의 학습 효용성 연구 김현아 pp.249-271

보기
경계, 그 차이와 생성의 긴장에 주목하는 시선 : 정지영,『질서의 구축과 균열-조선후기 호적과 여성들』(서강대출판부, 2015) <서평> 홍인숙 pp.275-286

보기
한국여성사의 동향과 전망 : 삼국~조선시대를 중심으로 정해은 pp.289-310

보기

참고문헌 (1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Kim Juhyeon [Kim Ju-hyun, 김주현], “1960 nyeondae ‘Hanguk-jeokin geot’ui damron jihyeonggwa sinsedae uisik [The consciousness of a new generation and the configuration of discourse on 'things Korean', in 1960s, 1960년대 ‘한국적인것’의 담론 지형과 신세대 의식]”, Sangheohakbo [Sanghuhakbo, 상허학보]16, 2006, 379~410. 미소장
2 Samsung munhwajaedan pyeon [Samsungfoundation ed., 삼성문화재단 편], Bakraehyeon [Park Re-hyun, 박래현], Samsungfoundation [삼성문화재단], 1997. 미소장
3 Song Heekyung [송희경], “Hangukjeok seonghwaui motae:wuljeon Jang Wuseong-ui seongmojado [Birth of “Korean-style” Icons: “Woljeon” Chang Woosung’s Portraits of the Holy Mother and Son, ‘한국적 성화의 모태:월전 장우성의성모자도]”, Woljeon, jeontongeul neomeo je 1, 2 hoe wuljeon haksul forumnonmunjip [Woljeon, Beyond Tradition, The 1st-2nd Scholarship Symposium Journal, 月田, 전통을 넘어_제1,2회 월전학술포럼 논문집], 2014, 29~46. 미소장
4 Icheon sirip woljeon misulgwan pyeon [Woljeon Museum of art Icheon ed., 이천시립월전미술관 편], Jeoldaemireul kkumkkuda-mokbul Jang Unsang-ui yesulsegye [Dream of Absolute Beauty:The Art of CHANG UN SANG, 절대미를 꿈꾸다-목불장운상의 예술세계], Icheon sirip woljeon misulgwan [Woljeon Museum of art Icheon, 이천시립월전미술관], 2013. 미소장
5 Icheon sirip woljeon misulgwan pyeon [Woljeon Museum of art Icheon ed., 이천시립월전미술관 편], Hanguk sumukdaega Jang Useong, Park Nosu sajedonghaeng [CHANG WOOSOUNG PAK NOSOO, 한국수묵대가 장우성, 박노수 사제동행], Icheon sirip woljeon misulgwan [Woljeon Museum of art Icheon, 이천시립월전미술관], 2011. 미소장
6 Jeong Mujeong [Chung Moojeong, 정무정], “1950 nyeondae miguge sogaedoen Hangukmisul [Korean Art Represented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50s, 1950년대 미국에 소개된 한국미술]”, Hanguk geunhyeondaemisulsahak [Journal of Korean Modern & Contemporary Art History, [한국근현대미술사학] 14, 2005, 7~41. 미소장
7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ism in Korean Art 소장
8 Jo eunjeong [Cho Eunjung, 조은정], “Daehanminguk je 1 gonghwagug-ui gwonryeokka misure daehan yeongu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Power under the First Regime of Korea and Art, 대한민국 제1공화국의 권력과 미술의 관계에대한 연구]”, Ewha yeojadaehakgyo baksahagui nonmun [Department of Art History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Ph. D. dissertation,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미소장
9 Jo Eunjin [Cho, Eun Jin, 조은진], “Hanguk geunhyundae sagyeongsansuhwa yeongu [A Study on Modern Korean Real-Scenic Landscape Paintings-Focus on the entries of Joseon arts exhibitions and the Korean art exhibitions-, 한국근현대사경산수화 연구]”, Ewha yeojadaehakgyo seoksahagui nonmun [Department of Art History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M. D. dissertation,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미소장
10 Hong Seonpyo, Hanguk geundaemisulsa_Gabogyeongjangeseo haebang sigikkaji [Modern Art History of Korea: fromthe Gabo Reformto the Liberation Period, 한국근대미술사_갑오경장에서 해방 시기까지], Sigong Art [시공아트], 200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