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냉전의 산물인 미국원조문화와 1950, 1960년대 타이완문학 추이와의 관련성을 6권의 문학잡지를 대상으로 고찰했다. 1950, 1960년대 타이완문학의 추이라 함은 반공문학에서 서구문학을 수용해 가는 과정으로 그중에서도 특히 영미 모더니즘문학으로 경도되는 변화를 말한다. 본문에서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첫 번째 단계는 미국원조문화와 1950년대 반공문단과의 관련성으로 반공문단의 대표적 잡지인 『문예창작(文藝創作)』과 『반월문예(半月文藝)』를 대상으로 이들 잡지의 외국문학 소개의도를 고찰했고, 두 번째 단계는 미국원조문화의 직접적인 주도기구인 미국공보원이 발행하고 타이완으로 보급된 『금일세계(今日世界)』와 『대학생활(大學生活)』을 통해 이들 잡지가 드러내는 현대의 속성과 현대문학의 주류적 내용을 알아보고 이것이 타이완의 문화지식계에 가져온 영향을 사고해 보았으며, 세 번째 단계는 1960년대 타이완 모더니즘문학을 선도한 『문학잡지(文學雜誌)』와 『현대문학(現代文 學)』을 대상으로 이에 번역·소개된 구미문학을 통해 이 시기 타이완문학의 주류적 경향을 파악하고 미국원조문화와의 관련성을 검토해 보았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미국원조문화가 1950, 1960년대 타이완문학의 추이와 상당히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냉전 배경하에서 반공과 현대를 표방하는 미국적 가치가 미국원조문화의 본질적 특성이라면 1950, 1960년대 타이완문학의 추이가 보여주는 것은 미국원조문화가 반공문학을 강화하는 역할에서 점차 반공에 균열을 일으키면서 반공에 반대하고 현대로 나아가는 궤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미국원조문화와 1950, 1960년대 타이완문학의 관련성에 대한 고찰은 반공과 모더니즘문학을 단절적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보다 입체적으로 문학사를 재구성할 수 있게 해 주며 나아가 냉전 아시아의 사회·문학적 면모를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2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今日世界出版社, 1952. 3~1980. 12, 『今日世界』. 미소장
2 廖淑芳·包雅文, 2013, 『探索的年代-戰後台灣現代主義小說及其發展』, 國立台灣文學館. 미소장
3 文學雜誌社, 1956. 9~1960. 8, 『文學雜誌』. 미소장
4 半月文藝社, 1950. 3~1954. 6, 『半月文藝』. 미소장
5 友聯出版社, 1955. 5~1961. 11, 『大學生活』. 미소장
6 自由中國社, 1949. 11~1960. 9, 『自由中國』. 미소장
7 中華文藝獎金委員會, 1951. 5~1956. 9, 『文藝創作』. 미소장
8 陳芳明, 2011, 『台灣新文學史(上)』, 聯經. 미소장
9 馮祖貽, 2002, 『百年家族-張愛玲』, 立緖. 미소장
10 現代文學雜誌社, 1960. 3~1963. 9, 『現代文學』. 미소장
11 從民族到個人 : 關於1950年代冷戰臺灣的文學風景 소장
12 高碩泰, 1981, 『美援與70年代美國外交政策之硏究』, 政治大學外交硏究所碩士論文. 미소장
13 羅森棟, 1971. 11; 1972. 1, 「『今日世界』塑造映像的內容與範圍」(上, 下), 『思與言』 9卷 4, 5期. 미소장
14 呂正惠, 1995, 「現代主義在台灣」, 『戰後台灣文學經驗』, 新地文學. 미소장
15 白先勇, 1991, 「『現代文學』創立的時代背景及其精神風貌」, 『現文因緣』, 現代文學雜誌社. 미소장
16 白先勇, 2001. 7, 「故事新說: 我與台大的文學因緣及創作歷程」, 『中外文學』 第30卷 第2期. 미소장
17 謝尙文, 2003. 4, 「帝國主義下的美國文化戰略」, 『海峽評論』 第148期. 미소장
18 王梅香, 2005, 『肅殺肅殺歲月的美麗/美力?戰後美援文化與50, 60年代反共文學, 現代主義思潮發展之關係』, 國立成功大學台灣文學硏究所碩士論文. 미소장
19 秦賢次, 1985. 10, 「香港文學期刊滄桑錄」, 『文訊』 第二十期. 미소장
20 黃怡菁, 2006, 『《文藝創作》(1950~1956)與自由中國文藝體制的形構與實踐』, 國立淸華大學台灣文學硏究所. 미소장